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ked Ride Hom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Naked Ride Home》은 2002년에 발매된 잭슨 브라운의 열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발매 당시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브라운의 작곡 능력은 여전하지만 앨범의 깊이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다른 평론가들은 앨범이 브라운의 최근 작품보다 더 느슨하고 따뜻하며 라이브 사운드를 낸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앨범에는 "The Night Inside Me"가 수록되었으며, 빌보드 200에서 36위, 톱 인터넷 앨범 차트에서 36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잭슨 브라운의 음반 - The Pretender
잭슨 브라운의 1976년 앨범 《The Pretender》는 아내의 자살 후 슬픔과 고뇌를 담고 있으며, "The Pretender" 등의 곡이 수록되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3x 플래티넘 인증을 받고 빌보드 팝 앨범 차트 5위, 그래미상 올해의 앨범 후보에 올랐다. - 잭슨 브라운의 음반 - World in Motion (음반)
《World in Motion》은 1989년에 발매된 잭슨 브라운의 음반으로,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보니 레이트, 데이비드 크로스비 등이 참여하고, 빌보드 200에서 45위를 기록했다. - 엘렉트라 레코드 음반 - Tracy Chapman
트레이시 채프먼의 1988년 데뷔 앨범 《Tracy Chapman》은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포크, 블루스, 록의 조화, 그리고 "Fast Car"와 "Talkin' 'bout a Revolution" 같은 대표곡들로 평단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3개 부문을 수상했다. - 엘렉트라 레코드 음반 - Ballbreaker
1995년 발매된 AC/DC의 앨범 《Ballbreaker》는 드러머 필 러드의 복귀와 릭 루빈의 프로듀싱으로 제작되었으며, 제작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2002년 음반 - Again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2집 음반 Again은 R&B 발라드를 중심으로 댄스, 팝 등 다양한 장르를 담아 타이틀곡 "Again"으로 음원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며 음악 방송 첫 1위를 기록했다. - 2002년 음반 - Time Honored Voice
Time Honored Voice는 윤사라, 신재홍, 박성일 등 다양한 작사가와 작곡가가 참여하고 앤 (Ann), As One 등 여러 가수가 피쳐링한 15곡, 총 65분 40초 분량의 앨범이다.
The Naked Ride Hom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명 | The Naked Ride Home |
종류 | 음반 |
가수 | 잭슨 브라운 |
![]() | |
발매일 | 2002년 9월 24일 |
녹음 년도 | 2001년 |
녹음 장소 | Groove Masters, 산타 모니카 |
장르 | 록 |
길이 | 59분 47초 |
레이블 | 엘렉트라 |
프로듀서 | 잭슨 브라운, 케빈 매코믹 |
앨범 순서 | |
이전 앨범 | The Next Voice You Hear: The Best of Jackson Browne |
이전 앨범 발매 년도 | 1997년 |
다음 앨범 | The Very Best of Jackson Browne |
다음 앨범 발매 년도 | 2004년 |
2. 반응
《The Naked Ride Home》은 발매 당시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롤링 스톤의 제임스 헌터는 긍정적인 평가를,[7][3] 올뮤직의 마크 데밍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6][2]
2. 1. 긍정적 평가
《롤링 스톤》의 제임스 헌터는 이 음반이 "다시 들으면 더 풍부하고 울림을 주는 다양한 중간 템포의 신뢰성"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7][3] 그는 또한 이 음반이 "브라운의 최근 작품보다 더 느슨하고, 더 따뜻하고, 더 라이브 사운드"라고 느꼈으며, "긴 시야와 결합된 불필요한 L.A. 쿨의 사운드"라고 묘사했다.[7] 이러한 평가는 특히 9.11 테러 이후의 미국 사회 분위기를 담아낸 가사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3]2. 2. 부정적 평가
올뮤직의 마크 데밍은 "브라운의 작곡 기술은 여전히 강하고, 그의 공연은 날카롭고 열정적이지만, 불행하게도 《The Naked Ride Home》의 실제 강점은 그 결함을 더욱 더 두드러지게 만들 뿐이다. 즉, 브라운의 뮤즈가 그를 어떤 새롭고 흥미로운 장소로 데려가지 않았고, 그가 여전히 작곡과 녹음의 예술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이 분명하지만, 그 결과는 그의 초기 작품의 깊이나 영향력이 부족하다"라고 평했다.[6]3. 곡 목록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음반의 모든 곡은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이 작사/작곡하였다.[1]
3. 1. 트랙 목록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The Naked Ride Home | 잭슨 브라운 | 5:56 |
2 | The Night Inside Me |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 | 4:38 |
3 | Casino Nation |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 | 6:57 |
4 | For Taking the Trouble | 잭슨 브라운 | 4:25 |
5 | Never Stop |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 | 4:56 |
6 | Walking Town |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 | 6:20 |
7 | About My Imagination |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 | 6:10 |
8 | Sergio Leone | 잭슨 브라운, 마크 골든버그, 마우리시오 르왁, 케빈 매코믹, 제프 영 | 7:57 |
9 | Don't You Want to Be There | 잭슨 브라운 | 7:35 |
10 | My Stunning Mystery Companion | 잭슨 브라운 | 4:53 |
4. 참여
이 음반은 잭슨 브라운과 케빈 매코믹이 프로듀싱에 참여했으며, 폴 디터가 엔지니어링을, 밥 클리어마운틴이 믹싱을, 밥 루드비히가 마스터링을 담당했다. 세션에는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했고, 아트워크는 더스틴 스탠턴, 커버 사진은 넬스 이스라엘슨, 소책자 사진은 다이애나 코헨과 넬스 이스라엘슨이 맡았다.
4. 1. 세션
포지션 | 이름 | 악기 | 비고 |
---|---|---|---|
리드 보컬, 어쿠스틱 피아노, 펜더 로즈,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 잭슨 브라운 | ||
어쿠스틱 피아노, 월리처 일렉트릭 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신시사이저, 하모니 보컬 | 제프 스콧 영 | ||
일렉트릭 기타, 하이 스트링 기타 | 마크 골든버그 | (4) | |
어쿠스틱 기타, 12현 일렉트릭 기타 | 그레그 레이즈 | (1) | |
슬라이드 기타 | 케빈 무어 (케브 모) | (4) | |
리듬 어쿠스틱 기타 | 발 맥컬럼 | (7) | |
베이스 기타, 리듬 일렉트릭 기타 | 케빈 맥코믹 | (7) | |
드럼, 카혼 | 마우리시오 "프리츠" 레왁 | (4) | |
퍼커션 | 루이스 콘테 | ||
트럼펫 | 페르난도 풀람 | (9) | |
하모니 보컬 | 제니퍼 그로스 | (3, 6) | |
하모니 보컬 | 킵 레논 | (3, 6) | |
하모니 보컬, 합창 보컬 | 알레시아 밀스 | (4), (9) | |
하모니 보컬, 합창 보컬 | 샤본 모리스 | (4), (9) | |
합창 보컬 | 지미 버니 | (9) | |
하모니 보컬 | 마크 콘 | (9) | |
합창 편곡 | 프레드 마틴 | (9) |
4. 2. 제작진
포지션 | 이름 | 담당 |
---|---|---|
리드 보컬, 어쿠스틱 피아노, 펜더 로즈,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 잭슨 브라운 | |
어쿠스틱 피아노, 월리처 일렉트릭 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신시사이저, 하모니 보컬 | 제프 스콧 영 | |
일렉트릭 기타, 하이 스트링 기타 (4) | 마크 골든버그 | |
어쿠스틱 기타 (1), 12현 일렉트릭 기타 (1) | 그레그 레이즈 | |
슬라이드 기타 (4) | 케빈 무어 (케브 모) | |
리듬 어쿠스틱 기타 (7) | 발 맥컬럼 | |
베이스 기타, 리듬 일렉트릭 기타 (7) | 케빈 맥코믹 | |
드럼, 카혼 (4) | 마우리시오 "프리츠" 레왁 | |
퍼커션 | 루이스 콘테 | |
트럼펫 (9) | 페르난도 풀람 | |
하모니 보컬 (3, 6) | 제니퍼 그로스 | |
하모니 보컬 (3, 6) | 킵 레논 | |
하모니 보컬 (4), 합창 보컬 (9) | 알레시아 밀스 | |
하모니 보컬 (4), 합창 보컬 (9) | 샤본 모리스 | |
합창 보컬 (9) | 지미 버니 | |
하모니 보컬 (9) | 마크 콘 | |
합창 편곡 (9) | 프레드 마틴 | |
프로듀서 | 잭슨 브라운, 케빈 매코믹 | |
엔지니어 | 폴 디터 | |
보조 엔지니어 | 세바스찬 하이머를, 마크 존슨, 빌 레인, 리치 토시 | |
믹싱 | 밥 클리어마운틴 | |
믹싱 어시스턴트 | 케빈 하프 | |
마스터링 | 밥 루드비히 (Gateway Mastering, 포틀랜드, 메인) | |
기술 감독 | 에드 웡 | |
아트워크 | 더스틴 스탠턴 | |
커버 사진 | 넬스 이스라엘슨 | |
소책자 사진 | 다이애나 코헨, 넬스 이스라엘슨 | |
매니지먼트 | 크리 클로버, 도널드 밀러 |
5. 차트
빌보드 차트에서 앨범은 빌보드 200과 톱 인터넷 앨범 차트에서 36위, 싱글 "The Night Inside Me"는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에서 25위를 기록했다.
5. 1. 앨범 차트
연도 | 차트 | 최고 순위 |
---|---|---|
2002 | 빌보드 200 | 36 |
2002 | 톱 인터넷 앨범 | 36 |
'''싱글''' – ''빌보드''(미국)
연도 | 싱글 | 차트 | 최고 순위 |
---|---|---|---|
2002 | "The Night Inside Me" | 어덜트 컨템포러리 | 25 |
5. 2. 싱글 차트
연도 | 싱글 | 차트 | 최고 순위 |
---|---|---|---|
2002 | "The Night Inside Me" | 어덜트 컨템포러리 | 25 |
참조
[1]
웹사이트
Browne, Smith Depart Labels
https://books.google[...]
Billboard
2004-02-07
[2]
웹사이트
" ''The Naked Ride Home'' > Review"
"{{AllMusic|class=al[...]
AllMusic
2010-08-24
[3]
논문
"''The Naked Ride Home'' > Review"
https://www.rollings[...]
2002-09-25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인용
Browne, Smith Depart Labels
https://books.google[...]
Billboard
2004-02-07
[6]
웹인용
" ''The Naked Ride Home'' > Review"
"{{올뮤직|class=album|i[...]
AllMusic
2010-08-24
[7]
간행물
"''The Naked Ride Home'' > Review"
https://www.rollings[...]
2002-09-25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