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사이버 선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사이버 선데이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WWE에서 개최된 페이퍼뷰 이벤트이다. 2004년 탭 투스데이로 시작하여, 팬들이 경기 결과에 투표하는 인터랙티브 방식을 특징으로 했다. 2006년 사이버 선데이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RAW, 스맥다운, ECW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참여했다. 2009년에는 브래깅 라이츠로 대체되었으며, 이후 NXT에서 탭 투스데이의 요소를 차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폐지된 행사 - UEFA 인터토토컵
UEFA 인터토토컵은 챔피언스리그나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이 없는 유럽 클럽들을 위한 여름 클럽 대항전으로, 국제 축구 컵에서 시작하여 UEFA 인수 후 대회 형식이 변경되었으나 2009년 유로파리그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 2008년 폐지된 행사 - 처칠컵
처칠컵은 윈스턴 처칠의 이름을 딴 럭비 대회로, 북미 럭비 경쟁력 강화와 선수 육성을 위해 2003년부터 2011년까지 개최되었으며 잉글랜드, 캐나다, 미국이 영구 참가국로 다양한 초청팀이 참가했으나 2012년 국제 경기 일정 변경으로 종료되었다. - 2004년 시작된 행사 - 세계 헌혈자의 날
세계 헌혈자의 날은 6월 14일, 헌혈의 중요성을 알리고 헌혈자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수혈과 혈액 제제 공급에 필수적인 헌혈을 장려하고 있다. - 2004년 시작된 행사 - 미스 인터내셔널 퀸
미스 인터내셔널 퀸은 트랜스젠더 여성의 사회적 존중과 권리 인식을 높이기 위해 태국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미인 대회이다. - WWE 페이퍼뷰 - WWF 원 나이트 온리
WWF 원 나이트 온리는 1997년 영국에서 개최된 월드 레슬링 연맹의 일회성 페이퍼뷰 이벤트이며, 숀 마이클스와 브리티시 불독의 유러피언 챔피언십 경기가 메인 이벤트로 진행되었다. - WWE 페이퍼뷰 -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는 WWE의 연례 PPV 이벤트로, 모든 챔피언십 경기가 한 자리에서 펼쳐지는 콘셉트로 시작하여 브랜드 분할과 통합, 챔피언십 변동에 따라 변화해 왔지만 WWE의 주요 이벤트 중 하나이다.
WWE 사이버 선데이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타부 튜즈데이 (2004–2005) |
주최 단체 |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
브랜드 | Raw (2004–2008) 스맥다운 (2007–2008) ECW (2007–2008) NXT (2022) |
첫 번째 이벤트 | 타부 튜즈데이 (2004) |
마지막 이벤트 | 사이버 선데이 (2008) |
특징 | 팬들이 경기 사항의 특정 부분에 투표하는 인터랙티브 페이퍼뷰 |
2. 역사
2004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는 탭 투스데이(Taboo Tuesday)라는 새로운 페이퍼뷰(PPV) 이벤트를 시작했다. 첫 번째 이벤트는 그 해 10월 19일에 열렸으며, 화요일에 개최되었다. 이는 1991년 디스 투스데이 인 텍사스 이후 WWE가 화요일에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고, 1994 서바이버 시리즈 이후 일요일이 아닌 날에 열리는 첫 번째 정기 페이퍼뷰였으며, 1996년 인 유어 하우스 8: 비웨어 오브 독 2 이후 어떤 종류든 일요일이 아닌 날에 열리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다.[1][2]
브랜드 분리에 따라, 레슬러들은 특정 브랜드에 배정되어 활동하였고, 첫 번째 이벤트는 RAW 브랜드 전용으로 개최되었다. 탭 투스데이는 2005년에 다시 열렸지만, 11월 초로 연기되었고 RAW 브랜드 전용으로 진행되었다.[9] 2006년에도 RAW 브랜드 전용으로 11월에 개최되었으며, ''스맥다운!''의 녹화 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요일 밤 시간대로 변경되었다. 그 결과, 이벤트는 사이버 선데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0]
2007년 4월 레슬매니아 23 이후, WWE는 브랜드 전용 PPV를 중단했고, 2007년 및 2008년 이벤트에는 RAW, 스맥다운, ECW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출연했다.[3][11][12] 2009년, 이 이벤트는 애니힐레이션으로 대체되었고, 이후 브래깅 라이츠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5]
PPV가 중단된 지 거의 10년이 지난 후, 이 이벤트의 요소들이 NXT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NXT 2.0'' 1주년 기념 스페셜에 통합되었지만, 이 이벤트는 탭 투스데이로 불리지 않는다.[6]
2. 1. 타부 튜즈데이 (2004-2005)
2004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는 탭 투스데이(Taboo Tuesday)라는 새로운 페이퍼뷰(PPV) 이벤트를 시작했다. 첫 번째 이벤트는 그 해 10월 19일에 열렸으며, 화요일에 개최되었다. 이는 1991년 디스 투스데이 인 텍사스 이후 WWE가 화요일에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고, 1994 서바이버 시리즈 이후 일요일이 아닌 날에 열리는 첫 번째 정기 페이퍼뷰였으며, 1996년 인 유어 하우스 8: 비웨어 오브 독 2 이후 어떤 종류든 일요일이 아닌 날에 열리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다.[1][2]
브랜드 분리에 따라, 레슬러들은 특정 브랜드에 배정되어 활동하였고, 첫 번째 이벤트는 RAW 브랜드만을 위해 개최되었다. 탭 투스데이는 2005년에 다시 열렸지만, 11월 초로 연기되었고 RAW 브랜드 전용으로 진행되었다.[9]
날짜 | 개최한 곳 | 경기장 | 관중수 | 메인 이벤트 |
---|---|---|---|---|
2004년 10월 19일 | 밀워키 | 브래들리 센터 | 3,500 | 랜디 오턴 vs. 릭 플레어 (스틸 케이지 매치) |
2005년 11월 1일 | 샌디에이고 | 아이페이원 센터 | 6,000 | 존 시나 vs. 커트 앵글 vs. 숀 마이클스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
2. 2. 사이버 선데이 (2006-2008)
2006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는 화요일에 진행되던 스맥다운!의 녹화 일정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탭 투스데이를 사이버 선데이로 이름을 변경하고 일요일 밤 시간대로 옮겼다.[10]
날짜 | 개최한 곳 | 경기장 | 관중수 | 메인 이벤트 |
---|---|---|---|---|
2006년 11월 5일 | -- 신시내티 | U.S. 뱅크 아레나 | 7,000 | 킹 부커 vs. 존 시나 vs. 빅 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
2007년 11월 28일 | -- 워싱턴 D.C. | 버라이즌 센터 | 10,094 | 바티스타 vs. 디 언더테이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2008년 11월 26일 | -- 피닉스 | US 에어웨이스 센터 | 7,981 | 크리스 제리코 vs. 바티스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이 행사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팬들이 개인용 컴퓨터와 휴대폰을 통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여 모든 경기의 특정 측면에 대해 투표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투표는 일반적으로 몇 주 전에 방영된 ''Raw''의 에피소드 중간에 시작되어, 종종 경기가 시작되기 직전에 페이퍼뷰 동안 종료되었다. 이 때문에 이 행사는 "인터랙티브 페이퍼뷰"로 불렸다.[2] 처음 네 번의 행사 동안 투표는 WWE.c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PPV의 공식 태그라인은 "로그 온. 테이크 오버."였다.[8][9][10][11] 하지만 2008년에는 문자 메시지 투표로 대체되었지만, 이는 미국 이동 통신사에서만 가능했다. 그러나 언더테이커와 빅 쇼의 경기는 WWE.com에서 경기 조건을 투표할 수 있도록 하여 보편화되었다.[12] 사이버 선데이가 중단된 후, 페이퍼뷰의 팬 참여 측면은 일부 ''Raw'' 에피소드에 대해 ''WWEActive''(원래 ''RawActive'')로 ''Raw''에 통합되었으며, 결국 완전히 폐지되었다.[7]
2007년 4월 레슬매니아 23 이후, WWE는 브랜드 전용 페이퍼뷰를 중단했고, 따라서 2007년 및 2008년 이벤트에는 RAW, 스맥다운, ECW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출연했다.[3][11][12] 2009년, 이 이벤트는 애니힐레이션으로 대체되었고, 이후 브래깅 라이츠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5]
3. 진행 방식
4. 역대 사이버 선데이 개최 정보
# 이벤트 날짜 도시 경기장 메인 이벤트 참고 1 사이버 선데이 (2006) 2006년 11월 5일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U.S. 뱅크 아레나 킹 부커 (c) vs. 존 시나 (WWE 챔피언) vs. 빅 쇼 (ECW 월드 챔피언) (트리플 쓰렛,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0] 2 사이버 선데이 (2007) 2007년 10월 28일 워싱턴 D.C. 버라이즌 센터 바티스타 (c) vs. 언더테이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11] 3 사이버 선데이 (2008) 2008년 10월 26일 애리조나주 피닉스 US 에어웨이즈 센터 크리스 제리코 (c) vs. 바티스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12]
4. 1. 타부 튜즈데이
2004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는 탭 투스데이(Taboo Tuesday)라는 새로운 페이퍼뷰(PPV) 이벤트를 시작했다. 첫 번째 이벤트는 그 해 10월 19일에 열렸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화요일에 개최되었다. 1991년의 디스 투스데이 인 텍사스 이후 WWE가 화요일에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고, 1994 서바이버 시리즈 이후 일요일이 아닌 날에 열리는 첫 번째 정기 페이퍼뷰였으며, 1996년 인 유어 하우스 8: 비웨어 오브 독 2 이후 어떤 종류든 일요일이 아닌 날에 열리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다.[1][2]
브랜드 분리에 따라, WWE는 레슬러들을 특정 브랜드에 배정하여 활동하도록 로스터를 나누었고, 첫 번째 이벤트는 RAW 브랜드만을 위해 개최되었다. 탭 투스데이는 2005년에 다시 열렸지만, 11월 초로 연기되었고 RAW 브랜드 전용으로 진행되었다.[9] 2006년에도 RAW 브랜드 전용으로 11월에 개최되었으며, 쇼는 더욱 전통적인 일요일 밤 시간대로 옮겨졌다. 이는 보통 화요일에 진행되는 ''스맥다운!''의 녹화 일정에 따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함이었다. 그 결과, 이벤트는 사이버 선데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0]
# | 이벤트 | 날짜 | 도시 | 경기장 | 메인 이벤트 | 참고 |
---|---|---|---|---|---|---|
1 | 터부 투스데이 (2004) | 2004년 10월 19일 | 위스콘신주 밀워키 | 브래들리 센터 | 랜디 오턴 vs. 릭 플레어 (스틸 케이지 매치) | [8] |
2 | 터부 투스데이 (2005) | 2005년 11월 1일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iPayOne 센터 | 존 시나 (c) vs. 커트 앵글 vs. 숀 마이클스 (트리플 쓰렛 매치, WWE 챔피언십) | [9] |
4. 2. 사이버 선데이
'''사이버 선데이'''는 WWE가 주관하는 페이퍼뷰(PPV) 이벤트였다. 팬들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경기 방식이나 상대를 결정하는 독특한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2004년 탭 투스데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91년 디스 투스데이 인 텍사스 이후 WWE가 화요일에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첫 번째 페이퍼뷰였다.[1] 2006년에는 사이버 선데이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개최 요일도 일요일로 변경되었다.[10]
브랜드 분리에 따라 초기에는 RAW 브랜드 전용 이벤트로 개최되었으나, 레슬매니아 23 이후 브랜드 전용 PPV가 중단되면서 2007년부터는 RAW, 스맥다운, ECW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모두 출연했다.[3]
2009년, 이 이벤트는 브래깅 라이츠로 대체되면서 폐지되었다.[4][5]
# | 이벤트 | 날짜 | 도시 | 경기장 | 메인 이벤트 | 참고 |
---|---|---|---|---|---|---|
1 | 터부 투스데이 (2004) | 2004년 10월 19일 | 위스콘신주 밀워키 | 브래들리 센터 | 랜디 오턴 vs. 릭 플레어 (스틸 케이지 매치) | [8] |
2 | 터부 투스데이 (2005) | 2005년 11월 1일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iPayOne 센터 | 존 시나 (c) vs. 커트 앵글 vs. 숀 마이클스 (트리플 쓰렛 매치, WWE 챔피언십) | [9] |
3 | 사이버 선데이 (2006) | 2006년 11월 5일 |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U.S. 뱅크 아레나 | 킹 부커 (c) vs. WWE 챔피언 존 시나 vs. ECW 월드 챔피언 빅 쇼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 트리플 쓰렛 매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0] |
4 | 사이버 선데이 (2007) | 2007년 10월 28일 | 워싱턴 D.C. | 버라이즌 센터 | 바티스타 (c) vs. 언더테이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11] |
5 | 사이버 선데이 (2008) | 2008년 10월 26일 | 애리조나주 피닉스 | US 에어웨이즈 센터 | 크리스 제리코 (c) vs. 바티스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12] |
분류:WWE 페이 퍼 뷰
분류:2004년 설립된 스포츠 이벤트
분류:2008년 폐지된 스포츠 이벤트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대회
5. 경기 결과
# | 이벤트 | 날짜 | 도시 | 경기장 | 메인 이벤트 | 참고 |
---|---|---|---|---|---|---|
1 | 터부 투스데이 (2004) | 2004년 10월 19일 | 위스콘신주 밀워키 | 브래들리 센터 | 랜디 오턴 vs. 릭 플레어 (스틸 케이지 매치) | [8] |
2 | 터부 투스데이 (2005) | 2005년 11월 1일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iPayOne 센터 | 존 시나 (c) vs. 커트 앵글 vs. 숀 마이클스 (트리플 쓰렛 매치, WWE 챔피언십) | [9] |
3 | 사이버 선데이 (2006) | 2006년 11월 5일 |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U.S. 뱅크 아레나 | 킹 부커 (c) vs. 존 시나 vs. 빅 쇼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 트리플 쓰렛 매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0] |
4 | 사이버 선데이 (2007) | 2007년 10월 28일 | 워싱턴 D.C. | 버라이즌 센터 | 바티스타 (c) vs. 언더테이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11] |
5 | 사이버 선데이 (2008) | 2008년 10월 26일 | 애리조나주 피닉스 | US 에어웨이즈 센터 | 크리스 제리코 (c) vs. 바티스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12] |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사이버 선데이는 팬들이 직접 투표를 통해 경기 결과에 영향을 주는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대회의 상세한 경기 결과와 팬 투표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5. 1. 2006년
2006년 사이버 선데이는 2006년 11월 5일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의 U.S. 뱅크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이 이벤트는 팬 투표로 경기 방식이나 참가 선수가 결정되는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0]주요 경기 결과
- 다크 매치: 스펠 크레이지가 롭 콘웨이를 이겼다.
- 우마가 오픈 챌린지: 우마가가 팬 투표로 선정된 케인을 상대로 승리했다. 케인은 49%의 득표율로 샌드맨(28%), 크리스 베누아(23%)를 제치고 도전자로 선정되었다.
- 텍사스 토네이도 매치: 크라임 타임이 승리했다. 팬 투표 결과 텍사스 토네이도 매치(50%)가 태그팀 터모일 매치(35%), 페이탈 4 웨이 매치(15%)를 제치고 경기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제프 하디(c)가 칼리토를 꺾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칼리토는 62%의 득표율로 셸턴 벤자민(25%), 조니 나이트로(13%)를 제치고 도전자로 선정되었다.
- 특별 심판 경기: 엣지 & 랜디 오턴 (w / 리타)이 D-제네레이션 X를 상대로 승리했다. 팬 투표로 에릭 비숍(60%)이 특별 심판으로 선정되었으며, 조나단 코치맨(20%), 빈스 맥마흔(20%)을 제쳤다.
- 디바 럼버잭 매치 (WWE 여자 챔피언십): 리타가 미키 제임스를 꺾고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다. 팬 투표 결과 디바 럼버잭 매치(46%)가 노 DQ 매치(40%), 서브미션 매치(14%)를 제치고 경기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릭 플레어 & 로디 파이퍼가 스피릿 스쿼드를 꺾고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다. 팬 투표로 로디 파이퍼(46%)가 더스티 로즈(35%), 서전트 슬로터(19%)를 제치고 플레어의 파트너로 선정되었다.
-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 매치: 킹 부커가 존 시나와 빅 쇼를 꺾고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방어했다. 팬 투표 결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67%)이 걸린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21%), WWE 챔피언십(12%)을 제쳤다.[10]
팬 투표 결과 상세
경기 | 투표 항목 | 득표율 |
---|---|---|
우마가 오픈 챌린지 | 케인 | 49% |
샌드맨 | 28% | |
크리스 베누아 | 23% | |
텍사스 토네이도 매치 | 텍사스 토네이도 매치 | 50% |
태그팀 터모일 매치 | 35% | |
페이탈 4 웨이 매치 | 15% |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 칼리토 | 62% |
셸턴 벤자민 | 25% | |
조니 나이트로 | 13% | |
특별 심판 경기 | 에릭 비숍 | 60% |
조나단 코치맨 | 20% | |
빈스 맥마흔 | 20% | |
디바 럼버잭 매치 (WWE 여자 챔피언십) | 디바 럼버잭 매치 | 46% |
노 DQ 매치 | 40% | |
서브미션 매치 | 14% |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 로디 파이퍼 | 46% |
더스티 로즈 | 35% | |
서전트 슬로터 | 19% | |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 매치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67% |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21% | |
WWE 챔피언십 | 12% |
5. 2. 2007년
2007년 10월 28일, 워싱턴 D.C.의 버라이즌 센터에서 사이버 선데이가 개최되었다. 관객은 10,097명이 동원되었으며, 공식 대회 곡은 카사비안의 "Fast Fuse"였다.[11]- '''다크 매치'''에서는 제시 & 페스타스가 듀스 & 도미노 (w / 체리)를 상대로 승리했다.
- '''레이 미스테리오 vs 핀레이''' 경기 방식은 팬 투표로 결정되었다. '스트레처 매치', '노 DQ 매치', '실레이리 온 어 폴 매치' 중 스트레처 매치가 40%의 득표율로 선정되어 레이 미스테리오가 승리했다.
경기 형식 | 득표율 |
---|---|
스트레처 매치 | 40% |
노 DQ 매치 | 36% |
실레이리 온 어 폴 매치 | 24% |
슈퍼스타 | 득표율 |
---|---|
미즈 | 39% |
존 모리슨 | 33% |
빅 대디 V | 28% |
- '''WWE US 챔피언십'''에서는 MVP (c)와 팬 투표(67%)를 통해 도전자로 선정된 케인의 경기가 펼쳐졌으나, 반칙 판정으로 인해 챔피언십 이동은 없었다.
슈퍼스타 | 득표율 |
---|---|
케인 | 67% |
그레이트 칼리 | 24% |
마크 헨리 | 9% |
슈퍼스타 | 득표율 |
---|---|
숀 마이클스 | 59% |
제프 하디 | 31% |
미스터 케네디 | 10% |
경기 형식 | 득표율 |
---|---|
스트리트 파이트 | 57% |
스틸 케이지 매치 | 26% |
퍼스트 블러드 매치 | 17% |
- '''디바 할로윈 코스튬 콘테스트'''에서는 미키 제임스가 우승했다. 기타 참가자로는 멜리나, 마리아, 질리안 홀, 빅토리아, 토리 윌슨, 미셸 맥쿨, 켈리 켈리, 릴라, Brooke Tessmacher|브룩영어이 있었다.
디바 | 득표율 |
---|---|
미키 제임스 | 21% |
켈리 켈리 | 17% |
토리 윌슨 | 15% |
멜리나, 마리아 | 12% |
릴라 | 7% |
질리안 홀 | 5% |
빅토리아, 브룩 | 4% |
미셸 맥쿨 | 3% |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서는 바티스타 (c)가 언더테이커를 꺾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팬 투표(79%)를 통해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이 특별 심판으로 선정되었다.
5. 3. 2008년
2008년 10월 26일, 애리조나주피닉스의 US 에어웨이즈 센터에서 사이버 선데이가 개최되었다.[12] 관객 동원 수는 12,500명이었으며, 공식 대회 곡은 Pendulum의 Propane Nightmares였다.- 레이 미스테리오와 케인의 경기 형식은 팬 투표 결과 '노 홀즈 바'(39%)로 결정되었다.
인기 순위 | 경기 형식 | 득표율 |
---|---|---|
1 | 노 홀즈 바 | 39% |
2 | 에니웨어 폴 | 35% |
3 | 3판 2선승 | 26% |
인기 순위 | 슈퍼스타 | 득표율 |
---|---|---|
1 | 에반 본 | 69% |
2 | 피너리 | 25% |
3 | 마크 헨리 | 6% |
인기 순위 | 대진 | 득표율 |
---|---|---|
1 | 크라임 타임 (JTG & 섀도우 가스파드) vs 더 미즈 & 존 모리슨 | 38% |
2 | CM 펑크 & 코피 킹스턴 vs 코디 로즈 &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 | 35% |
3 | 미키 제임스 & 제이미 노블 vs 레일라 엘 & 윌리엄 리갈 | 27% |
-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에서 산티노 마렐라(c)의 상대는 팬 투표 결과 혼키 통크 맨(35%)으로 결정되었다.
인기 순위 | 슈퍼스타 | 득표율 |
---|---|---|
1 | 혼키 통크 맨 | 35% |
2 | 로디 파이퍼 | 34% |
3 | 골더스트 | 31% |
- 언더테이커와 빅 쇼의 경기 형식은 팬 투표 결과 '라스트 맨 스탠딩 매치'(49%)로 결정되었다.
인기 순위 | 경기 형식 | 득표율 |
---|---|---|
1 | 라스트 맨 스탠딩 매치 | 49% |
2 | 아이 큇 매치 | 42% |
3 | 녹아웃 매치 | 9% |
- '''디바 할로윈 코스튬 콘테스트''' 우승자는 미키 제임스였다.
등장 순서 | 디바 | 가장 내용 |
---|---|---|
1 | 캔디스 미셸 | 마릴린 먼로 |
2 | 미셸 맥쿨 | 미군 병사 |
3 | 마리아 | 바니 걸 |
4 | 케이티 리 버칠 | 뱀파이어 |
5 | 티파니 | 수녀 |
6 | 빅토리아 | 거대한 바나나 |
7 | 레나 야다 | 닌자 |
8 | 미키 제임스 | 툼 레이더 |
9 | 마리즈 | 프렌치 메이드 |
10 | 브리 벨라 | 클레오파트라 |
11 | 질리언 홀 | 배트걸 |
12 | 나탈리아 | 경찰관 |
13 | 베스 피닉스 | 검투사 |
14 | 이브 토레스 | 터틀스 |
15 | 레일라 엘 | 레아 공주 |
16 | 켈리 켈리 | 선장 |
인기 순위 | 슈퍼스타 | 득표율 |
---|---|---|
1 | 제프 하디 | 57% |
2 | 제프 하디 &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3자간 경기) | 38% |
3 |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 5% |
참조
[1]
웹사이트
Cyber Sunday Pay-per-view History
http://www.wwe.com/s[...]
WWE
2007-10-06
[2]
웹사이트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Introduces New Interactive Raw Branded Pay-Per-View To Air on Tuesday, October 19, 2004
http://corporate.ww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Corporation
2008-08-08
[3]
웹사이트
WWE Pay-Per-Views To Follow WrestleMania Formula
http://corporate.wwe[...]
WWE|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7-11-25
[4]
웹사이트
Preview:WWE Champion Randy Orton vs. John Cena (Anything Goes Iron Man Match)
http://www.wwe.com/s[...]
WWE
2009-10-05
[5]
웹사이트
Trademark Infringement is Why WWE is Changing PPV Names?
https://www.wrestlez[...]
2009-07-21
[6]
웹사이트
WWE reveals fan-vote options for NXT anniversary show title matches
https://www.f4wonlin[...]
2022-09-07
[7]
웹사이트
Your Guide to Getting RAWactive!
https://www.wwe.com/[...]
2021-03-16
[8]
간행물
Choose and Bruise Taboo Tuesday gives WWE fans a chance to have a say in the ring action
2004-10-18
[9]
웹사이트
Toward Taboo Tuesday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8-05-10
[10]
웹사이트
Cyber Sunday 2006
http://www.prowrestl[...]
Pro Wrestling History
2008-03-16
[11]
웹사이트
WWE presents Cyber Sunday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7-11-02
[12]
웹사이트
Cyber Sunday 2008 results
http://www.prowrestl[...]
Pro Wrestling History
2008-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