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저지먼트 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저지먼트 데이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개최된 WWE의 페이-퍼-뷰(PPV) 이벤트였다. 1995년 인 유어 하우스 PPV 이벤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독립적인 PPV로 부활하여 WWE의 연례 5월 PPV로 자리 잡았다. 2002년 WWE 브랜드 확장 이후에는 RAW와 스맥다운!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번갈아 참여했으며, 2009년 이벤트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2022년에는 더 저지먼트 데이라는 스테이블 이름으로 다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폐지된 행사 - 유로비전 댄스 콘테스트
유로비전 댄스 콘테스트는 유럽 방송 연맹이 주관하여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개최된 국제 댄스 경연 대회로, 각 참가국은 2인조 댄서 팀을 이루어 다양한 댄스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전문가 패널과 시청자 투표를 합산하여 우승자를 결정했으나 2009년 대회가 취소된 후 개최되지 않고 있다. - 2009년 폐지된 행사 - 도미노 데이
도미노 데이는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어 도미노 쓰러뜨리기 세계 기록을 경신하며 유럽 각국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재정 및 조직 문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 또는 연기되었다. - 1998년 시작된 행사 - 보령머드축제
보령머드축제는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축제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보령 갯벌 진흙의 유익한 성분을 활용한 다양한 머드 체험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제공하며 세계적인 축제로 성장했다. - 1998년 시작된 행사 - 레드불 뮤직 아카데미
레드불 뮤직 아카데미는 1998년 베를린에서 시작하여 세계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음악가들에게 창작 및 교류 기회를 제공하는 음악 교육 및 페스티벌 프로그램으로, DJ 문화에서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며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활동한다. - WWE 페이퍼뷰 - WWF 원 나이트 온리
WWF 원 나이트 온리는 1997년 영국에서 개최된 월드 레슬링 연맹의 일회성 페이퍼뷰 이벤트이며, 숀 마이클스와 브리티시 불독의 유러피언 챔피언십 경기가 메인 이벤트로 진행되었다. - WWE 페이퍼뷰 -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는 WWE의 연례 PPV 이벤트로, 모든 챔피언십 경기가 한 자리에서 펼쳐지는 콘셉트로 시작하여 브랜드 분할과 통합, 챔피언십 변동에 따라 변화해 왔지만 WWE의 주요 이벤트 중 하나이다.
WWE 저지먼트 데이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페이퍼뷰 이벤트 시리즈 |
주최 단체 | WWE |
브랜드 | Raw (2002–2003, 2007–2009) SmackDown (2002–2009) ECW (2007–2009) |
다른 이름 | Judgment Day: In Your House |
첫 번째 이벤트 | Judgment Day: In Your House |
마지막 이벤트 | 2009 |
시그니처 매치 | 해당 사항 없음 |
2. 역사
저지먼트 데이는 인 유어 하우스 페이-퍼-뷰(PPV) 이벤트로 시작되었다. 인 유어 하우스는 1995년 5월 월드 레슬링 연맹(WWF, 현재 WWE)에서 제작한 월간 PPV 시리즈였다.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는 1998년 10월 18일 일리노이주 로즈몬트에 있는 로즈몬트 호라이즌에서 개최된 25번째 인 유어 하우스 이벤트였다.[1][18]
1999년 2월 세인트 발렌타인 데이 매서커: 인 유어 하우스를 마지막으로 인 유어 하우스 브랜드가 폐지되었고, 1999년 5월 오버 더 엣지 PPV에서 오웬 하트가 사망하면서 오버 더 엣지 PPV 연대기가 취소되었다. 이후 저지먼트 데이는 2000년 5월 21일 켄터키주 루이빌 프리덤 홀에서 자체 PPV로 부활했다.[2][21]
2002년 5월, WWF는 세계 야생 동물 기금과의 소송으로 인해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WWE)로 이름을 변경했다.[3] 저지먼트 데이 2002는 WWE 이름으로 개최된 첫 번째 PPV였다.[4]
2002년 3월, WWE는 드래프트를 통해 선수들을 RAW와 스맥다운! 브랜드로 나누었고, 2006년에는 ECW 브랜드가 추가되었다. 2007년 4월 레슬매니아 23 이후 브랜드 전용 PPV가 중단될 때까지, 2002년부터 2003년까지는 RAW와 스맥다운! 선수들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스맥다운! 선수들만 저지먼트 데이에 참여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RAW, 스맥다운, ECW 선수들이 모두 참여했다. 2009년 이벤트는 마지막 저지먼트 데이 PPV였으며, 2010년에 오버 더 리밋으로 대체되었다.[15]
2022년, WWE는 더 저지먼트 데이라는 스테이블에 이 이름을 다시 사용했다.[16]
2. 1. 인 유어 하우스
저지먼트 데이는 처음에는 인 유어 하우스 페이-퍼-뷰(PPV) 이벤트로 개최되었다. 인 유어 하우스는 1995년 5월 월드 레슬링 연맹(WWF, 현재 WWE)에서 처음 제작한 월간 PPV 시리즈였다. 이 이벤트는 프로모션이 주요 PPV 중 하나를 개최하지 않을 때 방송되었으며 더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었다.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는 25번째 인 유어 하우스 이벤트였으며, 1998년 10월 18일 일리노이주 로즈몬트에 있는 로즈몬트 호라이즌에서 개최되었다.[1][18]인 유어 하우스 브랜드는 1999년 2월 세인트 발렌타인 데이 매서커: 인 유어 하우스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1]
2. 2. 오버 더 엣지
1999년 5월에 개최된 오버 더 엣지 PPV에서 월드 레슬링 연맹(WWF, 현재 WWE) 레슬러 오웬 하트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 이 사건으로 인해 오버 더 엣지 PPV는 취소되었고, 이듬해 저지먼트 데이가 자체 PPV로 부활하여 2000년 5월 21일 켄터키주 루이빌에 있는 프리덤 홀에서 개최되었다.[2][21]2. 3. 브랜드 분할
2002년 3월, WWE는 드래프트를 개최하여 소속 선수들을 RAW와 스맥다운! 두 개의 브랜드로 나누었다.[5] 2006년에는 ECW 브랜드가 추가되었다.[6] 2002년과 2003년 저지먼트 데이에는 RAW와 스맥다운! 브랜드 선수들이 모두 참여했으며,[4][7] 2003년 이벤트는 백래시 2007까지 브랜드 전용이 아닌 마지막 이벤트였다.[7]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스맥다운! 브랜드 선수들만 저지먼트 데이에 참가했다.[8][9][10] 레슬매니아 23 이후인 2007년 4월부터 WWE는 브랜드 전용 PPV를 중단했고,[11]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RAW, 스맥다운, ECW 브랜드 선수들이 모두 저지먼트 데이에 참여했다.[12][13][14]2. 4. 브랜드 통합 및 폐지
1999년 2월 세인트 발렌타인 데이 매서커: 인 유어 하우스를 마지막으로 인 유어 하우스 브랜드가 폐지되었다.[1] 1999년 5월에 개최된 오버 더 엣지 PPV에서 월드 레슬링 연맹(WWF) 레슬러 오웬 하트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1] 오버 더 엣지 PPV는 취소되었다. 이후 저지먼트 데이는 다음 해에 자체 PPV로 부활하여 2000년 5월 21일 켄터키주 루이빌에 있는 프리덤 홀에서 개최되었다.[2][21]2002년 3월, WWE는 드래프트를 개최하여 로스터를 RAW와 스맥다운!의 두 브랜드로 나누었다.[5] 2006년에는 세 번째 브랜드인 ECW가 추가되었다.[6] 2002년과 2003년 저지먼트 데이 이벤트는 RAW와 스맥다운!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모두 참여했다.[4][7] 2003년 이벤트는 백래시 2007까지 브랜드 전용이 아닌 마지막 이벤트였다.[7] 2004년부터 2006년까지의 저지먼트 데이는 스맥다운! 브랜드 레슬러들만 참여했다.[8][9][10] 2007년 4월 레슬매니아 23 이후, WWE는 브랜드 전용 PPV를 중단했고,[11]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이벤트는 RAW, 스맥다운 및 ECW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참여했다.[12][13][14] 2009년 이벤트는 마지막 저지먼트 데이 PPV였으며, 2010년에 이벤트가 중단되고 오버 더 리밋으로 대체되었다.[15]
2. 5. 더 저지먼트 데이
2022년, WWE는 이 이름을 더 저지먼트 데이라는 스테이블에 다시 사용했다.[16]3. 역대 저지먼트 데이 개최 정보
날짜 | 개최한 곳 | 경기장 | 관중수 | 메인 이벤트 |
---|---|---|---|---|
1998년 10월 18일 | 로즈먼트 | 로즈먼트 호라이즌 | 18,153 | 케인 vs. 디 언더테이커 (WWE 챔피언십) |
2000년 5월 21일 | 루이빌 | 프리덤 홀 | 16,827 | 더 락 vs. 트리플 H (WWE 챔피언십, 아이언맨 매치) |
2001년 5월 20일 | 새크라멘토 | 아코 아레나 | 13,623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vs. 디 언더테이커 (WWE 챔피언십, 노 홀즈 바아드 매치) |
2002년 5월 19일 | 내슈빌 | 게일로드 엔터테인먼트 센터 | 14,521 | 헐리우드 헐크 호건 vs. 디 언더테이커 (WWE 챔피언십) |
2003년 5월 18일 | 샬럿 | 샬럿 콜리시엄 | 13,000 | 브록 레스너 vs. 빅 쇼 (WWE 챔피언십, 스트레처 매치) |
2004년 5월 16일 | 로스앤젤레스 | 스테이플스 센터 | 18,722 | 에디 게레로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WWE 챔피언십) |
2005년 5월 22일 | 미네아폴리스 | 타깃 센터 | 12,000 | 존 시나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WWE 챔피언십, 아이 큇 매치) |
2006년 5월 21일 | 피닉스 | US 에어웨이스 센터 | 14,000 | 레이 미스테리오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2007년 5월 20일 | 세인트루이스 | 스콧트레이드 센터 | 10,500 | 존 시나 vs. 더 그레이트 칼리 (WWE 챔피언십) |
2008년 5월 18일 | 오마하 | 퀘스트 센터 오마하 | 11,324 | 트리플 H vs. 랜디 오턴 (WWE 챔피언십, 스틸 케이지 매치) |
2009년 5월 17일 | 로즈먼트 | 올스테이트 아레나 | 14,822 | 에지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3. 1. 1998년 (In Your House)
1998년 10월 18일, 일리노이주 로즈먼트의 로즈몬트 호라이즌에서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가 개최되었다. 관중 수는 18,153명이었다.[1][17][18][19]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데이 나이트 히트 매치 (Sunday Night HEAT Match)'''
경기 순서 | 경기 결과 |
---|---|
1 | 스티브 블랙맨 vs 브래드쇼 |
2 | 오디티즈(자이언트 실바, 골가, 쿠르간) vs 로스 볼리콰스(호세 에스트라다, 미구엘 페레스, 헤수스 카스티요) |
3 | 더 갓파더 vs 파룩 |
4 | 스콜피오 vs 제프 자렛 |
'''본 경기'''
경기 순서 | 경기 내용 | 경기 결과 |
---|---|---|
1 | 싱글 매치 | 알 스노우(w / 헤드) vs 마크 메로(w / 재클린) |
2 | 식스맨 태그팀 매치 | L.O.D. 2000(호크, 애니멀, 드로즈) vs 디사이플스 오브 아포칼립스(8볼, 스컬, 폴 엘러링) |
3 | WWF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십 | 크리스찬(w / 갱그렐) vs 타카 미치노쿠(c)(w / 야마구치 산) |
4 | 싱글 매치 | 골더스트 vs 발 비너스(w / 테리 래넬즈) |
5 | WWF 유러피언 챔피언십 | X-팩(w / 차이나) vs 디 로 브라운(c) |
6 | WWF 태그팀 챔피언십 | 헤드뱅어즈(모쉬 & 슬래셔) vs 뉴 에이지 아웃로즈(로드 독 & 빌리 건)(c) (챔피언 팀의 반칙패로 타이틀 이동 없음) |
7 |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 켄 섐록(c) vs 맨카인드 |
8 | 싱글 매치 | 마크 헨리 vs 더 락 |
9 | WWF 챔피언십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언더테이커 vs 케인 (무승부) |
3. 2. 2000년
Judgment Day영어 2000은 2000년 5월 21일 켄터키 주루이빌의 프리덤 홀에서 개최되었으며, 16,827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2][20][21][22]이날의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투 쿨 (스코티 2 호티, 그랜드마스터 섹세이, 리키시)이 팀 ECK (커트 앵글, 엣지, 크리스챤)를 상대로 승리했다.
- WWF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트리플 쓰렛 매치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에디 게레로가 차이나와 함께 페리 새턴과 딘 말렌코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에서는 셰인 맥맨이 빅 쇼를 꺾었다.
-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은 서브미션 매치로 진행되었으며, 크리스 베노아가 크리스 제리코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 메인 이벤트는 아이언맨 매치 형식의 WWF 챔피언십 경기로, 특별 심판 숀 마이클스가 참여한 가운데 더 락과 트리플 H가 맞붙었다. 경기 결과 트리플 H가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했다.
3. 3. 2001년
- 개최일: May영어 20일
- 개최 장소: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의 알코 아레나
- 관객 동원 수: 13,623명
{| class="wikitable"
|-
! 경기 순서 !! 경기 결과
|-
| 1 || '''선데이 나이트 히트 매치 -Sunday Night HEAT Match영어-'''
레이븐 ● vs 발 비너스 ○
|-
| 2 || '''선데이 나이트 히트 매치 -Sunday Night HEAT Match영어-'''
하드코어 홀리&크래쉬 할리 ○ vs 카이엔타이(타카 미치노쿠&후나키) ●
|-
| 3 || 윌리엄 리갈 ○ vs 리키시 ●
|-
| 4 || '''2 아웃 오브 3 폴스 매치 -Two out of three falls Match영어-'''
경기 방식 | 경기 결과 |
---|---|
레귤러 매치 -Regular Match영어- | 커트 앵글 ● vs 크리스 벤와 ○ |
서브미션 매치 -Submission Match영어- | 커트 앵글 ○ vs 크리스 벤와 ● |
래더 매치 -Ladder Match영어- | 커트 앵글 ○ vs 크리스 벤와 ● |
|-
| 5 || '''트리플 쓰렛 하드코어 매치 형식 WWF 하드코어 챔피언십전 -Triple Threat Hardcore Match영어 for the WWF Hardcore Championship-'''
라이노(c) ○ vs 테스트 ● vs 빅 쇼 ●
|-
| 6 || '''WWF 여자 챔피언십전 -WWF Women's Championship-'''
차이나(c) ○ vs 리타 ●
|-
| 7 || '''체인 매치 형식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전 -Chain Match영어 for the WWF Intercontinental Championship-'''
트리플 H(c) (w / 스테파니 맥맨) ● vs 케인 ○
|-
| 8 || '''태그팀 터모일 매치 형식 WWF 태그팀 챔피언십 1번 도전권 결정전 -Number One Contenders Tag Team Turmoil Match영어 for the WWF Tag Team Championship-'''
크리스 제리코&크리스 벤와 ○ vs A.P.A(브래드쇼&파룩) ● vs 딘 말렝코&페리 새턴 ● vs 더들리 보이즈(버버 레이 더들리&디본 더들리) ● vs X-팩터(X-팍&저스틴 크레더블) ● vs 하디 보이즈(매트 하디&제프 하디) ● vs 에지&크리스찬 ●
|-
| 9 || '''노 홀즈 바드 형식 WWF 챔피언십전 -No Holds Barred Match영어 for the WWF Championship-'''
스티브 오스틴 (c) ○ vs 언더테이커 ●
|}
3. 4. 2002년
2002년 5월 19일, 테네시주 내슈빌의 게일로드 엔터테인먼트 센터에서 14,521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저지먼트 데이가 개최되었다.[4] 공식 대회 곡은 12 Stones의 "Broken"이었다.경기 순서 | 경기 결과 | 비고 |
---|---|---|
1 | 윌리엄 리갈(c) vs 디로 브라운 |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4] |
2 | 에디 게레로(c) vs 롭 밴 댐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4] |
3 | 트리쉬 스트래터스(c) vs 스테이시 키블러 | WWE 여자 챔피언십[4] |
4 | 브록 레스너 & 폴 헤이먼 vs 하디 보이즈 (맷 하디 & 제프 하디) | [4] |
5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vs 빅 쇼 & 릭 플레어 | 핸디캡 매치[4] |
6 | 엣지 vs 커트 앵글 | 헤어 vs 헤어 매치[4] |
7 | 트리플 H vs 크리스 제리코 | 헬 인 어 셀[4] |
8 | 빌리 & 처크(c) vs 리키시 & 리코 | WWE 태그팀 챔피언십[4] |
9 | 헐크 호건(c) vs 언더테이커 | WWE 통합 챔피언십[4] |
3. 5. 2003년
경기 순서 | 경기 결과 |
---|---|
1 | 더 허리케인 vs 스티븐 리차즈 (선데이 나이트 히트) |
2 | 존 시나 & F.B.I. (척 팔럼보 & 조니 스탐볼리) vs 크리스 베노아, 라이노 & 스펑키 |
3 | 라 레지스탕스 (실뱅 그라니에 & 르네 듀프리) vs 스캇 스타이너 & 테스트 (w/ 스테이시 키블러) |
4 | 에디 게레로 & 타지리 vs 팀 앵글 (쉘턴 벤자민 & 찰리 하스)(c) (WWE 태그팀 챔피언십, 래더 매치) |
5 | 크리스챤 vs 부커 T vs 발 비너스 vs 크리스 제리코 vs. 케인 vs 골더스트 vs 랜스 스톰 vs 롭 반 댐 vs 테스트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배틀 로얄) |
6 | 토리 윌슨 vs 세이블 (비키니 콘테스트) |
7 | 미스터 아메리카 (w / 잭 고웬) vs "라우디" 로디 파이퍼 (w / 숀 오헤어) |
8 | 케빈 내쉬 vs 트리플 H(c)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9 | 재즈(c) vs 빅토리아 vs 트리쉬 스트래터스 vs 재클린 (WWE 위민스 챔피언십, 페이탈 4 웨이) |
10 | 브록 레스너(c) vs 빅 쇼 (WWE 챔피언십, 스트레처 매치) |
3. 6. 2004년 (스맥다운!)
2004년 5월 16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개최된 저지먼트 데이는 18,722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8][30]이날 경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경기 순서 | 경기 내용 |
---|---|
선데이 나이트 히트 매치: 마크 진드락(w / 시어도어 롱) vs 후나키 | |
롭 밴 댐 & 레이 미스테리오 vs 더들리 보이즈(버바 레이 더들리 & 디본 더들리) | |
토리 윌슨 vs 던 마리 | |
모르데카이 vs 스커티 투 하티 | |
WWE 태그팀 챔피언십: 찰리 하스 & 리코(c) (w / 미스 재키) vs 하드코어 할리 & 빌리 건 | |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재클린(c) vs 차보 게레로 (w / 차보 클래식) | |
WWE US 챔피언십: 존 시나(c) vs 레네 듀프리 | |
언더테이커(w / 폴 베어러) vs 부커 T | |
WWE 챔피언십: 에디 게레로(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 마크 진드락, 롭 밴 댐, 레이 미스테리오, 토리 윌슨, 모르데카이, 찰리 하스, 리코, 차보 게레로, 존 시나, 언더테이커가 각 경기에서 승리하였다.
- 에디 게레로는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에게 반칙패를 당했지만, 챔피언 벨트는 그대로 유지되었다.[8][30]
3. 7. 2005년 (스맥다운!)
경기 순서 | 경기 결과 |
---|---|
1 | 난지오 vs 아키오 |
2 | MNM(조니 니트로 & 조이 머큐리)(c) (w/ 멜리나) vs 하드코어 홀리 & 찰리 하스 |
3 | 칼리토 (w/ 맷 모건) vs 빅 쇼 |
4 | 폴 런던(c) vs 차보 게레로 |
5 | 부커 T vs 커트 앵글 |
6 | 올랜도 조던(c) vs 하이덴라이크 |
7 | 레이 미스테리오 vs 에디 게레로 |
8 | 존 시나(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 개최일: 2005년 5월 22일
- 개최 장소: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타깃 센터
- 관객 동원 수: 9,500명
- '''선데이 나이트 히트 매치'''에서 난지오가 아키오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 WWE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MNM (조니 니트로 & 조이 머큐리) (c) (w/ 멜리나)가 하드코어 홀리 & 찰리 하스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 칼리토 (w/ 맷 모건)가 빅 쇼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에서 폴 런던(c)이 차보 게레로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 부커 T가 커트 앵글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 WWE US 챔피언십에서 올랜도 조던(c)이 하이덴라이크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 레이 미스테리오가 에디 게레로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에디 게레로의 반칙패)
- "아이 큇" 매치 형식 WWE 챔피언십에서 존 시나(c)가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9][31][32]
3. 8. 2006년 (스맥다운!)
2006년 5월 21일, 애리조나주피닉스의 US 에어웨이스 센터에서 개최된 저지먼트 데이는 14,000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성황리에 열렸다. 공식 대회 곡으로는 Killswitch Engage의 "This Fire Burns"가 사용되었다.[10][33]이날 경기의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 순서 | 경기 결과 |
---|---|
다크 매치 | 맷 하디 승 vs 사이먼 딘 |
1 | 폴 런던 & 브라이언 켄드릭 승 vs MNM(조니 나이트로 & 조이 머큐리) (w/ 멜리나) (WWE 태그팀 챔피언십) |
2 | 크리스 벤와 승 vs 핀레이 |
3 | 질리안 승 vs 멜리나 |
4 | 그레고리 헴즈(c) 승 vs 슈퍼 크레이지 (WWE 크루저급 챔피언십) |
5 | 마크 헨리 승 vs 커트 앵글 |
6 | 부커 T(w/ 샤멜) 승 vs 바비 래쉴리 (킹 오브 더 링 결승전) |
7 | 더 그레이트 칼리(w/ 데바리) 승 vs 언더테이커 |
8 | 레이 미스테리오(c) 승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US 챔피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3. 9. 2007년
2007년 저지먼트 데이는 2007년 5월 20일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스코트레이드 센터에서 개최되었다.[12][34][35] 관객 수는 10,500명이었으며, 공식 대회 곡은 오지 오스본의 "I Don't Wanna Stop"이었다.다음은 2007년 저지먼트 데이에서 치러진 경기 결과이다.
{| class="wikitable"
|-
! 순서
! 경기 결과
! 경기 방식
! 비고
|-
| 1
| 케인 ○ vs 윌리엄 리갈 (w / 데이브 테일러) ●
| 다크 매치 (SmackDown!)
|
|-
| 2
| 릭 플레어 ○ vs 칼리토 ●
| 싱글 매치 (RAW)
|
|-
| 3
| 바비 래쉴리 ○ vs 빈스 맥마흔(c) & 셰인 맥마흔 & 우마가 ●
| 3 대 1 핸디캡 매치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RAW)
| 래쉴리가 셰인 맥마흔에게 파워밤을 성공시켜 승리했지만, 빈스 맥마흔은 자신이 폴 당하지 않으면 챔피언은 바뀌지 않는다고 선언하여 타이틀 방어.
|-
| 4
| CM 펑크 ○ vs 일라이자 버크 ●
| 싱글 매치 (ECW)
|
|-
| 5
| 랜디 오턴 ○ vs 숀 마이클스 ●
| 싱글 매치 (RAW)
| 레프리 스톱에 의한 랜디 오턴 승리
|-
| 6
| 하디 보이즈 (맷 하디 & 제프 하디)(c) ○ vs 랜스 케이드 & 트레버 머독 ●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RAW)
|
|-
| 7
| 에지(c) ○ vs 바티스타 ●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SmackDown!)
|
|-
| 8
| M.V.P. ○ vs 크리스 벤와(c) ●
| 3전 2선승제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SmackDown!)
|
|-
| 9
| 존 시나 (c) ○ vs 더 그레이트 칼리 ●
| WWE 챔피언십 (RAW)
|
|}
3. 10. 2008년
2008년 5월 18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의 퀘스트 센터 오마하에서 저지먼트 데이가 개최되었다. 관중 수는 11,324명이었다.[13] 메인 이벤트는 트리플 H와 랜디 오턴의 WWE 챔피언십 스틸 케이지 매치였다.[13][36][37][38][39]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서 | 경기 결과 | 경기 방식 | 비고 |
---|---|---|---|
1 | 하드코어 할리 & 코디 로즈(c) 승 vs 산티노 마렐라 & 칼리토 패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다크 매치 | |
2 | 존 시나 승 vs JBL 패 | ||
3 | 존 모리슨 & 더 미즈(c) 승 vs 케인 & CM 펑크 패 | WWE 태그팀 챔피언십 | |
4 | 숀 마이클스 승 vs 크리스 제리코 패 | ||
5 | 미키 제임스(c) 승 vs 베스 피닉스 패 vs 멜리나 패 | 위민스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 |
6 | 언더테이커(c) 승 vs 에지 패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카운트 아웃) | |
7 | 제프 하디 승 vs MVP 패 | ||
8 | 트리플 H(c) 승 vs 랜디 오턴 패 | WWE 챔피언십 스틸 케이지 매치 |
3. 11. 2009년
2009년 5월 17일, 일리노이주 로즈몬트의 올스테이트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관객 수는 14,822명이었으며, 공식 대회 곡은 벅체리의 "Rescue me"였다.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다크 매치'''
: 미키 제임스가 베스 피닉스(로자 멘데스 동행)를 이겼다.
- 우마가가 CM 펑크를 이겼다.
- '''ECW 챔피언십'''
: 크리스찬(c)이 잭 스와거를 이기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 존 모리슨이 셸턴 벤자민(찰리 하스 동행)을 이겼다.
-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 레이 미스테리오(c)가 크리스 제리코를 이기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 '''WWE 챔피언십'''
: 바티스타가 랜디 오턴(c)에게 반칙승을 거두었으나, 챔피언십은 이동하지 않았다.
- 존 시나가 빅 쇼를 이겼다.
-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엣지(c)가 제프 하디를 이기고 타이틀을 방어했다.[14][40][41][42][43]
4. 관련 용어
- 페이퍼 뷰 (PPV): WWE에서 주최하는 월간 이벤트로, 주요 경기들이 펼쳐진다. 저지먼트 데이는 1998년 10월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었다.
- WWE 브랜드 확장: 2002년 WWE는 선수층을 스맥다운과 RAW 두 브랜드로 나누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저지먼트 데이는 스맥다운 독점 이벤트였다가, 2007년부터 다시 통합 브랜드 이벤트로 변경되었다.
- 스틸 케이지 매치: 링 주변을 철창으로 둘러싸고 진행하는 경기 방식이다. 2008년 저지먼트 데이 (2008년)에서 트리플 H와 랜디 오턴이 WWE 챔피언십을 놓고 이 경기를 치렀다.[13]
- 아이언맨 매치: 정해진 시간 안에 더 많은 승수를 얻는 선수가 이기는 경기 방식이다. 2000년 저지먼트 데이 (2000년)에서 더 락과 트리플 H가 60분 아이언 맨 매치를 통해 WWF 챔피언십을 다투었으며, 숀 마이클스가 특별 심판을 맡았다.[2][20][21][22]
- 챔피언십 매치: 챔피언 타이틀을 걸고 진행되는 경기이다. 저지먼트 데이에서는 WWE 챔피언십,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등 다양한 챔피언십 경기가 열렸다.
4. 1. 페이 퍼 뷰 (PPV)
# | 이벤트 | 날짜 | 도시 | 경기장 | 메인 이벤트 | 참고 |
---|---|---|---|---|---|---|
1 |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 | 1998년 10월 18일 | 로즈몬트 (일리노이주) | 로즈몬트 호라이즌 | 언더테이커 vs. 케인 (WWF 챔피언십 공석),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특별 심판 | [1] [17] [18] [19] |
2 | 저지먼트 데이 (2000년) | 2000년 5월 21일 | 루이빌 (켄터키주) | 프리덤 홀 | 더 락 (c) vs. 트리플 H (60분 아이언 맨 매치, WWF 챔피언십), 숀 마이클스 특별 심판 | [2] [20] [21] [22] |
3 | 저지먼트 데이 (2001년) | 2001년 5월 20일 |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주) | ARCO 아레나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c) vs. 언더테이커 (노 홀즈 바드 매치, WWF 챔피언십) | [23] [24] [25] |
4 | 저지먼트 데이 (2002년) | 2002년 5월 19일 | 내슈빌 (테네시주) | 게이로드 엔터테인먼트 센터 | 헐리우드 헐크 호건 (c) vs. 언더테이커 (통합 WWE 챔피언십) | [4] [26] [27] |
5 | 저지먼트 데이 (2003년) | 2003년 5월 18일 | 샬럿 (노스캐롤라이나주) | 샬럿 콜리시엄 | 브록 레스너 (c) vs. 빅 쇼 (스트레처 매치, WWE 챔피언십) | [7] [28] [29] |
6 | 저지먼트 데이 (2004년) | 2004년 5월 16일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 스테이플스 센터 | 에디 게레로 (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WWE 챔피언십) | [8] [30] |
7 | 저지먼트 데이 (2005년) | 2005년 5월 22일 | 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주) | 타겟 센터 | 존 시나 (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I quit" match, WWE 챔피언십) | [9] [31] [32] |
8 | 저지먼트 데이 (2006년) | 2006년 5월 21일 | 피닉스 (애리조나주) | US 에어웨이스 센터 | 레이 미스테리오 (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0] [33] |
9 | 저지먼트 데이 (2007년) | 2007년 5월 20일 |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 스코트레이드 센터 | 존 시나 (c) vs. 더 그레이트 칼리 (WWE 챔피언십) | [12] [34] [35] |
10 | 저지먼트 데이 (2008년) | 2008년 5월 18일 | 오마하 (네브래스카주) | 퀘스트 센터 오마하 | 트리플 H (c) vs. 랜디 오턴 (스틸 케이지 매치, WWE 챔피언십) | [13] [36] [37] [38] [39] |
11 | 저지먼트 데이 (2009년) | 2009년 5월 17일 | 로즈몬트 (일리노이주) | 올스테이트 아레나 | 엣지 (c)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4] [40] [41] [42] [43] |
4. 2. WWE 브랜드 확장
2002년 5월, WWE는 헐리우드 헐크 호건을 언더테이커를 상대로 통합 WWE 챔피언십 방어전에 내세웠다.[4][26][27] 이는 브랜드 확장 이후 첫 저지먼트 데이였다. 2003년 저지먼트 데이에서는 브록 레스너가 빅 쇼를 상대로 스트레처 매치에서 WWE 챔피언십을 방어했다.[7][28][29]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저지먼트 데이는 스맥다운 브랜드 독점 이벤트로 진행되었다.[8][30] 2004년에는 에디 게레로가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를 상대로 WWE 챔피언십을 방어했고,[8][30] 2005년에는 존 시나가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를 상대로 "I quit" match에서 WWE 챔피언십을 방어했다.[9][31][32] 2006년에는 레이 미스테리오가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를 상대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방어했다.[10][33]
2007년부터 저지먼트 데이는 다시 모든 브랜드 선수들이 참가하는 이벤트로 변경되었다.
4. 3. 스틸 케이지 매치
스틸 케이지 매치는 프로레슬링 경기 방식 중 하나로, 링의 4면을 철창으로 둘러싸 선수들이 그 안에서 대결하는 방식이다. 2008년 저지먼트 데이에서는 트리플 H와 랜디 오턴이 WWE 챔피언십을 걸고 스틸 케이지 매치를 벌였다.[13]4. 4. 아이언맨 매치
아이언맨 매치는 정해진 시간 동안 더 많은 승리를 따낸 선수가 승리하는 경기 방식이다. 저지먼트 데이 (2000년)에서는 더 락과 트리플 H가 60분 아이언맨 매치를 벌여 WWF 챔피언십 타이틀을 놓고 경쟁했으며, 숀 마이클스가 특별 심판으로 참여했다.[2][20][21][22]4. 5. 챔피언십 매치
# | 이벤트 | 날짜 | 도시 | 경기장 | 메인 이벤트 | 참고 |
---|---|---|---|---|---|---|
1 |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 | 1998년 10월 18일 | 로즈몬트 (일리노이주) | 로즈몬트 호라이즌 | 언더테이커 vs. 케인 (WWF 챔피언십 공석) (특별 심판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1] [17] [18] [19] |
2 | 저지먼트 데이 (2000년) | 2000년 5월 21일 | 루이빌 (켄터키주) | 프리덤 홀 | 더 락 (c) vs. 트리플 H (60분 아이언 맨 매치 WWF 챔피언십) (특별 심판 숀 마이클스) | [2] [20] [21] [22] |
3 | 저지먼트 데이 (2001년) | 2001년 5월 20일 |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주) | ARCO 아레나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c) vs. 언더테이커 (노 홀즈 바드 매치 WWF 챔피언십) | [23] [24] [25] |
4 | 저지먼트 데이 (2002년) | 2002년 5월 19일 | 내슈빌 (테네시주) | 게이로드 엔터테인먼트 센터 | 헐리우드 헐크 호건 (c) vs. 언더테이커 (통합 WWE 챔피언십) | [4] [26] [27] |
5 | 저지먼트 데이 (2003년) | 2003년 5월 18일 | 샬럿 (노스캐롤라이나주) | 샬럿 콜리시엄 | 브록 레스너 (c) vs. 빅 쇼 (스트레처 매치 WWE 챔피언십) | [7] [28] [29] |
6 | 저지먼트 데이 (2004년) | 2004년 5월 16일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 스테이플스 센터 | 에디 게레로 (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WWE 챔피언십) | [8] [30] |
7 | 저지먼트 데이 (2005년) | 2005년 5월 22일 | 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주) | 타겟 센터 | 존 시나 (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I quit" match WWE 챔피언십) | [9] [31] [32] |
8 | 저지먼트 데이 (2006년) | 2006년 5월 21일 | 피닉스 (애리조나주) | US 에어웨이스 센터 | 레이 미스테리오 (c)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0] [33] |
9 | 저지먼트 데이 (2007년) | 2007년 5월 20일 |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 스코트레이드 센터 | 존 시나 (c) vs. 더 그레이트 칼리 (WWE 챔피언십) | [12] [34] [35] |
10 | 저지먼트 데이 (2008년) | 2008년 5월 18일 | 오마하 (네브래스카주) | 퀘스트 센터 오마하 | 트리플 H (c) vs. 랜디 오턴 (스틸 케이지 매치 WWE 챔피언십) | [13] [36] [37] [38] [39] |
11 | 저지먼트 데이 (2009년) | 2009년 5월 17일 | 로즈몬트 (일리노이주) | 올스테이트 아레나 | 엣지 (c)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4] [40] [41] [42] [43] |
(c) – 해당 경기에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한 선수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Professional Wrestling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
웹사이트
WWE (WWF) FAQ
http://www.wrestlevi[...]
WrestleView
2013-11-03
[3]
웹사이트
World Wrestling Federation Entertainment Drops The "F" To Emphasize the "E" for Entertainment
http://corporate.ww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2-05-06
[4]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2
http://www.prowrestl[...]
Pro Wrestling History
2015-02-03
[5]
웹사이트
WWE Entertainment To Make RAW and SMACKDOWN Distinct Television Brands
http://corporate.ww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Corporate
2002-05-27
[6]
웹사이트
WWE Launches ECW as Third Brand
http://corporate.ww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Corporate
2006-05-25
[7]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3 Results
http://www.wwe.com/s[...]
WWE
[8]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4 official results
http://www.wwe.com/s[...]
WWE
[9]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5 Venue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5-05-20
[10]
웹사이트
Rey wins, MNM splits at Judgment Day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6-05-21
[11]
웹사이트
WWE Pay-Per-Views To Follow WrestleMania Formula
http://corporate.ww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Corporate
2007-03-14
[12]
웹사이트
WWE just passes on Judgment Day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7-05-20
[13]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8 Results
http://prowrestlingh[...]
Pro Wrestling History
2008-08-27
[14]
웹사이트
Reader Notes: Bret Hart, WWE in Elmira, 2009 PPVs
http://www.wrestlevi[...]
WrestleView
2008-11-20
[15]
웹사이트
Pay-Per-View Calendar
http://www.wwe.com/c[...]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9-10-26
[16]
웹사이트
Update on the New RAW Stable with Edge and Damian Priest
https://wrestlinghea[...]
2022-04-26
[17]
웹사이트
Austin fired?!?!?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18]
웹사이트
Judgment Day (1998) Venue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19]
웹사이트
Judgment Day (1998)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
웹사이트
Taker costs Rock the title at J-Day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0-05-22
[21]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0) Venue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2]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0)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3]
웹사이트
Triple H loses, Austin wins at J-Day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1-05-21
[24]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1) Venue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5]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1)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6]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2) Venue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7]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2)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8]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3) Venue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9]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3)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30]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4)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31]
웹사이트
Judgment Day: Good, bad, ugly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5-05-23
[32]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5)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33]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6)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34]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7)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35]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7)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36]
웹사이트
Judgment Day spoils streak of good shows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9-07-03
[37]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8)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WE
2011-07-19
[38]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8)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WE
2011-07-19
[39]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8)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WE
2011-07-19
[40]
웹사이트
Hardy feud reignites at Judgment Day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9-07-03
[41]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9)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WE
2011-07-19
[42]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9)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WE
2011-07-19
[43]
웹사이트
Judgment Day (2009) Main Event Synopsis
http://www.wwe.com/s[...]
WWE
2011-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