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gin Musi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irgin Music은 유니버설 뮤직 재팬 산하의 일본 음반사로, 영국 버진 레코드의 일본 법인으로 시작하여 EMI, 도시바 EMI를 거쳐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되었다. 현재는 버진 레코드, 딜리셔스 델리 레코드 등의 레이블을 운영하며,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K팝 아티스트와의 협업 및 한일 음악 교류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MI 뮤직 재팬 - EMI 레코드 재팬
EMI 레코드 재팬은 2012년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된 후 2013년 유니버설 뮤직 재팬에 통합되어 하위 레이블이 되었으며, 레이블 재편을 통해 소속 아티스트들은 Nayutawave Records나 Virgin Records로 이전되었다. - 유니버설 뮤직 재팬 - 유니버설 뮤직 (일본)
유니버설 뮤직 (일본)은 1927년 설립되어 독일 그라모폰의 음반 판매를 시작으로, EMI 뮤직 재팬 인수를 통해 일본 음악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소녀시대, 몬스타엑스, 블랙핑크, 방탄소년단, (여자)아이들, King & Prince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반을 발매하는 음반 회사이다. - 유니버설 뮤직 재팬 - AWA (온라인 음악 서비스)
AWA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1억 곡 이상의 음원을 제공하는 월정액 기반 구독형 온라인 음악 서비스로, 사용자 소통 기능 강화 및 맞춤 추천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 일본의 음반사 - 유니버설 뮤직 (일본)
유니버설 뮤직 (일본)은 1927년 설립되어 독일 그라모폰의 음반 판매를 시작으로, EMI 뮤직 재팬 인수를 통해 일본 음악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소녀시대, 몬스타엑스, 블랙핑크, 방탄소년단, (여자)아이들, King & Prince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반을 발매하는 음반 회사이다. - 일본의 음반사 - 란티스
란티스는 1999년 반다이 뮤직 엔터테인먼트 구조조정 후 해고된 직원들이 설립하여 애니메이션 및 게임 관련 음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해 온 일본의 음악 레이블이자 반다이 남코 뮤직 라이브의 레이블이며, 2018년 반다이 비주얼과 합병하여 반다이 남코 아츠 발족과 함께 해산되었으나 레이블명은 존속하고 있다.
Virgin Music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레이블 명칭 | 버진 뮤직 |
영문 명칭 | Virgin Music |
모회사 | 유니버설 뮤직 합동회사 |
설립일 | 2014년 4월 15일 (현재 레이블 설립일, 패키지 제작 표기는 2014년 6월 25일 발매분부터) |
창립자 | 후지쿠라 나오시 (유니버설 뮤직 합동회사 사장 겸 최고 경영 책임자) |
유통 | 유니버설 뮤직 |
장르 | J-POP |
웹사이트 | Virgin Music (Artist - UNIVERSAL MUSIC JAPAN) |
2. 역사
영국 버진 레코드가 전액 출자하여 설립한 '버진 재팬'이 그 기원이었으나, 영국 EMI가 버진 레코드를 인수하면서 도시바 EMI(EMI의 전 회사명)에 통합되어 그곳의 한 레이블이 되었다. 법인으로서의 '버진 재팬'은 포니캐년이 인수하여 미디어 레모라스가 되었으나, 1997년에 해산되었다.[9]
일본 음반에서 버진 레코드의 제품 번호는 'VJ'로 시작하지만, 버진 재팬 레이블의 경우 통합 이전에는 'TO'로 시작했다 (CD의 경우 'TOCT-'가 됨). 이 'TO'는 도시바 EMI 시절의 흔적이다. 현재는 'TYCT' 및 'UICV'로 시작된다.[1]
J-pop 섹션으로는 예전에는 Virgin Domestic(2부 형식), Virgin TOKYO, DREAMS COME TRUE의 전용 레이블인 Virgin DCT의 세 가지 레이블이 존재했으며, 각 섹션마다 운영을 했다. 2002년 DREAMS COME TRUE가 다른 회사로 이적하면서 Virgin DCT는 운영을 종료했으며, 2004년 4월 1일 다른 3개 섹션도 현재의 Virgin Music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이후 RESERVOIR RECORDS가 설립되었지만, 2007년 10월 본 레이블의 산하(실질적으로는 흡수 통합)가 된다.[9]
2012년, EMI 뮤직 재팬의 모회사인 영국 EMI의 음악 소프트웨어 부문이 미국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매수되면서, EMI 뮤직 재팬은 2013년 3월 31일 해산되었다.[9] 4월 1일, 유니버설 뮤직 재팬(UMJ)의 제작 부문인 EMI Records Japan으로 통합되었고, Virgin Music은 일시적으로 소멸되었다.
2014년 4월 15일, UMJ의 일본 음악 레이블 EMI R과 Delicious Deli Records가 통합되어 Virgin Music이 사실상 부활했다.[2] 같은 해 6월부터 패키지의 제작 표기가 EMI R과 Delicious Deli Records에서 Virgin Music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Delicious Deli Records 및 Virgin Records의 업무를 흡수, 양 레이블은 Virgin Music에 통합되었다.[3]
2. 1. 버진 재팬 설립과 EMI 인수
원래 영국 버진 레코드가 전액 출자하여 설립한 '버진 재팬'이 그 기원이다. 그러나 영국 EMI가 버진 레코드를 인수하면서 버진 재팬은 도시바 EMI(EMI의 전 회사명)에 통합되어, 도시바 EMI의 한 레이블이 되었다. 한편, 법인으로서의 '버진 재팬'은 포니캐년이 인수하여 미디어 레모라스가 되었으나, 1997년에 해산되었다.[9]일본 음반에서 버진 레코드의 제품 번호는 'VJ'로 시작하지만, 버진 재팬 레이블의 경우 통합 이전에는 'TO'로 시작했다 (CD의 경우 'TOCT-'가 됨). 이 'TO'는 도시바 EMI 시절의 흔적이다. 현재는 'TYCT' 및 'UICV'로 시작된다.[1]
2. 2. 도시바 EMI 레이블 시대
원래는 영국 버진 레코드의 전액 출자로 설립된 ‘버진 재팬’이 그 기원이었지만, 영 EMI에 의한 버진 레코드의 매수에 따라서 도시바 EMI(EMIJ의 전 회사명)에 통합되어, 도시바 EMI의 한 레이블이 되었다. (이때, 법인으로서의 ‘버진 재팬’은 포니캐년이 매수했으며, 미디어 레모라스가 되었다(1997년 해산)).[9]일본 음악의 버진 레코드 일본 음반 제품 번호는 ‘VJ’로 시작되지만, 본 레이블의 경우에는 통합 이전에는 ‘TO’로 시작되었다. (CD의 경우, ‘TOCT-’가 되는) 이 ‘TO’는 도시바 EMI 시절의 흔적이다. 현재는 ‘TYCT’ 및 ‘UICV’로 시작된다.[1]
J-pop 섹션으로는 예전에는 Virgin Domestic(2부 형식), Virgin TOKYO, DREAMS COME TRUE의 전용 레이블인 Virgin DCT의 세 가지 레이블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 섹션마다 운영을 행하고 있었다. 2002년에 DREAMS COME TRUE의 이적을 계기로 Virgin DCT는 운영을 종료했으며, 2004년 4월 1일에 다른 3 섹션도 현재의 Virgin Music로 흡수통합됐다. 또, 그 후에도 RESERVOIR RECORDS가 설립됐지만, 2007년 10월에 본 레이블의 산하(실질적으로는 흡수통합)가 된다.[9]
2. 3. 유니버설 뮤직 재팬 산하 레이블 시대
2012년, EMI 뮤직 재팬의 모회사인 영국 EMI의 음악 소프트웨어 부문이 미국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매수되면서, EMI 뮤직 재팬은 2013년 3월 31일 해산되었다.[9] 4월 1일, 유니버설 뮤직 재팬(UMJ)의 제작 부문인 EMI Records Japan으로 통합되었고, Virgin Music은 일시적으로 소멸되었다.2014년 4월 15일, UMJ의 일본 음악 레이블 EMI R과 Delicious Deli Records가 통합되어 Virgin Music이 사실상 부활했다.[2] 같은 해 6월부터 패키지의 제작 표기가 EMI R과 Delicious Deli Records에서 Virgin Music으로 변경되었다.
3. 소속 아티스트
버진 뮤직에는 방탄소년단, LE SSERAFIM과 같은 K팝 그룹부터, Ado와 같은 일본 J-POP 아티스트, 에반에센스와 같은 해외 아티스트까지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소속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주요 아티스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아티스트
다음은 버진 뮤직의 주요 아티스트 목록이다.그룹 | |
---|---|
솔로 |
3. 2. HYBE LABELS 관련 아티스트
HYBE LABELS 소속 아티스트들의 소속 레코드 레이블은 예외를 제외하고[7] 모두 Virgin Music이다. 소속사는 ( ) 안에 기술한다.- &TEAM (HYBE LABELS JAPAN)
- ENHYPEN (BELIFT LAB)
- 방탄소년단 (BIGHIT MUSIC)
- 세븐틴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EP 'DREAM' 유통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BIGHIT MUSIC) - Virgin Music 산하의 Republic Records에 소속
3. 3. Def Jam Recordings
Def Jam Recordings일본어 소속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아티스트명 |
---|
AK-69 |
SWAY |
IO |
3. 4. 과거 소속 아티스트
다음은 과거 버진 뮤직에 소속되었던 아티스트 목록이다.아티스트명 | 비고 |
---|---|
시이나 링고 | EMI RECORDS로 이적 |
샤이니 | EMI RECORDS로 이적 |
래드윔프스 | EMI RECORDS로 이적 |
글레이 | |
아이유 | |
아카이 코엔 | 유니버설 J로 이동 |
ABCHO | |
ANTHEM | 빅터 엔터테인먼트 → Virgin Music → 워드 레코드로 이적 |
175R | 활동 재개 후, EMI Records로 이동 |
우타다 히카루 | 한때 Foozay Music에 소속 |
AOA | |
AK | EMI Records로 이동 |
N.Flying | FNC RECORDS로 이적 |
오오쿠로 마키 | |
오니즈카 치히로 | |
김현중 | |
CTS | |
도쿄지헨 | EMI Records로 이동 |
DREAMS COME TRUE | |
하나에 | |
볼즈 | 2017년 해산, 2020년 재결성 |
BOYS AND MEN | USM JAPAN으로 이동 |
MACO | 소니 뮤직 레코드로 이적 |
마네키케챠 | 일본 컬럼비아로 이적 |
The Mirraz | |
모리타 도지 | 폴리도르 → 워너 파이오니아 → 워너 뮤직 재팬 → 버진, 2018년 사망 |
야이다 히토미 | |
야시로 아키 | 2023년 사망[8] |
YOSHI | 2022년 사망 |
요시이 카즈야 | |
라스트 아이돌 | |
린 유춘 | |
LEO 이마이 |
4. 레이블 운영 및 협력
버진 뮤직은 다양한 레이블을 운영하고 있으며, 타 레이블 및 기업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산하에 여러 내부 레이블을 두고 있다.
4. 1. 내부 레이블
다음은 버진 뮤직의 내부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 목록이다.아티스트 |
---|
赤い公園|아카이코엔일본어 |
방탄소년단 |
애시드맨 |
알피 |
타카미자와 토시히코 |
이마이 미키 |
우타다 히카루 (한때 Foozay Music에 소속) |
오자와 켄지 (이전 EMI Music Japan 계약 종료 후 재계약) |
Kimonos |
GLIM SPANKY |
GREAT3 (이전 EMI Music Japan 계약 종료 후 재계약) |
스트레이테너 |
타카하시 유키히로 |
친자 DOPENESS |
the telephones |
テスラは泣かない。|테스라와 나카나이일본어 |
Haruka Hummingbird |
하나에 |
볼즈 |
호테이 토모야스 |
미야비 |
The Mirraz |
蜜|미츠일본어 |
LEO 이마이 |
ABCHO |
인피니트 |
AOA |
kainatsu |
김현중 |
크리스털 케이 |
劇団四季|게키단시키일본어 |
こんにちは\(^o^)/きらりんぼ☆ハリー!!!|곤니치와 키라린보 하리일본어 |
CTS |
Che'Nelle |
Scott & Rivers |
SPICY CHOCOLATE |
뱀프스 |
BEE SHUFFLE |
BOYS AND MEN |
MACO |
린위춘 |
5. 한국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Virgin Music영어은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Virgin Music영어은 주로 영미권 음악 시장을 중심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한국 대중음악 시장과는 지리적, 문화적으로 거리가 멀었다.
6.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부재로 인해 빈 내용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참조
[1]
문서
ユーメックス
[2]
웹사이트
ユニバーサル、4/15付組織変更および人事異動を発表
https://www.musicman[...]
Musicman
2022-11-29
[3]
웹사이트
ユニバーサル 2017/1/1付組織変更および役員人事発表、楮本昌裕氏が執行役員に就任
https://www.musicman[...]
Musicman
2022-11-29
[4]
웹사이트
歴代最年少10代目ミュージカル『ピーター・パン』役を務めた吉柳咲良、10代最後の日にアーティストデビュー
https://www.barks.jp[...]
BARKS
2024-05-07
[5]
웹사이트
shallm、ドラマ『女子高生、僧になる。』OP主題歌でメジャーデビュー
https://www.barks.jp[...]
BARKS
2023-08-30
[6]
뉴스
平手友梨奈、新曲「bleeding love」 10月16日(水)配信開始!
https://prtimes.jp/m[...]
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2024-10-16
[7]
문서
LE SSERAFIM
[8]
뉴스
ファンの皆様、並びに関係者の皆様へ
http://yashiro.mirio[...]
2024-10-17
[9]
문서
일본 내에서는 자국의 가요인 J-pop을 나락(邦楽)이라고 칭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