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V LIV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 LIVE는 2015년 네이버 주식회사가 출시한 라이브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 K팝 스타 및 배우들의 채널을 통해 라이브 공연, 팬들과의 소통, 유료 콘텐츠 등을 제공했다. 2021년 네이버는 V LIVE 서비스를 하이브의 위버스 컴퍼니로 이전했고, 2022년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V LIVE는 팬 자막 기능을 통해 글로벌 팬덤과의 소통을 지원하고, V LIVE AWARDS 시상식을 개최하는 등 한류 확산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 니코니코 생방송
    니코니코 생방송은 니코니코 동화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로, 다양한 형태의 방송과 시청자 소통 기능을 지원하며 사회적 역할 수행, 오프라인 행사 개최, 모바일 플랫폼 확장, 게임 실황 방송 합법화 등을 통해 발전해왔다.
  •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 뉴스
    네이버 뉴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로, 뉴스 스탠드와 뉴스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뉴스 스탠드는 이용률 저조 등의 문제점을 겪고, 뉴스 라이브러리는 과거 신문 기사를 제공한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간편 결제 기능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삼성페이 연동 등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며,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출시 및 다양한 이벤트와 제휴를 통해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인터넷 텔레비전 - 유튜브
    유튜브는 2005년 설립되어 다양한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하는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성장, 구글에 인수된 후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저작권 문제, 극단주의 콘텐츠 확산, 개인정보보호 논란 등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광고 차단 프로그램 단속 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인터넷 텔레비전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V LIVE
기본 정보
V LIVE 앱 아이콘
V LIVE 앱 아이콘
URLArchived official website
유형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상업 여부
등록선택 사항
언어한국어, 영어, 태국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인도네시아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일본어
후속 서비스위버스
소유자네이버 주식회사(2015–2022) / 위버스 컴퍼니 (2022)
출시일2015년 8월
종료일2022년 12월 31일

2. 역사

V LIVE는 2015년 네이버 주식회사가 출시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이다.[80] 이는 2007년 네이버가 선보였던 동영상 플랫폼 채널이 가진 제한적인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였다.[3][42] 2015년 8월, 특히 해외 팬들과의 소통을 목표로 V LIVE 앱이 출시되었으며,[2][43] 같은 해 9월 1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4][44] 서비스는 꾸준히 성장하여 2018년 5월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앱 스토어에서 누적 다운로드 100만 건을 돌파했다.[6][46]

2021년 1월 27일, 네이버는 V LIVE 서비스를 하이브의 자회사인 위버스 컴퍼니로 이관하여 위버스 플랫폼과 통합할 계획임을 발표했다.[7][47] 실제 서비스 이전 작업은 2022년 3월 2일부터 시작되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8][9]

2. 1. 네이버의 초기 동영상 플랫폼 (2007)

2007년, 네이버 주식회사는 자체 동영상 플랫폼 채널을 선보였다. 하지만 이 플랫폼은 이용하기 쉽지 않았고, 특히 해외에서는 많은 국가에서 접속 자체가 불가능한 제한이 있었다.[3][42]

2. 2. V LIVE의 탄생과 발전 (2015-2021)

2007년, 네이버 주식회사는 자체 동영상 플랫폼 채널을 선보였으나, 접근성이 제한적이고 많은 국가에서 이용이 어려웠다.[3][42]

이에 네이버 주식회사는 2015년 8월 초, 새로운 라이브 스트리밍 앱인 V LIVE를 출시했다.[2][43] 이 서비스는 특히 일본, 중국, 대만, 태국, 베트남 등 해외 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2][43] 이를 위해 지역 제한 없이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웹사이트에서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했다.[2][43]

V LIVE는 2015년 8월 1일에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고,[4][44] 같은 해 9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다.[4][44] 애플리케이션은 처음에는 안드로이드용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만 이용 가능했지만, 나중에 iOS용 앱 스토어에서도 출시되었다.[2][43] 정식 안드로이드 버전은 2015년 9월 2일에, 정식 iOS 버전은 같은 해 9월 중순에 출시되었다.[5][45]

시장 조사 기관 Sensor Tower에 따르면, V LIVE 앱은 2017년 8월 한 달 동안 20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6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6][46] 2018년 5월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앱 스토어에서 누적 다운로드 100만 건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6][46]

2021년 1월 27일, 네이버 주식회사는 V LIVE 사업 부문을 하이브의 자회사인 위버스 컴퍼니 주식회사(구 beNX Inc.)로 양도하고, 위버스 플랫폼과 통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7][47]

2. 3. 위버스 컴퍼니로의 서비스 이전 (2021-2022)

2021년 1월 27일, 네이버 주식회사는 V LIVE 서비스를 하이브의 기술 자회사인 위버스 컴퍼니(구 beNX Inc.)로 이전하여 위버스 플랫폼과 통합할 계획임을 발표했다.[7][47] V LIVE는 그동안 K팝 아티스트와 전 세계 팬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하며 한류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비스 이전 작업은 2022년 3월 2일부터 시작되었다. 사용자 정보 이전을 시작으로 V LIVE의 운영 주체가 네이버에서 위버스 컴퍼니로 공식 변경되었으며, 기존 서비스는 위버스 플랫폼으로의 통합을 위해 단계적으로 종료되었다.[8][9] 이러한 통합은 K팝 팬덤 플랫폼 시장의 재편을 의미하며, 하이브 중심의 플랫폼 통합 추세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서비스 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와 사용자 편의 증진이 기대되었지만, 특정 기업으로의 플랫폼 집중화 및 독과점 심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3. 서비스 및 기능

V LIVE는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EXO, 트와이스, 세븐틴[10][48] 수많은 K팝 스타들과 이종석, 이동욱, 박보영 등 배우들이 참여하는 1,450개 이상의 채널을 운영했다.[10][48] 이를 통해 라이브 공연, 팬들과의 실시간 채팅, 리얼리티 쇼, 시상식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했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팔로우하는 채널의 라이브 방송 시작이나 새로운 콘텐츠 업로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었으며,[11][49] 영상을 시청하며 댓글을 남기거나 '하트'를 보내 아티스트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것이 가능했다. 하트 수가 일정 기준을 넘으면 화면에 특수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12][50] 또한, 사용자의 활동 내역은 '케미 비트'(Chemi-beat)라는 지표로 반영되었는데, 이는 사용자와 해당 채널(연예인) 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채널 활동에 꾸준히 참여하면 케미 비트가 높아졌고, 이는 아티스트가 주최하는 이벤트 당첨 확률을 높이는 등의 혜택으로 이어졌다.[13][51][3][42]

3. 1. 주요 기능

V LIVE는 주로 아이돌이나 배우가 직접 진행하는 실시간 방송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뮤직비디오, 웹예능, 제작 발표회, 웹드라마 등 미리 정해진 시간에 공개되는 콘텐츠도 제공했다.[81][82] 웹예능이나 웹드라마는 생방송이 아니지만, 제작 발표회, 쇼케이스, 보이는 라디오 등은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사용자는 일정표를 통해 예정된 방송을 확인하고 알림 설정을 할 수 있었으며, 예고 없이 시작된 실시간 방송은 종료 후 일정표에 기록되었다. 일부 '오리지널' 콘텐츠는 V LIVE에서 선공개된 후 다른 채널에 재업로드되기도 했다.[81][82] 또한, MBC 표준FM아이돌 라디오를 보이는 라디오 형식으로 동시 송출하거나, '루프탑 라이브'와 같이 V LIVE 단독 생중계 콘텐츠도 점차 늘어났다.

V LIVE는 방탄소년단, 빅뱅, 블랙핑크, EXO, 트와이스, 세븐틴[10][48] 1,450개 이상의 K팝 스타 채널과 이종석, 이동욱, 박보영 등 배우들의 채널을 운영했다.[10][48] 이를 통해 라이브 공연, 팬과의 채팅, 리얼리티 쇼,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팬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팔로우하는 채널의 라이브 시작 또는 새 콘텐츠 업로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었고,[11][49] 영상 시청 중 댓글을 남기거나 '하트'를 보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었다. 하트 수가 일정 기준(100만, 1,000만, 1억 등)을 넘으면 화면에 특수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12][50]

모든 상호작용은 사용자의 '케미 비트'(Chemi-beat)에 반영되었다. 케미 비트는 사용자와 특정 채널(연예인) 간의 '케미스트리와 비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28][65] 채널 활동 참여도(정기적 방문, 푸시 알림 설정, 동영상 공유 등)에 따라 높아졌다.[13][51] 케미 비트는 총 7단계의 레벨로 나뉘었으며, 각 채널별로 사용자의 케미 비트 순위(상위 100명)가 매일 업데이트되어 공개되었다.[29][66] 높은 케미 비트는 해당 연예인이 주최하는 이벤트 당첨 확률을 높이는 주요 혜택으로 작용했다.[3][42] 서비스 종료 시점까지 케미 비트에 따른 추가적인 혜택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향후 제공될 예정이라고 언급된 바 있다.[67]

3. 2. 유료 콘텐츠

V LIVE는 다양한 유료 콘텐츠를 제공하여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 오프라인 콘서트나 팬미팅 실황 중계를 유료로 제공하여 현장에 가지 못한 팬들도 집에서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콘텐츠는 V LIVE 내의 가상 화폐인 'V 코인'을 구매하여 결제하는 방식이었다. 보통 공연 중계는 500~1000 코인(한화 약 1.1만~2.2만) 정도로 가격이 책정되었다.

=== V LIVE+ ===

V LIVE+ (브이 라이브 플러스)는 미공개 영상이나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팬 맞춤형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였다.[14][52] V LIVE+ 콘텐츠는 'V 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었는데, V 코인 50개는 대략 1USD 정도의 가치를 가졌다.[15][53] 때로는 실제 앨범을 구매했을 때 동봉된 코드를 입력하여 V LIVE+ 콘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었다. 이 경우 별도의 V 코인 구매는 필요하지 않았다.[16][54]

=== CH+ ===

CH+ (채널 플러스)는 특정 아티스트가 개설하는 프리미엄 채널로, 구독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다.[17][55] 구독은 V 코인을 사용하여 30일,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구매할 수 있었다.[17][55] CH+ 채널은 일반 채널과 달리 구독자에게만 공개되는 숨겨진 방송, 비하인드 영상, 독점 사진 및 게시물 등을 제공했다.[18][56] 예를 들어, 프로미스나인이 출연한 V LIVE 독점 드라마의 비하인드 스토리 영상이나, GOT7의 'Real GOT7', 방탄소년단의 'BTS Bon Voyage' 같은 리얼리티 쇼가 CH+를 통해 독점 공개되기도 했다. CH+ 구독자는 라이브 영상 및 녹화된 영상을 시청할 때 광고 없이 볼 수 있는 혜택도 누렸다. 또한, 아티스트가 CH+ 구독자만 참여할 수 있는 전용 채팅방을 개설하여 팬들과 소통하기도 했다.

현재는 공식 팬클럽 가입이 CH+와 유사한 기능을 일부 대체하고 있으며, 이는 V 코인이 아닌 현금 결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가입 시 제공되는 웰컴 키트(공식 팬클럽 굿즈) 유무 등에 따라 가입비가 다르게 책정된다.

=== V 코인 ===

'V 코인'은 V LIVE 서비스 내에서 유료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 화폐이다.[19][57] 유료 상품에는 특정 콘텐츠의 시청 및 다운로드 권한, 서비스 내 특정 기능 이용권 등이 포함된다.[19][57] V 코인은 앱 마켓(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결제, 신용카드, 휴대폰 소액결제, 계좌 이체 등 V LIVE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결제 방식을 통해 구매하거나 충전할 수 있었다.[19][57] 단, iOS 환경에서는 애플의 정책에 따라 결제 절차가 진행되었다.[19][57] V 코인으로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면 해당 아티스트의 스티커나 응원봉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3. 3. 기타 기능

=== 스티커 ===

스티커는 V LIVE 채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아이템이었다.[20] V 코인을 사용하여 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무료이거나 100 코인(1.99USD)이었다.[21] 특정 아티스트의 스티커는 해당 아티스트 채널에서만 사용 가능했지만, 아티스트가 없는 캐릭터 스티커는 모든 채널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20] 스티커 판매는 2021년 12월 1일에 중단되었다.[26]

=== V Lightstick ===

V Lightstick은 특별한 '하트' 아이콘 역할을 하는 디지털 아이템이었다.[22] 이를 탭하면 일반 하트의 두 배 효과를 내고, 특정 하트 수 목표 달성 시 특별한 화면 효과를 보여주며, 라이트스틱을 나타내는 3차원 인터랙티브 객체를 제공했다.[22] V 코인으로 구매 가능했으며, 1일 이용권은 50 코인, 30일 이용권은 150 코인이었다.[23] V Lightstick은 모바일 앱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24]

2018년 12월 7일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초기에는 BTS, GOT7, Red Velvet, Monsta X, NU'EST W, Twice에게만 제공되었다. 같은 해 12월 27일에는 Blackpink, iKON, Seventeen, Winner, Cosmic Girls까지 확대되었다.[25] V Lightstick 판매는 2021년 12월 1일에 중단되었다.[26]

3. 4. V Fansubs (V 팬 자막)

V Fansubs는 사용자가 V LIVE 비디오에 대한 외국어 자막 번역을 직접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막 서비스였다.[27][64] 제출된 자막은 V Fansubs 팀의 검토를 거쳐 V LIVE에 업로드되었다.[27] 이 자막 기능은 V LIVE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대한민국 외의 많은 해외 팬들을 유치하는 데 기여했다.[27][64]

3. 5. Beyond LIVE

2020년 4월, SM 엔터테인먼트네이버는 공연의 글로벌 관객 확대를 목표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공동 노력은 SM 관계자에 따르면 "SM의 콘텐츠 개발 능력과 네이버의 플랫폼 기술"을 결합한 온라인 라이브 콘서트 시리즈인 "Beyond LIVE"의 제작으로 이어졌다.[30] 콘서트는 V LIVE 앱에서 개최되었다.[68]

4. V LIVE AWARDS

V LIVE는 플랫폼 내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매년 'V LIVE AWARDS'라는 시상식을 개최하여 가장 인기 있는 인물과 콘텐츠를 선정했다.[31][32][69][70] 이 시상식은 V LIVE 앱 내 채널을 운영하는 모든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하며, 전 세계 이용자들의 댓글과 하트 수를 기준으로 수상자를 결정했다.[83] 초기에는 개별 방송을 통해 상을 전달했으나,[33][71] 2019년부터는 V Heartbeat라는 이름의 통합 시상식을 개최하여 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34][72] 시상식 관련 사전 투표나 티켓 선예매 등에는 V LIVE의 Fanship 기능이 활용되기도 했다.[83]

4. 1. 시상 부문

V LIVE는 매년 V LIVE 어워드(V LIVE AWARDS)라는 시상식을 개최하여 플랫폼 내에서 활동한 아티스트 중 가장 인기 있는 인물과 콘텐츠를 선정했다.[69][70] 이 시상식은 V LIVE 앱 내에서 채널을 개설하고 활동한 모든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했으며,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댓글 및 하트 수 기준)을 받은 아티스트에게 상을 수여했다.[83]

주요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았다.

  • 글로벌 TOP 10: 한 해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V LIVE 채널 상위 10개에 주어지는 상이었다.[31][32][69][70]
  • 루키 TOP 5: 신인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하며, 가장 인기 있는 신인 채널 상위 5개에 수여되었다.[31][32][69][70]


이 외에도 온라인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인기상 부문이 있었다.[33][71]

처음에는 수상자로 선정된 15개 채널이 각자 개별 방송을 통해 상을 받는 방식이었으나,[33][71] 2019년부터는 V Heartbeat라는 이름의 통합 시상식을 개최하여 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34][72] 시상식 관련 사전 투표나 티켓 선예매는 V LIVE의 Fanship 기능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83]

4. 2. 시상 방식의 변화

V LIVE는 매년 플랫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과 콘텐츠를 기리기 위해 'V LIVE 어워드'를 개최했다.[31][32][69][70] 초기에는 가장 인기 있는 15개 채널이 개별 방송을 통해 상을 받았으나,[33][71] 2019년부터는 V LIVE가 직접 'V Heartbeat'이라는 이름의 시상식을 개최하여 상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4][72]

'V Heartbeat' 시상식은 V LIVE 앱 내에서 채널을 열고 활동한 모든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했으며,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가장 많은 댓글과 하트를 받은 아티스트에게 상을 수여했다.[83] 주요 시상 부문으로는 가장 인기 있는 채널 상위 10개에게 수여되는 '글로벌 TOP 10'과 신인 아티스트를 위한 '루키 TOP 5'가 있었고,[31][32][69][70] 온라인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인기상도 있었다.[33][71] 또한, V LIVE의 Fanship 기능을 활용하여 사전 투표 및 선예매를 진행하기도 했다.[83]

5. 한류에 미친 영향

V LIVE는 한류 연예인들이 전 세계 팬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했다. 특히, 팬들이 직접 참여하는 번역 자막 기능을 통해 언어의 장벽을 넘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35][73][11][49] 이는 한류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특정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현지 팬들과의 접점을 넓히기도 했다.[39][77]

5. 1. 글로벌 팬덤과의 소통

V LIVE는 한국 연예인들이 전 세계의 팬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했다. 특히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해외 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한류 아이돌과 가깝게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했다.[35][73]

이러한 소통을 가능하게 한 핵심 기능 중 하나는 'V Fansubs'라는 자막 서비스였다. V Fansubs는 사용자들이 직접 V LIVE 영상에 외국어 자막 번역을 만들어 제출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제출된 자막은 V Fansubs 팀의 검토를 거쳐 V LIVE에 공식적으로 업로드되었다.[27][64] 이 자막 기능은 V LIVE가 대한민국 외의 지역에서 많은 해외 팬들을 확보하고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7][64]

V LIVE 내에는 팬 번역가들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었다. 이들은 전 세계 더 많은 시청자들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언어로 자막을 제작했으며, 번역한 분량(줄 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기도 했다.[35][73] 자막 제작 과정은 특별한 기술 없이도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으로 설계되었다.[11][49] V LIVE는 팬들의 자막 제작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콘테스트나 이벤트를 열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팬 번역가들에게 V 코인[36][74]이나 좋아하는 아이돌과의 영상 통화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37][75] 이러한 팬들의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일부 영상에는 최대 17개 언어의 자막이 제공되기도 했다.[38][76]

또한 V LIVE는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해 특정 국가와의 협력에도 힘썼다. RBW 엔터테인먼트 베트남과 협력하여 베트남 현지 팬들을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며, K팝과 V팝 스타들을 연결하는 특별 미니 콘서트 'V 하트비트(V Heartbeat)'를 기획하기도 했다. 첫 오프닝 쇼에는 그룹 위너를 베트남에 초청하여 공연을 선보였다.[39][77]

5. 2. 베트남과의 협력

V Live는 RBW의 베트남 자회사와 협력하여 베트남 현지에 맞는 여러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39] 또한 K팝 스타와 V팝 스타 간의 교류를 위해 "V 하트비트"라는 이름의 특별 미니 콘서트를 기획 및 개최하였다. 첫 오프닝 공연에는 그룹 위너가 초청되어 베트남에서 공연을 선보였다.[39]

참조

[1] 뉴스 About V LIVE http://m.vlive.tv/ab[...] 2018-03-07
[2] 뉴스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http://www.koreahera[...] 2015-07-29
[3] 뉴스 Linking You to Hallyu: The V Live Broadcasting App http://seoulbeats.co[...] 2015-09-07
[4] 웹사이트 http://www.nspna.com[...]
[5] 웹사이트 네이버 'V(브이)'…"안드로이드 정식 버전 출시하며 빅뱅 'V LIVE' 시작" http://www.artkoreat[...] 2015-09-02
[6] 웹사이트 Sensor Tower - Mobile App Store Marketing Intelligence https://sensortower.[...]
[7] 웹사이트 http://www.xportsnew[...] 2021-01-27
[8] 웹사이트 V LIVE, Notice 4549 https://www.vlive.tv[...]
[9] 웹사이트 V LIVE https://www.vlive.tv[...]
[10] 뉴스 Channels : V LIVE http://www.vlive.tv/[...]
[11] 논문 K-Pop V Fansubs, V LIVE and NAVER Dictionary: Fansubbers' Synergy in Minimising Language Barriers http://ejournal.ukm.[...] 2017-12-28
[12] 웹사이트 About V LIVE https://www.vlive.tv[...]
[13] 웹사이트 What is a chemi-beat? https://help.naver.c[...]
[14] 웹사이트 What is V Live +(PLUS)? https://help.naver.c[...]
[15] 웹사이트 What are coins and how can I buy them? https://help.naver.c[...]
[16] 웹사이트 GOT7 Voice Thanks To https://www.vlive.tv[...]
[17] 뉴스 [V LIVE] TWICE+ http://www.vlive.tv/[...]
[18]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regular channels and CHANNEL+ https://help.naver.c[...]
[19] 웹사이트 V LIVE - Paid Service Terms https://www.vlive.tv[...]
[20] 웹사이트 What are "stickers"? https://help.naver.c[...]
[21] 웹사이트 STICKERS https://www.vlive.tv[...]
[22] 웹사이트 About V Lightstick https://help.naver.c[...]
[23] 웹사이트 LIGHTSTICK https://www.vlive.tv[...]
[24] 웹사이트 We introduce you V LIGHT STICk 2nd lineup https://help.naver.c[...]
[25] 웹사이트 V Lightstick Use Restrictions https://channels.vli[...]
[26] 웹사이트 V LIVE https://www.vlive.tv[...]
[27] 웹사이트 Guidelines https://subtitle.vli[...]
[28] 웹사이트 What is Chemi-beat? https://help.naver.c[...]
[29] 웹사이트 What is CHEMI-BEAT? https://m.vlive.tv/v[...]
[30] 웹사이트 K-pop stars look to online platforms to fill gap left by canceled performances http://english.hani.[...]
[31] 뉴스 [V Report] Roundup of BTS, GOT7, WJSN's V Live award party http://kpopherald.ko[...] 2019-02-18
[32] 뉴스 The A-Z of K-pop: know your sasaengs from your monster rookies https://www.theguard[...] 2019-06-05
[33] 뉴스 [V Report Plus] Vote for 'Special Award' winner via V app http://kpopherald.ko[...] 2018-01-24
[34] 뉴스 https://entertain.na[...] 2019-11-16
[35] 웹사이트 http://subtitle.vliv[...]
[36] 웹사이트 NOTICE :: V LIVE Fansubs http://subtitle.vliv[...] 2018-04-26
[37] 웹사이트 NOTICE :: V LIVE Fansubs http://subtitle.vliv[...] 2018-04-26
[38] 뉴스 [V LIVE] Run BTS! 2018 - EP.50 http://www.vlive.tv/[...] 2018-04-28
[39] 뉴스 V Live V Heartbeat Opening Show With WINNER https://aminoapps.co[...] 2018-07-08
[40] 웹사이트 V LIVEについて https://www.vlive.tv[...] 2021-03-23
[41] 웹사이트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http://www.koreahera[...] 2015-07-29
[42] 웹사이트 Linking You to Hallyu: The V Live Broadcasting App https://seoulbeats.c[...] 2015-09-07
[43] 웹사이트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http://www.koreahera[...] 2015-07-29
[44] 웹사이트 네이버, 라이브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 ‘V’ 출시…빅뱅 등 셀럽 참여(IT/과학) - NSP통신 http://www.nspna.com[...]
[45] 웹사이트 네이버 'V(브이)'…"안드로이드 정식 버전 출시하며 빅뱅 ‘V LIVE’ 시작" http://www.artkoreat[...] 2015-09-02
[46] 웹사이트 Sensor Tower - Mobile App Store Marketing Intelligence https://sensortower.[...]
[47] 웹사이트 빅히트·네이버 협업, 팬 커뮤니티 플랫폼 강화 [공식입장] http://www.xportsnew[...] 2021-01-27
[48] 웹사이트 チャンネル : V LIVE https://www.vlive.tv[...]
[49] 논문 K-Pop V Fansubs, V LIVE and NAVER Dictionary: Fansubbers’ Synergy in Minimising Language Barriers https://ejournal.ukm[...] 2017-12-28
[50] 웹사이트 V LIVEについて https://www.vlive.tv[...]
[51] 웹사이트 CHEMI-BEATってなに? https://m.vlive.tv/v[...]
[52]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53]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54] 웹사이트 [V LIVE] GOT7 Voice Thanks To https://www.vlive.tv[...]
[55] 웹사이트 TWICE Channel https://www.vlive.tv[...]
[56]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57] 웹사이트 V LIVE - 유료 서비스 이용약관 https://www.vlive.tv[...]
[58]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59] 웹사이트 Store : V LIVE https://www.vlive.tv[...]
[60]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61] 웹사이트 Store : V LIVE https://www.vlive.tv[...]
[62]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63] 웹사이트 We introduce you V LIGHT STICK 2nd lineup :D https://www.vlive.tv[...]
[64] 웹사이트 V Fansubs https://subtitle.vli[...]
[65] 웹사이트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
[66] 웹사이트 What is CHEMI-BEAT? https://m.vlive.tv/v[...]
[67] 웹사이트 V LIVE - Apps on Google Play https://play.google.[...]
[68] 웹사이트 K-pop stars look to online platforms to fill gap left by canceled performances http://english.hani.[...]
[69] 웹사이트 [V Report] Roundup of BTS, GOT7, WJSN’s V Live award party http://kpopherald.ko[...]
[70] 웹사이트 The A-Z of K-pop: know your sasaengs from your monster rookies http://www.theguardi[...] 2018-06-05
[71] 웹사이트 [V Report Plus] Vote for ‘Special Award’ winner via V app http://kpopherald.ko[...] 2021-03-24
[72] 웹사이트 방탄소년단·몬스타엑스, 2관왕 영예‥ITZY→CIX 루키 도약(종합)[V하트비트] https://entertain.na[...] 2021-03-24
[73] 웹사이트 V Fansubs https://subtitle.vli[...] 2021-03-24
[74] 웹사이트 V Fansubs https://subtitle.vli[...] 2021-03-24
[75] 웹사이트 V Fansubs https://subtitle.vli[...] 2021-03-24
[76] 웹사이트 [V LIVE] Run BTS! 2018 - EP.50 https://www.vlive.tv[...] 2021-03-24
[77] 웹사이트 Winner for VLive V Heartbeat in Vietnam {{!}} K-Pop Amino https://aminoapps.co[...] 2021-03-24
[78] 뉴스 About V LIVE http://m.vlive.tv/ab[...] 2018-03-07
[79] 뉴스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07-29
[80] 뉴스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5-07-29
[81] 뉴스 "힙합예능·판타지로맨스·태연·첸" V오리지널 풍성한 11월 라인업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11-01
[82] 뉴스 네이버 브이라이브, 3월 V오리지널 라인업 공개..'일진에게 찍혔을때2' 출격[공식]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3-13
[83] 웹인용 [VLIVE] 2019 VLIVE AWARDS V HEARTBEAT https://www.vlive.tv[...] 2020-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