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inds.는 2000년 결성된 일본의 3인조 댄스 팝 그룹으로, 치바 료헤이, 타치바나 케이타, 오가타 류이치로 구성되었다. 2001년 데뷔 후, 2020년 오가타 류이치가 탈퇴하며 현재는 2인조로 활동하고 있다. 버블검 팝 스타일로 시작하여 댄스 비트와 발라드로 음악적 변화를 시도했으며, 일본 레코드 대상, MTV Student Voice Awards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2004년 대만 데뷔를 시작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며, 2006년에는 Mnet KM 뮤직 페스티벌에 출연하는 등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정규 앨범, 베스트 앨범, 싱글 등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으며, 영화와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니 캐년 음악가 - 칸다 사야카
칸다 사야카는 배우 칸다 마사키와 가수 마츠다 세이코의 딸로, 배우, 가수, 성우로서 활동하며 영화, 무대, 음악,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으나 2021년 사망했다. - 포니 캐년 음악가 - 호리 치에미
호리 치에미는 1981년 데뷔하여 1982년 가수로 데뷔한 일본의 가수 겸 배우로, 1980년대 드라마 주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은퇴 후 복귀, 2019년 혀암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 끝에 완치 판정을 받아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 일본의 보이 밴드 - 시부가키대
1981년 드라마 출연을 계기로 결성된 시부가키타이는 후카와 토시카즈, 모토키 마사히로, 야쿠마루 히로히데로 구성된 일본의 3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NAI・NAI 16" 데뷔 후 큰 인기를 얻었으나 1988년 해체 후 멤버들은 각자 활동 중이다. - 일본의 보이 밴드 - SMAP
SMAP은 1988년 쟈니즈 사무소에서 결성되어 1991년 데뷔한 5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가수 활동은 물론 드라마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세상에 하나뿐인 꽃" 등 다수의 밀리언 셀러 곡을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2016년 해산했다.
W-inds.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그룹명 | w-inds. |
로마자 표기 | Uinzu |
발음 | 윈즈 |
스타일 | w-inds. |
출신지 | 시부야, 도쿄, 일본 |
장르 | R&B 힙합 댄스 J-POP 랩 록 |
활동 기간 | 2001년–현재 |
레이블 | 포니캐년 플라이트 마스터 |
웹사이트 | w-inds. 공식 웹사이트 |
소속사 | 라이징 프로덕션 |
유튜브 채널 | windstvofficial |
유튜브 채널 개설일 | 2011년 |
유튜브 장르 | 음악 |
구독자 수 | 약 10.3만 명 |
조회수 | 약 6428.9만 회 |
실버 버튼 획득 | 2023년 |
통계 업데이트 날짜 | 2023년 10월 25일 |
멤버 | |
현재 멤버 | 지바 료헤이 다치바나 게이타 |
이전 멤버 | 오가타 류이치 |
2. 멤버
치바 료헤이, 타치바나 케이타, 오가타 류이치 3인조로 결성되었다.
2020년 5월 31일, 멤버 오가타 류이치가 심신증을 이유로 그룹을 탈퇴하고 소속사와의 계약을 종료했다.[42][45] 이후 타치바나 케이타와 치바 료헤이 2인 체제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멤버별 이미지 컬러는 2005년 발매된 앨범 『ageha』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치바 료헤이는 파란색, 타치바나 케이타는 초기 노란색에서 2006년부터 빨간색으로 변경되었고, 탈퇴한 오가타 류이치는 초록색을 사용했다. 2009년 여름부터 그룹 통일 이미지 컬러로 파란색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멤버 컬러는 의상이나 상품 등에 계속 활용되었다. 2024년부터는 그룹 컬러를 흰색으로 변경했으며, 멤버 타치바나 케이타는 어떤 색으로든 물들 수 있는 흰색이 그룹의 이미지라고 설명했다.
2. 1. 현 멤버
2020년 6월 1일, 멤버 오가타 류이치가 심신증으로 인해 2020년 5월 31일자로 그룹을 탈퇴하고 소속사와의 계약을 종료했다. 이후 타치바나 케이타와 치바 료헤이 2인 체제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42] 기존에는 타치바나 케이타가 메인 보컬을, 치바 료헤이와 오가타 류이치가 댄스와 코러스를 담당했으나, 2인 체제로 전환된 후에는 타치바나 케이타와 치바 료헤이가 함께 보컬을 맡고 있다.이름 | 생년월일 | 출신지 | 혈액형 | 멤버 컬러 | 담당 |
---|---|---|---|---|---|
치바 료헤이 (千葉 涼平) | 1984년 11월 18일 | 홋카이도 삿포로시 | B형 | 파랑 | 리더 보컬 & 댄스 작사 |
타치바나 케이타 (橘 慶太) | 1985년 12월 16일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B형 | 빨강 | 보컬 & 댄스 작사, 작곡, 편곡 프로듀스 |
2. 2. 이전 멤버
2020년 6월 1일, 멤버 오가타 류이치가 심신증으로 인해 2020년 5월 31일부로 그룹을 탈퇴하고 소속사와의 계약을 종료했다.[42]
2000년 11월부터 요요기 공원, 시부야 등지에서 거리 공연을 시작하며 활동 기반을 다진 w-inds.는 2001년 3월 14일 싱글 「포에버 메모리스(Forever Memories)」로 메이저 데뷔했다. 데뷔 첫해 제43회 일본 레코드 대상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하고, 첫 정규 앨범 『w-inds.〜1st message〜』가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2002년에는 NHK 홍백가합전에 처음 출연했다.
3. 역사
초기에는 R&B, 힙합, 댄스 뮤직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활동했으며,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004년 타이완에서 첫 해외 단독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했고, 3번째 정규 앨범 『w-inds.〜PRIME OF LIFE〜』는 일본 남성 가수 최초로 타이완 종합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현지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 이후 중국, 홍콩, 한국 등 아시아 여러 국가로 활동 범위를 넓히며 IFPI 홍콩 Top Sales Music Award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는 등 대표적인 일류(日流) 아티스트 중 하나로 성장했다.
2017년부터는 보컬 타치바나 케이타가 작사, 작곡뿐만 아니라 레코딩, 믹싱, 마스터링까지 직접 담당하는 셀프 프로듀스 체제로 전환하며 음악적 변화를 모색했다.[40][41] 2020년 5월 31일에는 멤버 오가타 류이치가 심신증을 이유로 그룹을 탈퇴하고 소속사와의 계약을 종료하면서,[42][45] 타치바나 케이타와 치바 료헤이 2인 체제로 재편되었다. 2인조 전환 이후에는 두 멤버가 함께 보컬을 맡는 형태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룹 이름 'w-inds.'는 북쪽(홋카이도) 출신 멤버들과 남쪽(후쿠오카현) 출신 멤버를 상징하는 바람(wind)이 합쳐져 세계로 나아가고 승리(win)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와 '.'은 인터넷 시대를 반영한 것이다. 그룹의 상징색은 초기 멤버별 색상(치바 료헤이-파랑, 타치바나 케이타-빨강, 오가타 류이치-초록)을 사용하다 2009년 '음악계의 일본 대표'를 목표로 한다는 의미에서 파란색으로 통일했고, 2024년에는 "어떤 색으로든 물들 수 있다"는 의미의 흰색으로 변경했다.
3. 1. 결성 이전 (2000년)
2000년,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출신의 타치바나 케이타가 연예 기획사 비전 팩토리(Vision Factory)가 주최한 스타라이트 오디션(Starlight Auditions)을 통과하여 계약을 맺었다. 같은 해, 삿포로의 같은 댄스 스쿨에 다녔던 치바 료헤이와 오가타 류이치도 댄스 오디션을 통해 그룹에 합류했다. 세 사람은 함께 생활하기 위해 도쿄로 이사했으며, 2000년 11월부터 요요기 공원과 시부야 등지에서 거리 공연을 시작하며 그룹을 알렸다. 이들의 거리 공연은 정식 데뷔 전인 2001년까지 이어졌으며, 약 8,000명의 관객을 모으기도 했다.
그룹 이름 'w-inds.'는 홋카이도(북쪽) 출신인 치바와 오가타, 후쿠오카현(남쪽) 출신인 타치바나를 상징하며, 두 방향의 바람(wind)이 하나 되어 전 세계에 퍼져나가고 승리(win)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름에 포함된 하이픈(-)과 마침표(.)는 결성 당시 확산되던 인터넷을 염두에 둔 것이다.
w-inds.는 DA PUMP의 후배 그룹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데뷔곡 안무는 당시 DA PUMP 멤버였던 KEN이 담당하기도 했다.
3. 2. 데뷔 및 초기 활동 (2001년 ~ 2003년)
2000년 11월부터 요요기 공원과 시부야 등지에서 거리 공연을 시작하며 활동 기반을 다졌다. 이러한 노력은 2001년 3월 시부야 보행자 천국 광장에서 열린 공연에서 8,000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같은 해 3월 14일, 싱글 「포에버 메모리스(Forever Memories)」를 발표하며 메이저 데뷔를 이루었다. 데뷔곡의 안무는 선배 그룹인 DA PUMP의 멤버 KEN이 맡았으며, 이후 서로의 라이브 공연에서 오프닝 액트(전좌)를 서기도 했다. 데뷔 첫해 제43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했고, 12월에 발매된 첫 정규 앨범 『w-inds.〜1st message〜』는 오리콘 차트 첫 등장 1위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2002년에는 싱글 「Another Days」와 「Because of you」로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연말에는 NHK 홍백가합전에 처음으로 출연하는 등 인기를 이어갔다. 2003년에도 싱글 「SUPER LOVER〜I need you tonight〜」와 「Long Road」가 오리콘 싱글 차트 1위에 올랐다.
데뷔 초 w-inds.의 음악은 당시 유행하던 버블검 팝 스타일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보컬 타치바나 케이타는 부모님이 모두 DJ였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미국 음악에 익숙했으며[1], 여섯 번째 싱글 「Because of you」는 "미국 스타일"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003년부터는 점차 경쾌한 팝 비트에서 벗어나 성숙한 가사를 담은 감성적인 발라드 곡들을 선보이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주요 발매 싱글 (2001년 ~ 2003년)'''
순서 | 제목 | 발매일 | 최고 순위 (오리콘) |
---|---|---|---|
1 | 포에버 메모리스 (Forever Memories) | 2001년 3월 14일 | 12위 |
2 | 필 더 페이트 (Feel The Fate) | 2001년 7월 4일 | 8위 |
3 | 패러독스 (Paradox) | 2001년 10월 17일 | 3위 |
4 | 트라이 유어 이모션 (try your emotion) | 2002년 2월 20일 | 2위 |
5 | 어나더 데이스 (Another Days) | 2002년 5월 22일 | 1위 |
6 | 비코즈 오브 유 (Because of you) | 2002년 8월 21일 | 1위 |
7 | 뉴 파라다이스 (NEW PARADISE) | 2002년 11월 13일 | 2위 |
8 | 슈퍼 러버〜아이 니드 유 투나잇〜 (SUPER LOVER〜I need you tonight〜) | 2003년 5월 21일 | 1위 |
9 | 러브 이즈 메시지 (Love is message) | 2003년 8월 20일 | 2위 |
10 | 롱 로드 (Long Road) | 2003년 10월 29일 | 1위 |
3. 3. 아시아 진출 및 확장 (2004년 ~ 2011년)
2004년, w-inds.는 타이완에서 첫 해외 단독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본격적인 아시아 활동의 시작을 알렸다. 같은 해 발매된 3번째 정규 앨범 ''w-inds.〜PRIME OF LIFE〜''는 타이완 종합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우타다 히카루, 하마사키 아유미에 이어 일본 가수로는 세 번째이자, 일본 남성 가수로는 최초의 기록이었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2006년에는 외국인 아티스트 최초로 타이완 앨범 차트에서 4개 앨범 연속 1위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2007년에는 일본에서 개봉한 영화 ''슈렉 3''의 일본판 주제가인 싱글 "LOVE IS THE GREATEST THING"을 발매했다.[12][13][14]
2008년 11월 26일에는 첫 더블 A면 싱글인 "Everyday/CAN'T GET BACK"을 발매하여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2009년 5월 13일에는 또 다른 더블 A면 싱글 "Rain Is Fallin'/HYBRID DREAM"을 발표했다. 특히 타이틀 곡 "Rain Is Fallin'"은 한국의 인기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랩 피처링으로 참여하여 큰 화제를 모았으며, 이 싱글 역시 오리콘 주간 차트 2위에 올랐다.[5]
2009년 여름부터 연말까지는 일본 전국 투어 'Sweet Fantasy'를 진행했으며, 11월에는 타이완과 홍콩으로 투어를 확장했다. 홍콩 공연에는 약 8,000명의 관객이 모여 현지에서의 높은 인기를 증명했다. 같은 해 12월 9일에는 다시 한번 더블 A면 싱글 "New World/Truth〜最後の真実〜"를 발매하여 오리콘 주간 차트 2위를 기록했다.[7] 수록곡 "Truth〜最後の真実〜"는 세계적인 팝스타 니요와 프로듀서 B. 하워드가 w-inds.의 실력을 인정하고 직접 작곡해 준 곡으로 알려졌으며,[7][8] 뮤직비디오는 'Sweet Fantasy' 투어 중 방문했던 홍콩에서 촬영되었다.[7]
이후에도 w-inds.는 꾸준히 아시아 시장을 공략했다. 2010년 6월 23일에는 싱글 "Addicted to love" (오리콘 3위)를, 2011년에는 더블 A면 싱글 "Be As One/Let's get it on" (1월 26일, 오리콘 4위)과 싱글 "You & I" (8월 17일, 오리콘 9위)를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기 w-inds.는 중국, 홍콩, 타이완, 한국 등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음반 발매와 라이브 공연을 활발히 개최했으며, 각국의 음악 시상식에서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또한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국제 행사에 참여하며 활동 범위를 넓혀나갔다. 이러한 활발한 아시아 활동을 인정받아 2004년 앨범 ''w-inds.〜PRIME OF LIFE〜''부터 2012년까지 총 10개의 작품으로 IFPI 홍콩 Top Sales Music Award에서 '베스트 세일즈 릴리스 일한 부문' 상을 수상했으며, 공로상을 받기도 했다.
3. 4. 변화와 새로운 도전 (2012년 ~ 현재)
2012년 7월 4일, 9번째 정규 앨범 `MOVE LIKE THIS`를 발매하며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2월에는 싱글 `FLY HIGH`를 발표했다. 2013년에는 싱글 `A Little Bit`를 발매했다.2014년에는 10번째 정규 앨범 `Timeless`를 발매했으며, 싱글 `夢で逢えるのに〜Sometimes I Cry〜`는 에릭 베넷의 곡 "Sometimes I Cry"를 일본어로 커버한 곡이다.
2015년에는 11번째 정규 앨범 `Blue Blood`와 싱글 `FANTASY`, `In Love With The Music`을 발매했다. 2016년에는 싱글 `Boom Word Up`과 `Backstage`를 발표했다.
2017년에는 12번째 정규 앨범 `INVISIBLE`을 발매했다. 이 시기부터 싱글 `We Don't Need To Talk Anymore`를 시작으로 보컬 키타가와 케이타가 직접 곡 작업 전반을 담당하는 셀프 프로듀스가 본격화되었다. 키타가와는 작사, 작곡뿐 아니라 레코딩, 믹싱, 마스터링까지 참여하고 있다.[40][41] 같은 해 싱글 `Time Has Gone`도 발매되었다.
2018년에는 13번째 정규 앨범 `100`과 싱글 `Dirty Talk`를, 2019년에는 싱글 `Get Down`을 발매했다. 2020년 1월에는 싱글 `DoU`를 발표했다.
2020년 6월 1일, 멤버 오가타 류이치가 심신증으로 인해 5월 31일부로 그룹을 탈퇴하고 소속사와의 계약을 종료한다고 발표되었다.[42][45] 이로써 w-inds.는 키타가와 케이타와 치바 료헤이 2인 체제로 재편되었고, 기존의 키타가와(보컬), 치바와 오가타(댄스, 코러스) 역할 분담에서 키타가와와 치바의 듀엣 보컬 체제로 변화했다.
2인조 재편 후 첫 앨범이자 통산 14번째 정규 앨범인 `20XX: 위 아`는 2021년 11월 24일에 발매되었다.
2023년 3월 14일, 그룹 결성 22주년을 기념하여 15번째 정규 앨범 `Beyond`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키타가와 케이타가 프로듀스한 곡 외에도 과거 w-inds.와 작업했던 작가진이 참여하여 그룹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의미를 담았다. 같은 해 6월 9일에는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가 1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를 기념하는 생방송이 진행되었다.[43]
2024년부터는 그룹의 상징색을 기존의 파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했다. 멤버 키타가와 케이타는 SNS를 통해 "어떤 색으로든 물들 수 있는 흰색"이 그룹의 이미지와 같다고 설명했다.
4. 음악 스타일
R&B와 힙합, 댄스 뮤직 등 하나의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다채로운 음악 장르에서 활동한다. DA PUMP의 후배 그룹으로, 데뷔곡은 당시 DA PUMP 멤버였던 KEN이 안무를 맡기도 했다.
2017년 발표한 싱글 「We Don't Need to Talk Anymore」 이후 멤버 키타가와 케이타가 그룹의 곡 작사, 작곡뿐만 아니라 레코딩, 트랙 다운, 마스터링까지 직접 담당하는 셀프 프로듀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40][41]
초기에는 키타가와 케이타가 주로 보컬을 담당하고 치바와 오가타 류이치가 댄스와 코러스를 맡는 구성이었으나, 2020년 오가타 류이치의 탈퇴 이후 키타가와와 치바의 듀엣 보컬 체제로 변화하였다.
2023년 발매된 앨범 「Beyond」에서는 키타가와 케이타가 프로듀스한 곡 외에도 과거 w-inds.를 지원했던 작가진이 참여한 곡들을 함께 수록하여, 그룹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음악적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5. 수상 경력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어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일본
- We dance for everyone-
2011년 6월 22일 2CD/2CD+DVD 9위 4 w-inds. 10th Anniversary Best Album
-We sing for you-2011년 6월 22일 2CD/2CD+DVD 10위 5 w-inds. Best Album『20XX “THE BEST”』 2021년 3월 14일 3CD/4CD+DVD 1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