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P-1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14는 2008년 트랜싯 관측을 통해 발견된 외계 행성이다. 발견 당시 알려진 행성 중 밀도가 가장 높은 것 중 하나였으며, WASP-14b라는 행성을 가지고 있다. WASP-14b는 약 7.725 목성 질량, 2.243756일의 궤도 주기, 0.037 AU의 궤도 장반경, 0.095의 이심률, 84.79°의 궤도 경사, 1.259 목성 반지름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동자리 - 사분의자리 유성우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매년 1월 초에 나타나는 유성우로, 폐지된 별자리인 사분의자리에서 복사점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복사점은 목동자리와 용자리 사이에 있으며, 최대 시간당 유성수는 변동이 심하고 활동 기간은 짧으며, 소행성 2003 EH₁이 모천체로 추정되고 혜성 C/1490 Y1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 목동자리 - 아르크투루스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며 태양계에 접근하고,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WASP-14 | |
---|---|
기본 정보 | |
별자리 | 우시장자리 |
겉보기 등급 | 9.745 ± 0.026 |
특징 | |
분광형 | F5V |
변광성 | V*(1SWASP) |
위치 정보 | |
고유 운동 - 적경 | 28.7 ± 0.6 |
고유 운동 - 적위 | −6.6 ± 0.8 |
시차 | 6.1442 |
시차 오차 | 0.0305 |
절대 등급 | 10.194 ± 0.029 |
물리적 특성 | |
질량 | ~1.319 태양질량 |
반지름 | ~1.297 태양반지름 |
광도 | 2.61 태양광도 |
표면 온도 | 6475 ± 100 K |
표면 중력 | ~21,9 g |
금속 함량 | 0 ± 0.2 |
자전 | 알려지지 않음 |
나이 | 750 ± 250 Myr |
식별 정보 | |
고유 명칭 | BD+22° 2716, 2MASS J14330635+2153409, PPM 103396, TYC 1482-882-1, GSC 01482-00882, SAO 83398, Gaia DR2 1242084170974175232 |
2. 행성계
2008년 트랜싯(Transit, 통과) 관측 및 분석을 통해 외계 행성 WASP-14b가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발견 당시 알려진 외계 행성들 중 밀도가 매우 높은 편에 속했다. 이 높은 밀도 때문에 통과 행성의 일반적인 모델로는 반지름을 추정하기 어려웠으나, 포트니(Fortney) 등의 모델을 적용한 추정치와는 잘 들어맞는 것으로 확인되었다.[8]
2. 1. 특징
WASP-14b는 2008년 통과(Transit) 관측 및 분석을 통해 발견된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은 발견 당시 알려진 외계 행성들 중 밀도가 매우 높은 편에 속했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통과 행성의 일반적인 모델로는 반지름을 추정하기 어려웠으나, 포트니(Fortney) 등의 모델을 적용한 추정치와는 잘 들어맞는다.[8]항목 | 값 |
---|---|
질량 (MJ) | 7.341 |
공전 주기 (일) | 2.243752 |
긴반지름 (AU) | 0.036 |
이심률 | 0.091 |
궤도 경사 (°) | 84.32 |
반지름 (RJ) | 1.281 |
2. 2. 물리적 성질
2008년 통과(Transit) 관측 및 분석을 통해 외계 행성 WASP-14b가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발견 당시 알려진 외계 행성들 중에서도 밀도가 매우 높은 편에 속했다. 이러한 높은 밀도 때문에 일반적인 통과 행성 모델로는 반지름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웠으나, 포트니(Fortney) 등의 모델과는 잘 들어맞았다.[2]WASP-14b의 주요 물리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성질 | 값 |
---|---|
질량 | 7.341 ± 0.509 MJ |
공전 주기 | 2.243752 ± 0.000010 일 |
궤도 긴반지름 | 0.036 ± 0.001 AU |
궤도 이심률 | 0.091 ± 0.003 |
궤도 경사각 | 84.32 ± 0.67 ° |
반지름 | 1.281 ± 0.082 RJ |
참조
[1]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BD+22 2716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5-04
[2]
논문
Planetary Radii across Five Orders of Magnitude in Mass and Stellar Insolation: Application to Transits
[3]
웹사이트
BD+22 2716 -- Star
https://simbad.u-str[...]
CDS
2017-11-01
[4]
논문
WASP-14b: 7.3 MJ transiting planet in an eccentric orbit
2009-02
[5]
논문
Planetary Radii across Five Orders of Magnitude in Mass and Stellar Insolation: Application to Transits
2007-04
[6]
논문
Revising the ages of planet-hosting stars
2015-03
[7]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BD+22 2716 -- Star
http://simbad.u-stra[...]
[8]
논문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