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는 메가데스의 라이브 앨범으로, 2005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공연 실황을 담고 있다. 이 앨범은 올뮤직, About.com, 팝매터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DVD 차트에서 오스트레일리아 6위, 핀란드 1위, 빌보드 뮤직 DVD 12위를 기록했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에서 골드 및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가데스의 라이브 음반 - Rude Awakening
메가데스의 라이브 앨범 Rude Awakening은 CD에 대표곡들의 라이브 음원이 수록되어 있고 DVD에는 라이브 공연 영상과 보너스 영상이 담겨 있으며, 발매 후 엇갈린 평가에도 불구하고 캐나다와 미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 메가데스의 라이브 음반 - Countdown to Extinction: Live
《Countdown to Extinction: Live》는 메가데스가 1992년 발매한 정규 앨범 《Countdown to Extinction》의 20주년을 기념하여 2012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빌보드 200 차트 119위로 데뷔했고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Countdown to Extinction》 수록곡과 대표곡 라이브 버전이 담겨 있다. - 메가데스 - 알 피트렐리
알 피트렐리는 미국의 기타리스트로, 앨리스 쿠퍼, 디 스나이더, 사바타지, 메가데스 등 다양한 밴드에서 활동했으며, 트랜스 시베리안 오케스트라의 핵심 멤버로도 활동했다. - 메가데스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브 머스테인은 미국의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작곡가이자 스래시 메탈 밴드 메가데스의 창립자 겸 리더이며, 메탈리카 초기 멤버였으나 해고 후 메가데스를 결성하여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뛰어난 기타 연주 실력과 독특한 보컬 스타일로 메탈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7년 영상 음반 - Kissology Volume Two: 1978–1991
Kissology Volume Two: 1978–1991는 1978년부터 1991년까지의 키스(Kiss)의 활동을 담은 3개의 디스크로 구성된 영상 모음집으로, 라이브 공연, 뮤직 비디오, TV 출연 영상 등을 수록하고 있으며,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2007년 영상 음반 - The Inner Sanctum
색슨의 17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The Inner Sanctum은 비프 바이포드가 작사하고 여러 멤버가 작곡한 11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에디션에는 보너스 트랙과 DVD가 포함되어 발매 후 여러 국가 차트에 진입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
종류 | 라이브 |
아티스트 | 메가데스 |
![]() | |
발매일 | 2007년 9월 4일 |
녹음일 | 2005년 10월 9일 |
녹음 장소 |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장르 | 헤비 메탈 하드 록 스래시 메탈 |
길이 | 1:38:22 |
레이블 | 이미지 엔터테인먼트 |
감독 | 마이클 사르나 |
프로듀서 | 마이클 사르나 샬리니 와란 |
메가데스 연표 | |
이전 음반 (라이브) | Rude Awakening (2002) |
다음 음반 (라이브) | Rust in Peace: Live (2010) |
메가데스 비디오 연표 | |
이전 비디오 | Arsenal of Megadeth (2006) |
다음 비디오 | Rust in Peace: Live (2010) |
2. 반응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는 발매 직후 여러 평론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밴드의 에너지 넘치는 연주와 현장감 넘치는 사운드가 호평을 받았다.[14][15][17]
2. 1. 평가
올뮤직의 그레그 프라토는 이 음반을 "메가데스가 가장 정교하고 탄탄한 스래시 메탈 밴드 중 하나"라는 "확실한 증거"라고 평가하며 별 4개를 부여했다.[14][5] About.com의 채드 보와르는 "관객들은 훌륭했고, 기타 리프에 맞춰 함께 노래하기도 했으며, 밴드는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었다. 음질은 훌륭했으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관객 소리를 담아냈다"고 호평하며 별 4개를 부여했다.[15][6] 팝매터스의 앤드류 블랙키는 "밴드 멤버들의 솔로 연주 중 표정과 화려한 조명 쇼, 그리고 열광적인 관객들의 반응을 모두 포착하는 데 중점을 둔 훌륭하게 촬영된 작품"이라고 칭찬하며 10점 만점에 8점을 부여했다.[17][8]3. 곡 목록
이 앨범에는 Hangar 18, Symphony of Destruction, Peace Sells 등 메가데스의 대표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대부분의 곡은 데이브 머스테인이 작사/작곡을 맡았지만, In My Darkest Hour는 데이비드 엘렙슨과, "Reckoning Day"는 데이비드 엘렙슨, 마티 프리드먼과, "I'll Be There"는 마티 프리드먼, 버드 프레이거와, Tornado of Souls는 데이비드 엘렙슨과, Trust는 마티 프리드먼과 공동으로 작업했다.
3. 1. CD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앨범은 두 장의 CD로 구성되어 있다.디스크 1에는 "Jet Intro", "Blackmail the Universe", "Set the World Afire", "Skin o' My Teeth", "Wake Up Dead", "In My Darkest Hour", "Die Dead Enough", "She-Wolf", "Reckoning Day", "A Tout le Monde", "Angry Again"이 수록되어 있다.
디스크 2에는 "Hangar 18", "Return to Hangar", "I'll Be There", "Tornado of Souls", "Trust", "Something That I'm Not"[1], "Kick the Chair", "Coming Home", "Symphony of Destruction", "Peace Sells", "Holy Wars... The Punishment Due"가 수록되어 있다.
대부분의 곡은 데이브 머스테인이 작사/작곡을 맡았지만, "In My Darkest Hour"는 데이비드 엘렙슨과 공동 작사했고, "Reckoning Day"는 데이비드 엘렙슨, 마티 프리드먼과 공동 작사/작곡했다. "I'll Be There"는 마티 프리드먼, 버드 프레이거와 공동 작사/작곡, "Tornado of Souls"는 데이비드 엘렙슨과 공동 작사, "Trust"와 "Something That I'm Not"은 마티 프리드먼과 공동 작곡했다.
3. 1. 1. 디스크 1
다음은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앨범의 디스크 1에 수록된 곡 목록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은 데이브 머스테인이 작사/작곡했다.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Jet Intro | 데이브 머스테인 | 0:35 |
2 | Blackmail the Universe | 데이브 머스테인 | 4:08 |
3 | Set the World Afire | 데이브 머스테인 | 5:27 |
4 | Skin o' My Teeth | 데이브 머스테인 | 3:22 |
5 | Wake Up Dead | 데이브 머스테인 | 3:35 |
6 | In My Darkest Hour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비드 엘렙슨 | 6:07 |
7 | Die Dead Enough | 데이브 머스테인 | 3:55 |
8 | She-Wolf | 데이브 머스테인 | 3:31 |
9 | Reckoning Day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비드 엘렙슨, 마티 프리드먼 | 4:39 |
10 | A Tout le Monde | 데이브 머스테인 | 4:28 |
11 | Angry Again | 데이브 머스테인 | 3:36 |
3. 1. 2. 디스크 2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Hangar 18 | 데이브 머스테인 | 5:06 |
Return to Hangar | 데이브 머스테인 | 3:51 |
I'll Be There | 데이브 머스테인, 마티 프리드먼, 버드 프레이거 | 5:36 |
Tornado of Souls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비드 엘렙슨 | 5:22 |
Trust | 데이브 머스테인, 마티 프리드먼 | 3:35 |
Something That I'm Not[1] | 데이브 머스테인, 마티 프리드먼 | 6:00 |
Kick the Chair | 데이브 머스테인 | 4:03 |
Coming Home | 데이브 머스테인 | 2:35 |
Symphony of Destruction | 데이브 머스테인 | 4:23 |
Peace Sells | 데이브 머스테인 | 4:40 |
Holy Wars... The Punishment Due | 데이브 머스테인 | 8:33 |
3. 2. DVD
DVD에는 CD에 수록된 곡들 외에도 "Holy Wars... The Punishment Due"가 "Silent Scorn (tape)"을 아웃트로로 사용하여 수록되었고, 보너스 트랙으로 "Symphony of Destruction (대체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3]3. 2. 1. 전체 곡 목록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들은 데이브 머스테인에 의해 작사/작곡되었다.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Jet Intro | 0:35 | |
2 | Blackmail the Universe | 4:08 | |
3 | Set the World Afire | 5:27 | |
4 | Skin o' My Teeth | 3:22 | |
5 | Wake Up Dead | 3:35 | |
6 | In My Darkest Hour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비드 엘렙슨 | 6:07 |
7 | Die Dead Enough | 3:55 | |
8 | She-Wolf | 3:31 | |
9 | Reckoning Day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비드 엘렙슨, 마티 프리드먼 | 4:39 |
10 | A Tout le Monde | 4:28 | |
11 | Angry Again | 3:36 |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Hangar 18 | 5:06 | |
2 | Return to Hangar | 3:51 | |
3 | I'll Be There | 데이브 머스테인, 마티 프리드먼, 버드 프레이거 | 5:36 |
4 | Tornado of Souls | 데이브 머스테인, 데이비드 엘렙슨 | 5:22 |
5 | Trust | 데이브 머스테인, 마티 프리드먼 | 6:00 |
6 | Kick the Chair | 4:03 | |
7 | Coming Home | 2:35 | |
8 | Symphony of Destruction | 4:23 | |
9 | Peace Sells | 4:40 | |
10 | Holy Wars... The Punishment Due | 8:33 |
3. 2. 2. 미수록 곡
- "The Scorpion"
- "Train of Consequences"
- "Of Mice and Men"
- "Sweating Bullets"
4. 참여 인원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영어는 밴드 멤버와 프로덕션으로 참여 인원을 나눌 수 있다.
역할 | 이름 |
---|---|
기타, 리드 보컬 | 데이브 머스테인 |
기타, 백킹 보컬 | 글렌 드로버 |
베이스, 백킹 보컬 | 제임스 맥도노 |
드럼 | 숀 드로버 |
감독, 프로듀서 | 마이클 사르나 |
프로듀서 | 샬리니 와란 |
오디오 프로덕션 | 데이브 머스테인[1] |
오디오 프로덕션, 믹싱 | 제프 밸딩[1] |
편집 | 딘 곤잘레스 |
편집 | 마이클 팔메로 |
총괄 프로듀서 | 게리 하버[1] |
총괄 프로듀서 | 존 디 |
총괄 프로듀서 | 케빈 가서 |
4. 1. 밴드 멤버
4. 2. 프로덕션
역할 | 이름 |
---|---|
감독, 프로듀서 | 마이클 사르나 |
프로듀서 | 샬리니 와란 |
오디오 프로덕션 | 데이브 머스테인[1] |
오디오 프로덕션, 믹싱 | 제프 밸딩[1] |
편집 | 딘 곤잘레스 |
편집 | 마이클 팔메로 |
총괄 프로듀서 | 게리 하버[1] |
총괄 프로듀서 | 존 디 |
총괄 프로듀서 | 케빈 가서 |
5. 차트 성적 및 인증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는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골드 및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1] [2] DVD 차트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5. 1. 차트 성적
이 앨범은 여러 국가의 DVD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5. 2. 인증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는 여러 국가에서 골드 및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참조
[1]
서적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CD liner notes
Image Entertainment
[2]
웹사이트
Music Review: Megadeth 'That One Night'
https://www.geeksofd[...]
Geeks of Doom
2007-09-13
[3]
웹사이트
Music Review: Megadeth -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s://blogcritics.[...]
Blogcritics
2007-09-06
[4]
웹사이트
Megadeth Take Five Top Stops In Burrn! Magazine Readers' Poll
http://bravewords.co[...]
Brave Words
[5]
웹사이트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www.allmusic.[...]
AllMusic
[6]
웹사이트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heavymetal.ab[...]
About.com
[7]
웹사이트
Music Review: Megadeth - That One Night: in Buenos Aires
http://www.seaoftran[...]
Sea of Tranquility
[8]
웹사이트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www.popmatter[...]
PopMatters
[9]
웹사이트
ザット・ワン・ナイト~ライヴ・イン・ブエノス・アイレス メガデス
https://www.oricon.c[...]
Oricon
2021-10-04
[10]
서적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CD liner notes
Image Entertainment
[11]
웹인용
Music Review: Megadeth 'That One Night'
https://www.geeksofd[...]
Geeks of Doom
2007-09-13
[12]
웹인용
Music Review: Megadeth -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s://blogcritics.[...]
Blogcritics
2007-09-06
[13]
웹인용
Megadeth Take Five Top Stops In Burrn! Magazine Readers' Poll
http://bravewords.co[...]
Brave Words
[14]
웹인용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www.allmusic.[...]
AllMusic
[15]
웹인용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heavymetal.ab[...]
About.com
[16]
웹인용
Music Review: Megadeth - That One Night: in Buenos Aires
http://www.seaoftran[...]
Sea of Tranquility
[17]
웹인용
That One Night: Live in Buenos Aires
http://www.popmatter[...]
PopMatt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