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GM-73 포세이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GM-73 포세이돈은 미국 해군에서 운용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다. 1963년 폴라리스 미사일의 사거리 연장을 목표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UGM-27C 폴라리스 A-3보다 크고 무거워 더 많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71년 실전 배치되어 라파예트급, 제임스 매디슨급,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에 배치되었으며, 1972년부터 폴라리스 미사일을 대체했다. 1979년부터는 트라이던트 I으로 개조되었고, 1994년에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 TERCOM,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UGM-73 포세이돈
미사일 정보
포세이돈 C-3 SLBM
1979년 5월 잠수함 USS 율리시스 S. 그랜트 (SSBN-631)에서 발사된 포세이돈 미사일
종류SLBM(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원산지미국
사용 국가미국 해군
제원
무게29,200 kg
길이10.39 m
직경1.88 m
성능
사거리핵탄두 14기 탑재 시: 4,630 km, 10기 탑재 시: 5,930 km
속도12,900 km/h (종말 단계)
정확도550m CEP
탄두W68 핵탄두 10기 또는 14기 (Mark 3 재진입체), 40 ktTNT
유도 방식관성 항법 장치
엔진2단 고체 연료 로켓, 각 단일 노즐에 추력 편향 기능
생산 및 배치
제조사록히드 미사일 디비전
배치1971년 3월 31일 ~ 1992년 9월 (트라이던트 I이 1979년 10월부터 단계적으로 투입)
발사 플랫폼라파예트급 잠수함,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2. 역사

UGM-73 포세이돈 C-3는 록히드사가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로, 미국 해군의 두 번째 탄도 미사일 시스템이었다. 포세이돈은 UGM-27 폴라리스 미사일을 대체하여 더 큰 탑재량과 향상된 정확도를 제공했다.

처음에는 폴라리스 B-3라고 불렸으나, 나중에 UGM-73A 포세이돈 C-3로 이름이 바뀌었다. 포세이돈 C3는 UGM-27C 폴라리스 A-3보다 무게가 2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더 많은 핵탄두를 탑재하고 더 정확한 CEP(원형 공산 오차)를 갖도록 개선되었다. W68 핵탄두 10발 탑재시 사거리 5900 km, W68 핵탄두 14발 탑재시 사거리 4600 km이다.

포세이돈 C-3는 약 620기가 제조되었으며, 31척의 SSBN에서 496기가 작전 배치되었다.

2. 1. 개발

1963년, 미 해군은 기존 UGM-27C 폴라리스 A-3의 사거리를 늘리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는 기존 발사관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시험 결과 섬유 유리 라이너와 위치 고정 링을 제거한 발사관에서도 폴라리스 미사일이 문제없이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이 프로젝트는 1963년 11월에 폴라리스 B-3라는 명칭을 받았으나, 이전 모델보다 기술적 진보를 강조하기 위해 포세이돈 C-3로 변경되었다. 미사일에는 UGM-73A라는 명칭도 부여되었다.[2]

폴라리스 A-3보다 약간 더 길고 무거웠던 포세이돈은 4600km의 사거리를 가졌으며, 더 큰 탑재량, 향상된 정확도, 그리고 다탄두 개별 유도 재돌입체(MIRV) 능력을 갖추었다. MIRV 능력은 최대 10개[3] 또는 14개의 W68 열핵탄두[4]를 Mark 3 재진입체에 담아 여러 표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했다.

포세이돈 미사일은 고체연료 보일러에서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여 잠수함 발사관에서 쏘아 올려졌으며, 주 로켓 모터는 미사일이 잠수함 위로 약 10m 상승했을 때 자동으로 점화되었다.

1968년 8월 16일 USNS Observation Island (T-AGM-23)에서 첫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고, 1970년 8월 3일에는 USS James Madison (SSBN-627)에서 첫 잠수함 발사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포세이돈은 1971년 3월 31일에 실전 배치되어, 라파예트급 잠수함,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등 31척의 잠수함에 장착되었다.

1979년부터 포세이돈을 장착한 12척의 SSBN이 트라이던트 I으로 개조되었다. 1992년 소련 붕괴와 START I 조약 발효, 그리고 12척의 오하이오급 잠수함 취역으로 인해 31척의 구형 포세이돈 및 트라이던트 I 장착 SSBN이 무장 해제되면서 포세이돈은 퇴역했다.

2. 2. 시험 발사

1968년 8월 16일, USNS 옵저베이션 아일랜드 (T-AGM-23)에서 첫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고, 이 시험 발사로 공로부대 표창을 받았다.[2] 1970년 8월 3일에는 USS 제임스 매디슨 (SSBN-627)에서 첫 잠수함 발사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2]

2. 3. 실전 배치

1971년 3월 31일, UGM-73 포세이돈이 공식적으로 실전 배치되었다.[2] 라파예트급 잠수함,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등 31척의 잠수함에 배치되었다. 1972년부터는 기존에 배치되어 있던 폴라리스 미사일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2. 4. 퇴역

1979년부터 포세이돈을 장착한 12척의 SSBN이 트라이던트 I으로 개조되었다.[2] 1992년 소련 붕괴가 일어났고, 12척의 오하이오급 잠수함이 취역했으며, START I 조약이 발효되어 31척의 구형 포세이돈 및 트라이던트 I 장착 SSBN이 무장 해제되면서 포세이돈은 퇴역했다.[2] 1994년에는 모든 포세이돈 C-3가 퇴역했다.[2]

2. 5. 영국 해군의 도입 시도 (추가)

영국 해군은 1970년대에 포세이돈을 폴라리스 A3T 잠수함의 개량형으로 도입하는 것을 고려했으며, 미국과 마찬가지로 기존 선체를 유지했을 것이다. 영국 해군이 선호하는 방안이었지만, 영국 정부는 기존 폴라리스 기체에 2개의 탄두 MRV 시스템인 슈발린과 미끼를 채택했고, 이후 신형 잠수함에서 트라이던트 D5로 전환했다.[2]

3. 기술적 특징

UGM-73 포세이돈은 초기에 폴라리스 B-3로 불렸으나, 나중에 UGM-73A 포세이돈 C-3로 이름이 바뀌었다. UGM-27C 폴라리스 A-3보다 무거워졌고, 더 많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원형 공산 오차도 개선되었다.

1968년 8월 16일 USNS Observation Island (T-AGM-23)에서 시험 발사했고, 1970년 8월 3일에는 핵잠수함 USS James Madison (SSBN-627)에서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1971년 3월 31일부터 실전 배치되어 라파예트급 잠수함,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등 31척에 배치되었다.[1]

3. 1. 제원

항목제원
길이10.39m
직경1.88m
무게29.2ton
사거리최대 5930km (W68 핵탄두 10발 탑재 시), 4600km (W68 핵탄두 14발 탑재 시)
원형 공산 오차(CEP)550m



UGM-27C 폴라리스 A-3는 무게 16.2ton, 2단 고체로켓, 무게 117kg, 폭발력 200kt인 W58 핵탄두 3발을 탑재했다. 반면 포세이돈 C3는 무게 29.2ton, 2단 고체로켓, 무게 166kg, 폭발력 40kt인 W68 핵탄두 14발을 탑재하여, 무게가 2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더 많은 핵탄두와 더 정확한 CEP를 갖도록 개선되었다.

3. 2. 추진 방식

포세이돈 C-3는 2단 고체 연료 로켓으로, 단일 가동 노즐에 의한 자세 제어(Thrust Vectoring)를 수행하는 로켓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1] 고체 연료 보일러에서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여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면, 잠수함의 10 m 위에서 자동으로 메인 로켓 모터가 점화된다.[1]

3. 3. 탄두

W68 핵탄두를 탑재하는 Mk.3형 재돌입체(re-entry vehicle, RV)는 최대 14기를 탑재할 수 있었지만, 사거리가 1,300 km 짧아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10기 탑재하여 사거리 5,930 km로 운용되었다.[1]

3. 4. 유도 방식

포세이돈 C-3는 천측 항법을 병용하는 관성 유도 장치를 채택하여 명중률을 높였다. CEP은 550m였다.[1]

4. 운용

미국 해군[1]

5. 갤러리

포세이돈이 탑재했을 W68 탄두를 담는 마크 3 재진입체(RB).


크기 비교를 위한 물체들과 함께 있는 마크 3.


탄두 장비는 8개만 장착되었지만, 14개의 탄두 위치를 보여주는 포세이돈 미사일 포스트 부스트 차량(PBV).


폴라리스-포세이돈 SLBM 제품군.

참조

[1] 보고서 Minutes of National Security Council Meeting https://history.stat[...] 1969-05-05
[2] 웹사이트 Poseidon C3 at Spaceline.com http://www.spaceline[...]
[3] 웹사이트 W-68 http://nuclearweapon[...]
[4] 웹사이트 Poseidon C3 at MissileThreat.com http://www.missile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