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o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Top은 1984년 5월 4일 픽션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더 큐어의 앨범이다. 로버트 스미스가 주도하여 제작되었으며, 톨허스트가 키보드로 포지션을 변경하고 앤디 앤더슨이 드러머로 참여했다. 다양한 악기와 실험적인 스타일을 시도했으며, 영국 앨범 차트 10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 민주화 운동 시기 젊은 세대의 불안과 고뇌를 대변하는 음악으로 평가받으며 큰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 큐어의 음반 - The Head on the Door
《The Head on the Door》는 1985년 4월에 발매된 The Cure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혼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이며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1980년대 중요한 얼터너티브 록 앨범으로 평가된다. - 더 큐어의 음반 - Seventeen Seconds
《Seventeen Seconds》는 1980년 발매된 The Cure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뉴 웨이브와 포스트펑크의 영향을 받아 어둡고 차가운 분위기를 특징으로 하며 고딕 록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고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1984년 음반 - Like a Virgin
마돈나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라이크 어 처녀》는 나일 로저스의 프로듀싱으로 디스코, 팝, 록 장르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으며, "라이크 어 처녀", "머티리얼 걸" 등의 히트곡으로 마돈나를 슈퍼스타 반열에 올린 앨범이다. - 1984년 음반 - The Unforgettable Fire
《The Unforgettable Fire》는 U2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앰비언트 음악과 실험적인 구성을 도입하여 음악적 변화를 시도했으며,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The Top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가수 | 더 큐어 |
발매일 | 1984년 5월 4일 |
녹음 | 1983년–1984년 |
장르 | 포스트펑크 사이키델릭 록 고딕 록 뉴 웨이브 |
길이 | 40분 55초 |
레이블 | 픽션 |
프로듀서 | 데이비드 M. 앨런 크리스 패리 로버트 스미스 |
싱글 | |
싱글 1 | The Caterpillar |
싱글 1 발매일 | 1984년 3월 30일 |
리뷰 점수 | |
AllMusic | 2/5 |
The Austin Chronicle | 2.5/5 |
The Guardian | 4/5 |
Pitchfork | 6.9/10 |
Q | 2/5 |
Record Mirror | 4.5/5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2.5/5 |
Smash Hits | 8/10 |
Sounds | 2.5/5 |
Uncut | 4/5 |
2. 배경 및 녹음
1983년 여름, 로버트 스미스는 일회성 프로젝트였던 더 글러브의 사이키델릭 음반 《블루 선샤인》을 녹음했다.[3][29] 그 후, 스미스는 더 큐어의 《The Top》과 수지 앤 더 밴시스의 《Hyæna》 앨범 작업을 동시에 진행했다.[3][29] 《The Top》 작업 당시, 스미스는 수지 앤 더 밴시스의 공식 기타리스트로도 활동했다.[3][29]
《The Top》은 다양한 악기와 스타일을 시도한 실험적인 앨범이다. 바이올린과 플루트를 포함한 다양한 악기를 사용했다.[12] 〈Bird Mad Girl〉은 스페인 스타일이며, 〈Wailing Wall〉은 중동적인 뉘앙스를 담고 있다.[12] ''사운즈''의 평론가 잭 배런은 오프닝 트랙 "Shake Dog Shake"을 "세련된 메탈"이라고 묘사했다.[12]
''The Top''은 1984년 5월 4일 음반 레이블 픽션에 의해 발매되었다. 영국 음반 차트에서 10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The Caterpillar"는 앨범에서 발매된 유일한 싱글이었다.
《The Top》에서 스미스는 더 큐어의 공동 창립 멤버 롤 톨허스트와 팀을 이루었다.[3][29] 톨허스트는 드럼에서 키보드로 포지션을 변경했고,[3] 새로운 드러머 앤디 앤더슨이 합류했다.[3] 앤더슨은 이전에 영국 톱 10 싱글 〈The Lovecats〉에서 연주한 경력이 있다.[3][29] 폴 톰슨은 〈Give Me It〉에서 색소폰을 연주했다.[3][29] 앨범의 모든 곡은 로버트 스미스가 작곡했지만, 〈The Caterpillar〉, 〈Bird Mad Girl〉, 〈Piggy in the Mirror〉는 롤 톨허스트와 공동 작곡했다.[3][29]
3. 음악 스타일
4. 발매 및 평가
발매 당시 영국 언론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멜로디 메이커''의 스티브 서덜랜드는 이 앨범을 "시대를 초월한 사이키델리아"라고 칭찬했고,[14] ''레코드 미러''의 앤디 스트라이크는 "사악한 독창성과 재치가 담긴 음반"이라고 평가했다.[9] ''스매시 히츠''에서 마크 엘렌은 ''The Top''을 "매혹적이면서도 약간 위험해 보이는" 노래가 담긴 "기묘하고 훌륭한" 앨범으로 평가했다.[11] 반면 ''사운즈''의 배런은 ''The Top''이 "반영된 경험의 진정한 핵심이 아닐 때가 너무 많아 없어서는 안 될 정도는 아니다"라고 언급했지만, "20년 후, 다음 세대가 '사이키델릭'이라는 단어에 흥분할 때, 이 앨범은 고전으로 여겨질 것"이라고 예언했다.[12] ''NME''의 평론가 대니 켈리는 이 앨범을 자기 도취적이라고 여겨 "야심 차고 어려운 음반"이라고 평가했다.[15]
회고적인 평가에서, ''Q''의 작가 톰 도일은 ''The Top''을 "잊혀질 만한 노래들이 담긴 과도기적 음반"으로 일축했다.[8] ''스타일러스 매거진''의 토마스 인스킵은 ''The Top''이 "그들의 카탈로그에서 최악의 시기일 수 있다"고 썼다.[16] 올뮤직의 크리스 트루는 이 앨범이 "스트레스, 술, 마약 속에서 녹음된 앨범임이 분명하다"고 언급하면서도, 스미스의 능력이 이 음반을 "밴드의 진화에 필요한 단계"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4]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 민주화 운동 시기에 청년 문화의 상징적인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진다.[4][5][6][7][8][9][10][11][12][13] 당시 젊은 세대의 불안과 고뇌를 대변하는 음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대학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4][7][10] 1987년 6월 항쟁 이후 사회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The Top》의 어둡고 실험적인 사운드는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음악으로 재조명되었다.[4][7]
4.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 민주화 운동 시기에 청년 문화의 상징적인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진다.[4][5][6][7][8][9][10][11][12][13] 당시 젊은 세대의 불안과 고뇌를 대변하는 음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대학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4][7][10] 1987년 6월 항쟁 이후 사회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The Top》의 어둡고 실험적인 사운드는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음악으로 재조명되었다.[4][7]
5. 곡 목록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로버트 스미스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Side one'''
# "Shake Dog Shake" – 4:55
# "Bird Mad Girl"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4:05
# "Wailing Wall" – 5:17
# "Give Me It" – 3:42
# "Dressing Up" – 2:51
'''Side two'''
# The Caterpillar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3:40
# "Piggy in the Mirror"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3:40
# "The Empty World" – 2:36
# "Bananafishbones" – 3:12
# "The Top" – 6:50
5. 1. 오리지널 앨범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곡은 로버트 스미스가 작사/작곡했다.'''사이드 A'''
# "Shake Dog Shake" – 4:55
# "Bird Mad Girl"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4:05
# "Wailing Wall" – 5:17
# "Give Me It" – 3:42
# "Dressing Up" – 2:51
'''사이드 B'''
- "The Caterpillar"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3:40
- "Piggy in the Mirror"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3:40
- "The Empty World" – 2:36
- "Bananafishbones" – 3:12
- "The Top" – 6:50
5. 1. 1. Side one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곡은 로버트 스미스가 작사/작곡했다.# "Shake Dog Shake" – 4:55
# "Bird Mad Girl"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4:05
# "Wailing Wall" – 5:17
# "Give Me It" – 3:42
# "Dressing Up" – 2:51
5. 1. 2. Side two
- "The Caterpillar" (로버트 스미스, 롤 톨허스트) – 3:40
- "Piggy in the Mirror" (스미스, 톨허스트) – 3:40
- "The Empty World" – 2:36
- "Bananafishbones" – 3:12
- "The Top" – 6:50
5. 2. 2006년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디스크
2006년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디스크에는 1982년부터 1984년까지의 데모, 라이브 음원 등이 수록되었다.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Side one'''
- "Shake Dog Shake" – 4:55
- "Bird Mad Girl" (롤 톨허스트와 로버트 스미스 공동작곡) – 4:05
- "Wailing Wall" – 5:17
- "Give Me It" – 3:42
- "Dressing Up" – 2:51
'''Side two'''
- "The Caterpillar" (스미스, 톨허스트) – 3:40
- "Piggy in the Mirror" (스미스, 톨허스트) – 3:40
- "The Empty World" – 2:36
- "Bananafishbones" – 3:12
- "The Top" – 6:50
1982년 8월 로버트 스미스 홈 데모 ("You Stayed ...", "Ariel"), 1983년 8월 데스 담스 스튜디오 데모 ("A Hand Inside My Mouth"), 1983년 12월 올림픽 스튜디오 데모 ("Sadacic"), 1983년 12월 가든/에덴 스튜디오 데모 ("Shake Dog Shake", "Piggy in the Mirror", "Birdmad Girl", "Give Me It", "Throw Your Foot", "Happy the Man", "The Caterpillar"), 1984년 2월 제네틱 스튜디오 가이드 보컬/러프 믹스 ("Dressing Up", "Wailing Wall"), 1984년 5월 해머스미스 오데온 라이브 ("The Empty World", "Bananafishbones", "The Top"), 1984년 5월 파리 제니스 라이브 ("Forever (version)") 음원이 수록되었다.
6. 참여
'''더 큐어'''
- 로버트 스미스 – 기타, 보컬, 베이스, 키보드, 오르간, 리코더 (3), 바이올린 (6), 하모니카 (9)
- 롤 톨허스트 – 키보드
- 앤디 앤더슨 – 드럼, 타악기
'''추가 음악가'''
- 폴 톰슨 – 색소폰 (디스크 1 및 2), 키보드, 기타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
- 필 손앨리 – 베이스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
'''제작'''
- 로버트 스미스 – 프로듀싱
- 데이브 앨런 – 프로듀싱, 엔지니어링
- 크리스 패리 – 프로듀싱
- 하워드 그레이 – 엔지니어링
6. 1. 더 큐어
'''더 큐어'''- 로버트 스미스 – 기타, 보컬, 베이스, 키보드, 오르간, 리코더 (3), 바이올린 (6), 하모니카 (9)
- 롤 톨허스트 – 키보드
- 앤디 앤더슨 – 드럼, 타악기
'''추가 음악가'''
- 폴 톰슨 – 색소폰 (디스크 1 및 2), 키보드, 기타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
- 필 손앨리 – 베이스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
'''제작'''
- 로버트 스미스 – 프로듀싱
- 데이브 앨런 – 프로듀싱, 엔지니어링
- 크리스 패리 – 프로듀싱
- 하워드 그레이 – 엔지니어링
6. 2. 추가 음악가
- 폴 톰슨 – 색소폰 (디스크 1 및 2), 키보드, 기타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
- 필 손앨리 – 베이스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
6. 3. 제작
로버트 스미스는 기타, 보컬, 베이스, 키보드, 오르간, 리코더 (3), 바이올린 (6), 하모니카 (9)를 담당했다. 롤 톨허스트는 키보드를 연주했다. 앤디 앤더슨은 드럼과 타악기를 담당했다. 추가적으로 폴 톰슨은 색소폰 (디스크 1 및 2), 키보드, 기타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를 연주했고, 필 손앨리는 베이스 (디스크 2의 라이브 트랙)를 담당했다.프로듀싱은 로버트 스미스, 데이브 앨런, 크리스 패리가 담당했다. 데이브 앨런과 하워드 그레이는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7. 차트
차트 (1984년) | 최고 순위 |
---|---|
네덜란드 | 12 |
독일 | 44 |
뉴질랜드 | 23 |
스웨덴 | 31 |
영국 | 10 |
미국 빌보드 200 | 180 |
8. 인증
영국에서 1984년에 큐어의 앨범 ''The Top''은 실버 인증을 받았다.
참조
[1]
간행물
News
https://worldradiohi[...]
2022-07-20
[2]
웹사이트
The Top
http://www.officialc[...]
officialchart.com
2018-01-07
[3]
문서
Sleevenotes to ''The Top''
[4]
웹사이트
"''The Top'' – The Cure"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3-06-27
[5]
뉴스
Depeche Mode, the Cure, and the Jesus & Mary Chain
https://www.austinch[...]
2016-06-12
[6]
뉴스
The Cure, ''The Top''
https://www.theguard[...]
2013-06-27
[7]
웹사이트
"The Cure / Robert Smith: ''The Top'' / ''The Head on the Door'' / ''Kiss Me, Kiss Me, Kiss Me'' / ''Blue Sunshine''"
https://pitchfork.co[...]
2016-01-08
[8]
간행물
Born Again
2006-09
[9]
간행물
'Pillar Talk'
1984-05-05
[10]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11]
간행물
The Cure: ''The Top''
1984-04-26
[12]
간행물
From Top To...
1984-05-05
[13]
간행물
"The Cure: 1. ''The Top'' / 2. ''The Head on the Door'' / 3. ''Kiss Me Kiss Me Kiss Me'' / 4. The Glove: ''Blue Sunshine''"
2006-09
[14]
간행물
Topsy-Turvy
1984-05-05
[15]
간행물
Topspin Falls Flat
1984-05-05
[16]
웹사이트
"The Cure – ''The Top'' / ''The Head on the Door'' / ''Kiss Me Kiss Me Kiss Me'' – Review"
http://www.stylusmag[...]
2016-01-08
[17]
간행물
News
https://worldradiohi[...]
2022-07-20
[18]
웹인용
"''The Top'' – The Cure"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3-06-27
[19]
뉴스
Depeche Mode, the Cure, and the Jesus & Mary Chain
https://www.austinch[...]
2016-06-12
[20]
뉴스
The Cure, ''The Top''
https://www.theguard[...]
2013-06-27
[21]
웹인용
"The Cure / Robert Smith: ''The Top'' / ''The Head on the Door'' / ''Kiss Me, Kiss Me, Kiss Me'' / ''Blue Sunshine''"
https://pitchfork.co[...]
2016-01-08
[22]
간행물
Born Again
2006-09
[23]
간행물
'Pillar Talk'
1984-05-05
[24]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5]
간행물
The Cure: ''The Top''
1984-04-26
[26]
간행물
From Top To...
1984-05-05
[27]
간행물
"The Cure: 1. ''The Top'' / 2. ''The Head on the Door'' / 3. ''Kiss Me Kiss Me Kiss Me'' / 4. The Glove: ''Blue Sunshine''"
2006-09
[28]
웹인용
The Top
http://www.officialc[...]
officialchart.com
2018-01-07
[29]
문서
Sleevenotes to ''The To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