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 2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R 25는 밝고 광범위한 방출선으로 특징지어지는 스펙트럼을 가진 울프-레이에별로, 수소선을 포함하며 WN별과 O형 초거성 사이의 중간 상태로 분류된다. 이 별은 쌍성계로, 주인별은 태양 밝기의 수백만 배에 달하는 밝기를 가지지만, 짝별의 기여로 인해 정확한 밝기는 불확실하다. 두 별의 항성풍이 충돌하여 강한 엑스선을 방출하며, 약 208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WR 25는 지구와의 성간 구름으로 인해 가시광선으로는 관측이 어렵고, 엑스선이나 적외선으로 관측되며, 카리나 OB1 성단의 일부인 Trumpler 16 성단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골자리 성운 - 용골자리 에타
용골자리 에타는 태양 근처의 극대거성이자 쌍성계로, 과거 두 차례의 폭발을 일으켰으며 미래에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용골자리 성운 - HD 93129
HD 93129는 용골자리 성운 내 트럼플러 14 성단 중심부에 있는 항성계로, O2형 초거성 Aa와 O3.5형 주계열성 Ab로 이루어진 근접 쌍성 HD 93129 A와 O3.5형 주계열성 HD 93129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별 모두 매우 높은 광도를 갖는다. - O형 초거성 - 나오스
나오스는 돛자리에 있는 청색 초거성이며, 태양 질량의 22.5배에서 55배에 달하는 질량과 약 14배의 반지름을 지니고 초고온이며, 강력한 항성풍을 방출하고, 약 1092광년 떨어져 있으며, 과거 트럼플러 10 OB 성협과 관련이 있고, 특이한 헬륨 스펙트럼으로도 알려져 있다. - O형 초거성 - 청색초거성
청색 초거성은 태양 질량의 10배에서 300배에 달하는 매우 무거운 별로, O형 및 B형 주계열성이 진화하며 형성되고, 빠른 항성풍과 방출선 스펙트럼을 가지며, 질량에 따라 적색 초거성이나 울프-레이에 별을 거쳐 초신성으로 폭발하기도 한다. - 볼프-레이에별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볼프-레이에별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WR 25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용골자리 |
겉보기 등급 | 8.80 |
분광형 | O2.5If*/WN6 + OB |
위치 정보 | |
거리 | 10,500 광년 (3,230 파섹) |
물리적 특징 | |
절대 등급 | -12.25 |
질량 | 110 |
크기 | 33 |
광도 | 6,300,000 |
표면 온도 | 50,100 켈빈 |
나이 | 200만 년 |
궤도 요소 | |
공전 주기 | 207.85 일 |
이심률 | 0.50 |
긴반지름 | 156 태양 반지름 |
K1 | 44 |
시선 속도 | -34.6 |
고유 운동 (적경) | -6.918 |
고유 운동 (적위) | 2.764 |
시차 | 0.4450 |
시차 오차 | 0.0203 |
항성 정보 | |
구성 요소 1 | WR |
질량 | 98 |
반지름 | 20.24 |
볼로미터 광도 | 2,400,000 |
온도 | 50,100 |
식별 정보 | |
기타 이름 | HD 93162 2MASS J10441038-5943111 WR 25 XMMU J104410.3-594311 CD-59°3282 PPM 339385 SAO 238408 Trumpler 16 177 GSC 08626-01989 UBV 9882 Hen 3-478 |
SIMBAD | HD 93162 |
2. 스펙트럼
WR 25는 19세기에 밝기와 광범위한 방출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 때문에 울프-레이에별로 인식되었다.[7] 이 스펙트럼은 수소선을 포함하며, 전형적인 WN (울프-레이에) 별과 O형 초거성 사이의 중간 상태이다. 초기 보고에서는 이 별이 이중성, 예를 들어 WN7 별과 O7 별의 조합이라는 주장도 있었다.[8] 또한 WN7 + abs[9] (알 수 없는 기원의 흡수선이 있는 울프-레이에 별을 의미)와 WN6ha로 묘사되기도 했다.[10] 이후 뜨거운 슬래시 별에 대한 특정 분류가 도입되면서 O2.5If*/WN6의 스펙트럼 형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질소의 존재, 많은 방출선의 본질적인 약점, 그리고 일부 헬륨과 수소 흡수선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 분류는 WN6ha 스펙트럼 형보다 약한 방출과 강한 흡수의 미세한 변화를 보인다.[11] 동반성의 스펙트럼 기여는 명확하게 감지되지 않는다.[14]
2. 1. 스펙트럼 특징
WR 25는 19세기에 밝기와 광범위한 방출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 때문에 울프-레이에별로 인식되었다.[7] 이 스펙트럼은 수소선을 포함하며, 전형적인 WN (울프-레이에) 별과 O형 초거성 사이의 중간 상태이다. 초기 보고에서는 이 별이 이중성, 예를 들어 WN7 별과 O7 별의 조합이라는 주장도 있었다.[8] 또한 WN7 + abs[9] (알 수 없는 기원의 흡수선이 있는 울프-레이에 별을 의미)와 WN6ha로 묘사되기도 했다.[10] 이후 뜨거운 슬래시 별에 대한 특정 분류가 도입되면서 WR 25는 O2.5If*/WN6의 스펙트럼 형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질소의 존재, 많은 방출선의 본질적인 약점, 그리고 일부 헬륨과 수소 흡수선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 분류는 WN6ha 스펙트럼 형보다 약한 방출과 강한 흡수의 미세한 변화를 보인다.[11] 동반성의 스펙트럼 기여는 명확하게 감지되지 않는다.[14]2. 2. 스펙트럼형 변화
WR 25는 19세기에 밝기와 광범위한 방출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 때문에 울프-레이에별로 인식되었다.[7] 이 스펙트럼은 수소선을 포함하며, 전형적인 WN (울프-레이에) 별과 O형 초거성 사이의 중간 상태이다. 초기 보고에서는 이 별이 이중성, 예를 들어 WN7 별과 O7 별의 조합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8] 또한 WN7 + abs[9] (알 수 없는 기원의 흡수선이 있는 울프-레이에 별을 의미)와 WN6ha로 묘사되기도 했다.[10] 이후 뜨거운 슬래시 별에 대한 특정 분류가 도입되면서 WR 25는 O2.5If*/WN6의 스펙트럼 형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질소의 존재, 많은 방출선의 본질적인 약점, 그리고 일부 헬륨과 수소 흡수선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다. 이 분류는 WN6ha 스펙트럼 형보다 약한 방출과 강한 흡수의 미세한 변화를 나타낸다.[11] 동반성의 스펙트럼 기여는 명확하게 감지될 수 없다.[14]3. 물리적 특성
WR 25는 매우 밝은 별이지만, 지구와의 사이에 있는 성간구름 때문에 별빛이 가려져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엑스선이나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한다.[23][25] 이 별 주위에는 긴 호와 끈 형태의 천체 구조가 있으며, 이들은 항성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WR 25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연관 중 하나인 카리나 OB1의 일부인 트럼플러 16 성단의 서쪽 경계에 있다.[16] 극도의 광도 때문에 별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신의 손가락 성운을 포함하여 별에서 멀어지는 가늘고 긴 호와 필라멘트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17]
3. 1. 밝기 및 광도
쌍성계 중 주인별은 근처 이웃별인 용골자리 에타보다 훨씬 더 밝은데, 이 밝기가 짝별의 도움 없이 혼자만의 밝기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구체적 밝기는 태양의 배이며 트럼플러 16 성단의 남쪽 끝부분을 밝히고 있다. 이 수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한 모형은 쌍성계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논문 저자는 '쌍성계 중 짝별이 전체 밝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 퍼센트 이상이다.'라고 밝혔다. 따라서 주인별의 밝기는 매우 불확실하다. 예전 이온화 플럭스에 기초하여 측정했던 측정치는 태양밝기의 배였다.[22]짝별은 젊고 뜨거우며 무거운 별로, WR+O 또는 WR+WR 등 다른 볼프-레이에별 쌍성계 짝별들의 모습과 흡사하다. 양쪽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은 서로 충돌하여 강렬한 엑스선을 만들어낸다.[23] 두 별은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질량중심을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208일이다.[24]
아주 밝은 별임에도 이 별과 지구 사이에 성간구름이 있어 별에서 나오는 빛을 가리므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엑스선이나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보인다.[23][25]
WR 25 시스템의 주성은 태양보다 약 배 더 밝으며, Trumpler 16 성단의 가장 남쪽 끝을 비춘다. 별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데 사용된 모델은 동반성이 시스템 광도의 15%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중성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광도는 매우 불확실하다. 이온화 플럭스 측정을 기반으로 한 이전 추정치는 태양의 약 배에 달하는 값을 산출했으며, 다른 물리적 데이터에 대한 추정치도 그에 따라 낮았다.[12]
동반성은 다른 알려진 WR+O 또는 WR+WR 이중성과 유사한 젊고 뜨거운 거대 질량성으로 추정된다. O4 초거성으로 보고되었지만, 후속 측정에서도 정확한 분광형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두 개의 뜨겁고 밝은 별 사이의 충돌하는 별풍은 208일의 공전 주기가 감지되기 오래 전에 이중성 상태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킨 강한 X선을 생성한다.[13][14]
WR 25는 매우 밝지만 성운의 먼지로 인한 심한 소광과 방출되는 복사선의 상당 부분이 자외선에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1,970 파섹 떨어진 곳에서 절대 등급 -6.98로, 장애물이 없다면 실제 8.80 대신 별의 겉보기 등급 4.49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X선 및 적외선으로 관측되었다.[13][15]
3. 2. 짝별의 특성
쌍성계 중 주인별은 근처 이웃별인 용골자리 에타보다 훨씬 더 밝은데, 이 밝기가 짝별의 도움 없이 혼자만의 밝기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구체적 밝기는 태양의 630만 배이며 트럼플러 16 성단의 남쪽 끝부분을 밝히고 있다. 이 수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한 모형은 쌍성계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논문 저자는 '쌍성계 중 짝별이 전체 밝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 퍼센트 이상이다.'라고 밝혔다. 따라서 주인별의 밝기는 매우 불확실하다. 예전 이온화 플럭스에 기초하여 측정했던 측정치는 태양 밝기의 150만 배였다.[22]짝별은 젊고 뜨거우며 무거운 별로, WR+O 또는 WR+WR 등 다른 볼프-레이에별 쌍성계 짝별들의 모습과 흡사하다. 양쪽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은 서로 충돌하여 강렬한 엑스선을 만들어낸다.[23] 두 별은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질량중심을 돌고 있으며 공전주기는 약 208일이다.[24]
아주 밝은 별임에도 이 별과 지구 사이에 성간구름이 있어 별에서 나오는 빛을 가리므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엑스선이나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보인다.[23][25]
3. 3. 항성풍과 엑스선
짝별은 젊고 뜨거우며 무거운 별로, WR+O 또는 WR+WR 등 다른 볼프-레이에별 쌍성계 짝별들의 모습과 흡사하다. 양쪽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은 서로 충돌하여 강렬한 엑스선을 만들어낸다.[23] 두 별은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질량중심을 돌고 있으며 공전주기는 약 208일이다.[24]WR 25는 매우 밝지만 성운의 먼지로 인한 심한 소광과 방출되는 복사선의 상당 부분이 자외선에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1,970 파섹 떨어진 곳에서 절대 등급 -6.98로, 장애물이 없다면 실제 8.80 대신 별의 겉보기 등급 4.49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엑스선 및 적외선으로 관측되었다.[13][15]
3. 4. 성간 소광
WR 25는 매우 밝지만, 이 별과 지구 사이에 성간구름이 있어 별에서 나오는 빛을 소광하여 가리므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엑스선이나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한다.[23][25]WR 25는 성운의 먼지로 인한 심한 소광과 방출되는 복사선의 상당 부분이 자외선에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1,970 파섹 거리에서 절대 등급은 -6.98로, 장애물이 없다면 겉보기 등급은 8.80 대신 4.49로 육안으로 볼 수 있다.[13][15]
3. 5. 주변 환경
쌍성계 중 주인별은 근처 이웃별인 용골자리 에타보다 훨씬 더 밝은데, 이 밝기가 짝별의 도움 없이 혼자만의 밝기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구체적 밝기는 태양의 630만 배이며 트럼플러 16 성단의 남쪽 끝부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 수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한 모형은 쌍성계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논문 저자는 '쌍성계 중 짝별이 전체 밝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 퍼센트 이상이다.'라고 밝혔다. 따라서 주인별의 밝기는 매우 불확실하다. 예전 이온화 플럭스에 기초하여 측정했던 측정치는 태양밝기의 150만 배였다.[22]짝별은 젊고 뜨거우며 무거운 별로, WR+O 또는 WR+WR 등 다른 볼프-레이에별 쌍성계 짝별들의 모습과 흡사하다. 양쪽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은 서로 충돌하여 강렬한 엑스선을 만들어낸다.[23] 두 별은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질량중심을 돌고 있으며 공전주기는 약 208일이다.[24]
아주 밝은 별임에도 이 별과 지구 사이에 성간구름이 있어 별에서 나오는 빛을 가리므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엑스선이나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보인다.[23][25]
이 별 주위에는 긴 호 및 끈 형태의 천체구조가 있으며 이들은 항성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WR 25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연관 중 하나인 카리나 OB1의 일부인 트럼플러 16 성단의 서쪽 경계에 위치해 있다.[16] 극도의 광도 때문에 별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신의 손가락 성운을 포함하여 별에서 멀어지는 가늘고 긴 호와 필라멘트에서 볼 수 있다.[17]
4. 위치
WR 25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연관 중 하나인 카리나 OB1의 일부인 트럼플러 16 성단의 서쪽 경계에 위치해 있다.[16] 극도의 광도 때문에 별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신의 손가락 성운을 포함하여 별에서 멀어지는 가늘고 긴 호와 필라멘트에서 볼 수 있다.[17]
매우 밝지만 성운의 먼지로 인한 심한 소광과 방출되는 복사선의 상당 부분이 자외선에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1,970 파섹 떨어진 곳에서 절대 등급 -6.98로, 장애물이 없다면 실제 8.80 대신 별의 겉보기 등급 4.49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X선 및 적외선으로 관측되었다.[13][15]
참조
[1]
논문
A new star catalogue of SAO type
1988
[2]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3]
논문
The Galactic O-Star Spectroscopic Survey (GOSSS). II. Bright Southern Stars
[4]
간행물
Gaia EDR3
Gaia
[5]
논문
Unlocking Galactic Wolf–Rayet stars with Gaia DR2 – I. Distances and absolute magnitudes
[6]
논문
The Galactic WN stars revisited. Impact of Gaia distances on fundamental stellar parameters
[7]
논문
The Wolf-Rayet stars
[8]
논문
A revised spectral classification system and a new catalogue for galactic Wolf-Rayet stars
[9]
논문
Tailored analyses of 24 Galactic WN stars
[10]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 classification and stellar models. II. The WN stars without hydrogen
[11]
논문
Spectral classification of O2-3.5 If*/WN5-7 stars
[12]
논문
Quantitative spectroscopy of Wolf--Rayet stars in HD 97950 and R136a -- the cores of giant H II regions
[13]
논문
Phase-Resolvedxmm-Newtonandswiftobservations of Wr 25
[14]
논문
The first orbital solution for the massive colliding-wind binary HD 93162 (≡WR 25)
[15]
논문
An X-Ray and Near-Infrared Study of Young Stars in the Carina Nebula
[16]
논문
The Chandra Carina Complex Project View of Trumpler 16
[17]
서적
Eta Carinae and the Supernova Impostors
[18]
논문
A new star catalogue of SAO type
[19]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
논문
Two O2 If*/WN6 stars possibly ejected from the massive young Galactic cluster Westerlund 2
[21]
논문
The Galactic WN stars
[22]
논문
Quantitative spectroscopy of Wolf--Rayet stars in HD 97950 and R136a -- the cores of giant H II regions
[23]
논문
Phase-Resolvedxmm-Newtonandswiftobservations of Wr 25
[24]
논문
The first orbital solution for the massive colliding-wind binary HD 93162 (≡WR 25)
[25]
논문
An X‐Ray and Near‐Infrared Study of Young Stars in the Carina Nebu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