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e Can Do I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e Can Do It!"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전시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제작된 선전 포스터이다. J. 하워드 밀러가 디자인했으며,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의 직원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이 포스터는 원래 1943년 2주 동안 웨스팅하우스 공장에 게시되었지만, 1980년대에 재발견되어 페미니즘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We Can Do It!"은 다양한 패러디와 상업적 용도로 활용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권한 신장과 연대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미술 - 아메리칸 고딕
    《아메리칸 고딕》은 그랜트 우드가 1930년에 그린 유화 작품으로, 아이오와주의 디블 하우스를 배경으로 여동생과 치과 의사를 모델로 하여 부녀의 모습을 고딕 건축 양식과 반복되는 구성을 통해 묘사했으며, 시카고 미술관 공모전에서 수상하고 다양한 매체에서 패러디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미국의 미술 - 팝 아트
    팝 아트는 195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시작된 미술 운동으로, 대중문화를 예술 소재로 활용하여 추상표현주의에 반발하고 대중적인 이미지를 작품에 도입했으며, 광고 미술과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선전 - 민족 신화
    민족 신화는 국가나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국가 통합을 강화하지만, 국가 간 갈등을 야기할 위험성도 내포하며, 다양한 국가의 사례에서 그 역할과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선전 - 선전 모델
    선전 모델은 미디어가 권력 구조의 영향으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고 여론을 조작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다섯 가지 필터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가 기업 이익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편향된다고 주장하지만, 미디어의 다양성과 기업 부패 보도 사례 등 비판도 존재한다.
We Can Do It!
포스터 정보
제목"We Can Do It!" (우리는 할 수 있어!)
대체 제목"War Production Co-ordinating Committee" (전쟁 생산 조정 위원회) 포스터
제작자J. 하워드 밀러
날짜1943년
의뢰인웨스팅하우스 전기
용도직원 사기 진작
주제제2차 세계 대전 중 여성의 역할
스타일선전 포스터
"We Can Do It!" 포스터
설명
특징팔을 걷어붙인 여성의 모습
상징여성의 힘
페미니즘
노동자 계급 여성
관련 인물로지 더 리베터
역사적 맥락
배경제2차 세계 대전 중 여성 노동력 동원
원래 목적웨스팅하우스 공장 내 직원 사기 진작
배포웨스팅하우스 공장 내부에 한정됨
전시 기간2월 15일부터 2주간
재발견 및 대중적 인기
시기1980년대
이유페미니즘 상징으로 재조명
정치적 메시지 전달 도구로 활용
사용 예시정치 캠페인
광고
패러디
법적 지위
저작권퍼블릭 도메인
영향
관련 이미지로지 더 리베터 이미지와 혼동
사회적 영향여성의 사회 참여 독려

2. 역사적 배경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 정부는 제조업체에 더 많은 전쟁 물자를 생산할 것을 요청했다. 1930년대 내내 경영진과 노동 조합 사이에 쌓인 반감 때문에 대규모 공장의 작업장 분위기는 종종 긴장되었다. 제너럴 모터스(GM)와 같은 회사의 이사들은 과거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팀워크를 장려하려 했다.[3]

1942년, 미국의 그래픽 아티스트 J. 하워드 밀러는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의 전시 생산 조정 위원회에 고용되어 노동자들을 위한 포스터를 제작했다. 이 포스터는 근로자의 사기를 높이고, 결근을 줄이며, 노사 분쟁이나 공장 파업의 가능성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1] 밀러가 제작한 42개 이상의 포스터는 2주마다 교체되며 공장에 게시되었다. 대부분의 포스터는 남성을 묘사했으며, 남성과 여성의 전통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We Can Do It!" 포스터는 1943년 2월 15일부터 2주 동안 펜실베이니아주 이스트 피츠버그와 미국 중서부의 웨스팅하우스 공장에 게시되었다.[1] 이 포스터가 전시된 공장에서는 주로 여성들이 마이카타로 함침된 플라스틱 헬멧 라이너를 생산했다.[16]

당시 "We Can Do It!"이라는 슬로건은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웨스팅하우스 직원들이 함께 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었다.[1] 이 이미지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고 생산량 감소를 막기 위한 부드러운 선전이었다.[36] 포스터에 묘사된 빨강, 흰색, 파란색 의상은 애국심을 은은하게 드러내는 것이었다.[1]

2. 1. 제2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전시 생산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 정부는 제조업체에 더 많은 양의 전쟁 물자를 생산할 것을 요청했다. 1930년대 내내 경영진과 노동 조합 사이에 쌓인 반감 때문에 대규모 공장의 작업장 분위기는 종종 긴장되었다. 제너럴 모터스(GM)와 같은 회사의 이사들은 과거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팀워크를 장려하려 했다.[3] 전미 자동차 노동조합의 홍보 캠페인 루머에 대응하여, GM은 1942년에 노동자와 경영진이 모두 소매를 걷어 올리고 전쟁 생산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선전 포스터를 신속하게 제작했다. 포스터에는 "우리는 할 수 있다!"와 "계속 발사하자!"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3]

GM의 노동자와 경영진의 단결을 장려하는 1942년의 선전 포스터


이러한 포스터를 제작함으로써 기업들은 대중적인 친전쟁 정서를 활용하여 생산량을 늘리고, 정부가 생산에 더 큰 통제를 하는 것을 막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3]

2. 2. J. 하워드 밀러

J. 하워드 밀러는 미국의 그래픽 아티스트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쟁 지원을 위한 포스터를 그렸으며, 그중에는 유명한 "We Can Do It!" 포스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포스터 외에는 밀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4] 수년 동안 밀러의 삶에 대해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으며, 출생 및 사망 날짜조차 불확실했다.[5][6][7][8] 2022년, 제임스 J. 킴블 교수는 밀러의 개인 정보를 더 많이 밝혀내어 출생 연도를 1898년, 사망 연도를 1985년으로 확정했다. 밀러는 메이블 애데어 맥컬리와 결혼했으며, 자녀는 없었다. 살아남은 가족 구성원은 밀러의 형제자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9]

밀러는 피츠버그 예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39년에 졸업했다.[10] 전쟁 중 피츠버그에서 살았으며, 그의 작품은 웨스팅하우스사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회사의 내부 전쟁 생산 조정 위원회에서 후원한 일련의 포스터를 제작하기 위해 고용되었는데, 이 위원회는 전국 전쟁 생산 위원회의 감독하에 조직된 수백 개의 노사 위원회 중 하나였다. 상업적인 작품 외에도 밀러는 유화로 풍경화와 습작을 그렸으며, 그의 가족은 모든 작품을 집에 보관했다.[9]

2. 3.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1942년, J. 하워드 밀러는 광고 대행사를 통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Westinghouse Electric)의 내부 전시 생산 조정 위원회에 고용되어 회사 직원들을 위한 일련의 포스터를 제작했다.[1][11]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근로자들의 사기를 높이고, 결근을 줄이며, 근로자들의 질문을 경영진에게 전달하고, 노사 분쟁이나 공장 파업의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었다. 밀러가 디자인한 42개 이상의 포스터는 각각 2주 동안 공장에 전시된 후 다음 포스터로 교체되었다. 대부분의 포스터는 남성을 묘사했으며, 남성과 여성의 전통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그중 한 포스터는 "작업에 대한 질문이 있으십니까? ... 감독자에게 문의하십시오."라는 문구와 함께 미소 짓는 남성 관리자를 묘사했다.[1][2]

"We Can Do It!"과 같은 시리즈의 J. 하워드 밀러의 또 다른 포스터


"We Can Do It!" 포스터는 17x22인치(559 x 432mm) 크기로 1,800부 이하로 인쇄되었다.[1] 이 포스터는 처음에는 펜실베이니아주 이스트 피츠버그와 미국 중서부의 여러 웨스팅하우스 공장에서만 볼 수 있었으며, 1943년 2월 15일 월요일부터 2주 동안 전시될 예정이었다.[1][12][13][14][15] 전시된 공장들은 웨스팅하우스가 발명한 페놀 수지인 마이카타(Micarta)로 함침된 플라스틱 헬멧 라이너를 제조했으며, 주로 여성들이 고용되어 전쟁 기간 동안 약 1,300만 개의 헬멧 라이너를 생산했다.[16]

"We Can Do It!"이라는 슬로건은 당시 공장 근로자들에게 여성만을 위한 권한 부여로 해석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관리 권한, 직원 능력, 회사의 단결을 촉진하는 일련의 가부장적이고 통제적인 포스터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 이미지를 "웨스팅하우스 직원들이 함께 할 수 있습니다"라는 의미로 이해했을 것이다.[1] 이 긍정적인 이미지는 직원의 사기를 높이고 생산량 감소를 막기 위한 부드러운 선전 역할을 했다.[36] "We Can Do It!" 포스터 속 근로자의 옷깃에 있는 배지는 그녀가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공장 현장 직원임을 나타낸다.[36] 묘사된 빨강, 흰색, 파란색 의상은 애국심을 은은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이는 기업 전쟁 생산 위원회의 빈번한 전술 중 하나였다.[1][2]

3. 로지 더 리베터

"We Can Do It!" 포스터는 로지 더 리베터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여성 노동력을 상징하는 또 다른 아이콘으로 널리 알려졌다.

3. 1. 로지 더 리베터와의 관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We Can Do It!" 포스터는 1942년 노래 "로지 더 리베터"와 관련이 없었다. 노먼 록웰의 그림 ''Rosie the Riveter''는 1943년 5월 29일자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 현충일 호 표지에 실렸지만, 이 역시 포스터와 관련이 없었다. 웨스팅하우스 포스터는 전쟁 물자 생산을 위해 여성의 노동을 장려하기 위해 나선 "로지"라는 별명의 여성들과도 관련이 없었다. 오히려 1943년 2월 웨스팅하우스 공장 노동자들에게 2주 동안 전시된 후 거의 40년 동안 자취를 감췄다.[17][18] 다른 "로지" 이미지, 종종 실제 노동자들의 사진이 널리 퍼졌다. 미국 전쟁 정보국은 전쟁을 홍보하기 위한 대규모 전국 광고 캠페인을 준비했지만 "We Can Do It!"은 그 일부가 아니었다.[36]

록웰의 ''Rosie the Riveter'' 그림은 ''포스트''지에서 미국 재무부에 대여되어 전쟁 채권 홍보에 사용되었다. 전쟁 이후 록웰의 그림은 저작권 때문에 점차 대중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 록웰 사후 그의 유산에 의해 모든 그림이 강력하게 보호되었다. 이러한 보호로 인해 원본 그림의 가치가 높아져 2002년에 거의 500만달러에 판매되었다.[19] 반면, "We Can Do It!" 이미지는 저작권 보호가 부족하여 재조명될 수 있었다.[13]

웨스팅하우스의 자원 봉사 역사학자 에드 레이스는 이 원본 이미지가 전쟁 중 여성 리베터에게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로지 더 리베터"와의 최근 연관성은 정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이 이미지는 마이카르타로 헬멧 라이너를 만드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했다. 레이스는 이미지 속 여성이 "몰리 더 마이카르타 몰더 또는 헬렌 더 헬멧 라이너 메이커"로 불렸을 가능성이 더 높았을 것이라고 농담했다.[16]

4. 재발견과 페미니즘적 의미

1982년, "We Can Do It!" 포스터는 ''워싱턴 포스트 매거진''의 "애국심을 위한 포스터 미술"이라는 기사에 국립 문서 보관소 소장 포스터 중 하나로 소개되면서 재발견되었다.[20]

이후 이 포스터는 페미니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페미니스트들은 이 이미지에서 여성의 권한 신장을 발견했으며,[21] 역사학 교수 제레미아 액슬로드는 이 이미지가 여성성과 "남성적인(거의 마초적인) 구성과 몸짓"의 조합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2]

같은 해, 제럴딘 도일은 잡지에 실린 "We Can Do It!" 포스터를 보고 자신이 원본 모델임을 알게 되었다. 도일은 이 이미지가 페미니즘의 상징으로 유명해지자, 미시간주 여성 홀 오브 페임을 방문하여 포스터에 서명하기도 했다.[61]

4. 1. 페미니즘 운동에서의 활용

1980년대 이후, "We Can Do It!" 포스터는 페미니즘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었다.[21] 페미니스트들은 이 포스터를 통해 여성의 권한 신장을 표현하고자 했다.[21] 여기서 "We"는 "우리 여성들"을 의미하며, 성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모든 여성들의 연대를 상징했다.[1][36] 이는 1943년 포스터가 노동자 통제와 노사 불안 해소를 위해 사용된 것과는 매우 다른 의미였다.[1][36] 역사학 교수 제레미아 액슬로드는 이 이미지에서 여성성과 "남성적인(거의 마초적인) 구성과 몸짓"의 조합이 갖는 의미를 언급했다.[22]

''스미소니언'' 잡지는 1994년 3월호 표지에 이 이미지를 사용하여 전쟁 시대 포스터에 대한 특집 기사를 홍보했다.[23] 미국 우정국은 1999년 2월에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여성, 전쟁 지원"이라는 문구가 추가된 33센트짜리 우표를 발행했다.[24][25] 1943년 웨스팅하우스 포스터는 미국 국립 역사 박물관에 1930년대와 40년대의 전시물 중 하나로 전시되었다.[26]

제럴딘 도일은 이 이미지가 페미니즘의 상징으로 사용되면서 유명해졌다. 그녀는 미시간주 여성 홀 오브 페임을 방문하여 포스터에 서명하기도 했다.[61]

4. 2. 대중매체와 상품에서의 활용

2차 세계 대전 전함 박물관에서 판매되는 생수 자판기의 상업적 활용 사례


1982년, "We Can Do It!" 포스터는 ''워싱턴 포스트 매거진''에 실린 국립 문서 보관소 소장 포스터에 관한 기사 "애국심을 위한 포스터 미술"에서 재현되었다.[20]

이후 수년간, 이 포스터는 페미니즘을 홍보하는 데 다시 사용되었다. 페미니스트들은 이 이미지에서 여성의 권한 신장을 구현하는 모습을 보았다.[21] "We"는 "우리 여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성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모든 여성을 자매애로 결합했다. 이는 직원을 통제하고 노동 불안을 억제하기 위해 포스터가 1943년에 사용된 것과는 매우 다른 의미였다.[1][36]

''스미소니언'' 잡지는 1994년 3월호 표지에 이 이미지를 게재하여, 전쟁 시대 포스터에 대한 특집 기사를 읽도록 독자들을 초대했다. 미국 우정국은 1999년 2월에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33센트짜리 우표를 제작했으며, "여성, 전쟁 지원"이라는 문구를 추가했다.[23][24][25] 1943년 웨스팅하우스 포스터는 1930년대와 40년대의 물품을 전시하는 일부인 미국 국립 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었다.[26]

제럴딘 도일은 1982년에 잡지용으로 복제된 "We Can Do It!"을 발견하고 자신이 원본 UPI 통신사 사진 모델임을 알아차렸다. 이때 이미지는 페미니즘을 옹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으며, 페미니스트들은 이 포스터 이미지에서 여성의 자기 실현 달성을 발견했다.[69] "We(우리)"는 "We Women(우리 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남녀 불평등과 싸우는 자매로서 모든 여성들을 단결시키는 이미지로 여겨졌다.[74][56]

도일은 아이콘으로서의 이미지가 붙어 인지도가 높아졌다. 때로는 미시간주와 연관된 여성의 홀 오브 페임을 방문하여, 포스터에 사인을 하거나,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61]

5. 모델 논란과 나오미 파커 프레이리

1942년 나오미 파커의 사진


'We Can Do It!' 포스터의 모델로 널리 알려졌던 제럴딘 호프 도일은 자신이 1942년 사진 속 주인공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제임스 J. 킴블 교수가 ACME 뉴스 사진 아카이브에서 발견한 원본 사진에는 나오미 파커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었다.[32] 이 사진은 1942년 3월 캘리포니아 앨러미다 해군 항공 기지에서 촬영된 것으로, 당시 도일은 미시간에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다.[27]

킴블 교수는 2015년 나오미 파커 프레이리와 그녀의 여동생을 인터뷰하여, 그들이 오랫동안 잘못 알려진 사실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실패했음을 확인했다.[27] 나오미 파커 프레이리는 2018년 1월 20일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4]

J. 하워드 밀러가 사진이 아닌 실제 모델을 보고 작업했다는 웨스팅하우스 역사가 찰스 A. 루흐의 증언도 있지만,[35] 1942년 7월 5일 피츠버그 프레스에 나오미 파커의 사진이 게재되었기 때문에 밀러가 이 사진을 보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34]

5. 1. 제럴딘 호프 도일의 주장

1984년, 전직 군수 노동자 제럴딘 호프 도일은 ''모던 머튜리티'' 잡지에서 젊은 여성이 선반에서 일하는 전시 사진을 발견하고, 자신이 1942년 중후반에 공장에서 잠시 일했을 때 찍힌 사진이라고 추정했다.[27] 10년 후, 도일은 ''스미소니언'' 잡지 표지에서 "We Can Do It!" 포스터를 보고, 그 포스터가 자신의 이미지라고 추정했다. 도일은 이 연결을 통해 이익을 얻을 의도는 없었지만, 1942년 전시 사진이 밀러가 포스터를 제작하는 데 영감을 주었고, 도일 자신이 포스터의 모델이라고 결정했다.[27] 그 후, 도일은 밀러의 포스터의 영감으로 널리 알려졌다.[17][28][29][30][31]

많은 출판물들이 전시 사진이 밀러의 포스터에 영감을 주었다는 도일의 근거 없는 주장을 반복했지만,[27] J. 하워드 밀러와 친구였던 피츠버그 거주자이자 웨스팅하우스 역사가인 찰스 A. 루흐는 밀러가 사진을 보고 작업하는 습관이 아니라, 살아있는 모델을 보고 작업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35]

도일은 아이콘으로서의 이미지가 붙어 인지도가 높아졌다. 때로는 미시간주와 연관된 여성의 홀 오브 페임을 방문하여, 포스터에 사인을 하거나,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하지만, 유명한 포스터의 모델이 되었던 젊은 시절을 떠올리지 않는 편이 좋았을지도 모른다고 그녀는 말했다. 하지만 "그때는 흥분을 감출 수 없었다"라고 회상했다.[61]

5. 2. 나오미 파커 프레이리와의 인터뷰



세인트메리스 대학교의 제임스 J. 킴블 교수는 ACME 뉴스 사진 아카이브에서 낡은 캡션이 포함된 원본 사진 인쇄본을 확보하여, 사진 속 여성이 나오미 파커임을 밝혀냈다.[32] 이 사진은 1942년 3월에 캘리포니아 앨러미다 해군 항공 기지에서 파커와 그녀의 여동생이 전쟁 관련 직장에서 일하는 모습을 담은 일련의 사진 중 하나였다.[32][33] 이 이미지들은 1942년 4월부터 다양한 신문과 잡지에 게재되었으며, 당시 제럴딘 도일은 미시간에서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었다.[27]

2015년 2월, 킴블 교수는 나오미 펀 프레이리(당시 93세)와 그녀의 여동생 아다 윈 모포드(당시 91세)를 인터뷰했다. 킴블 교수는 그들이 5년 동안 사진의 신원이 잘못 알려진 것을 알고 있었고, 역사 기록을 수정하려는 시도가 거부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27] 나오미 파커 프레이리는 2018년 1월 20일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4]

많은 출판물들이 전시 사진이 밀러의 포스터에 영감을 주었다는 도일의 근거 없는 주장을 반복했지만,[27] J. 하워드 밀러와 친구였던 피츠버그 거주자이자 웨스팅하우스 역사가인 찰스 A. 루흐는 밀러가 사진이 아닌 살아있는 모델을 보고 작업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35] 그러나 나오미 파커의 사진은 1942년 7월 5일 피츠버그 프레스에 게재되었기 때문에, 밀러가 포스터를 제작할 때 사진을 보았을 가능성도 있다.[34]

6. 현대적 의의와 영향

"We Can Do It!" 포스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좁은 목적을 넘어 오늘날에는 티셔츠, 문신, 커피 컵, 냉장고 자석 등 다양한 상품에 활용되며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1] 워싱턴 포스트는 이 이미지를 워싱턴 D.C.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기념품이라고 칭하기도 했다.[1]

이 포스터는 정치, 광고,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2008년 미국 대선 당시 세라 페일린, 론 폴, 힐러리 클린턴 등 여러 정치인들의 선거 캠페인에 사용되었고,[16] 2010년 Rally to Restore Sanity and/or Fear에서는 미셸 오바마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이 이미지를 활용했다.[36] 클로락스(Clorox) 같은 기업은 주방 세제를 광고하면서 이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이때 여성의 왼손에 결혼반지를 끼워넣는 식으로 변형하기도 했다.[37]

2010년 줄리아 길라드가 호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된 후, 멜버른의 거리 예술가 "피닉스"는 길라드의 얼굴을 "We Can Do It!" 포스터의 새로운 흑백 버전으로 붙였다.[40]

애드 카운슬은 1942년 "여성을 위한 전쟁 일자리"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 포스터를 개발하여 2백만 명 이상의 여성을 전쟁 생산에 참여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했다.[49][50][51] 2012년 애드 카운슬 70주년 기념 행사에서는 "Rosify Yourself"라는 페이스북 앱을 통해 사용자들이 자신의 얼굴을 포스터에 합성할 수 있게 했다.[52]

2010년, 가수 핑크는 자신의 노래 "Raise Your Glass" 뮤직 비디오에서 이 포스터를 재현했으며, 케이트 버겐과 같은 예술가들은 COVID-19 의료진을 응원하기 위해 이 포스터를 패러디하기도 했다.[54]

2015년 발족한 여자 아이스하키 리그 NWHL의 뉴욕 리베터스는 "로지 더 리베터"를 본뜬 심볼 마크를 채용했다.

6. 1. 정치, 광고, 예술에서의 활용

"We Can Do It!" 포스터는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여성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훨씬 넓어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008년 미국 대선 당시 세라 페일린, 론 폴, 힐러리 클린턴 등 여러 정치인들의 선거 캠페인에 사용되었고,[16] 2010년 Rally to Restore Sanity and/or Fear에서는 미셸 오바마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이 이미지를 활용하기도 했다.[36]

클로락스(Clorox) 같은 기업들은 주방 세제를 광고하면서 이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이때 여성의 왼손에 결혼반지를 끼워넣는 식으로 변형하기도 했다.[37] 이 외에도 유명 인사, 동물, 만화 캐릭터 등을 패러디한 다양한 버전이 만들어졌으며, 보블헤드(bobblehead) 인형이나 액션 피겨 장난감으로도 제작되었다.[1]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 박물관(The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에서는 크리스틴 커밍스가 수천 개의 젤리 벨리(Jelly Belly) 사탕으로 만든 복제품을 전시하기도 했다.[38][39]

2010년 줄리아 길라드가 호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을 때, 멜버른의 거리 예술가 "피닉스"는 길라드의 얼굴을 "We Can Do It!" 포스터에 합성한 흑백 이미지를 제작했다.[40] 2011년에는 "She Did It!"이라는 문구를 추가한 컬러 버전을, 2012년에는 호주 정치 상황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기 위해 "Too Sad"라는 문구를 덧붙이기도 했다.[44][45]

"We Can Do It!" 포스터는 애드 카운슬(Ad Council)이 70주년 기념 행사를 위해 "Rosify Yourself"라는 페이스북 앱을 통해 사용했다.


애드 카운슬(Ad Council)은 70주년 기념 행사에서 "Rosify Yourself"라는 페이스북 앱을 통해 사용자들이 자신의 얼굴을 "We Can Do It!" 포스터에 합성할 수 있도록 했다.[52]

2010년, 미국 가수 핑크는 자신의 노래 "Raise Your Glass" 뮤직 비디오에서 이 포스터를 재현했다.

최근에는 COVID-19 상황에서 의료진들을 응원하기 위해 이 포스터를 패러디한 작품들이 등장하기도 했다.[54]

6. 2. 대중문화에서의 패러디와 변용

오늘날, "We Can Do It!" 이미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좁은 목적을 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티셔츠, 문신, 커피 컵, 냉장고 자석 등 다양한 상품에 사용되며, 워싱턴 포스트는 이 이미지를 워싱턴 D.C.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기념품이라고 칭했다.[1]

이 이미지는 정치, 상업, 패러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2011년 영화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져''에서는 엔딩 크레딧에 헤일리 앳웰의 타이틀 카드 배경으로 "We Can Do It!"의 입체 사진이 사용되었다.[48]

2010년, 가수 핑크는 자신의 노래 "Raise Your Glass" 뮤직 비디오에서 이 포스터를 재현했다.

애드 카운슬은 70주년 기념 행사 (2012년)를 위해 "Rosify Yourself"라는 페이스북 앱을 개발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얼굴을 "We Can Do It!" 포스터에 넣어 공유할 수 있게 했다.[52]

이 포스터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의료진을 응원하는 이미지로도 활용되는 등,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되며 그 의미를 확장하고 있다.[54]

6. 3.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오늘날 "We Can Do It!" 포스터 이미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제한적인 목적을 훨씬 뛰어넘어 한국 사회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티셔츠, 문신, 커피 컵, 냉장고 자석 등 다양한 상품에 이 도안이 사용되고 있다.

이 이미지는 한국에서도 여러 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양성평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데 기여했다. 여성 단체들은 이 이미지를 활용하여 슬로건을 만들거나 시위 현장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한국 여성들에게 "We Can Do It!" 이미지가 갖는 특별한 의미를 보여준다.

참조

[1] 논문 Visual Rhetoric Representing Rosie the Riveter: Myth and Misconception in J. Howard Miller's 'We Can Do It!' Poster https://web.archive.[...] 2006
[2] 서적 Design for Victory: World War II posters on the American home fro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16-07-15
[3] 기타 Bird/Rubenstein 1998, p. 58 https://books.google[...]
[4] 서적 American Women during World War II: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학위논문 A Riveting "Rosie": J. Howard Miller's We Can Do It! Poster and Twentieth Century American Visual Culture https://drum.lib.umd[...]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07-07-17
[6] 웹사이트 We Can Do It! https://americanart.[...]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7] 서적 World War II and the Postwar Years in America: A-I https://books.google[...] ABC-CLIO
[8] 서적 History of Illustra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9] 뉴스 How a Seton Hall professor discovered the creator of 'Rosie the Riveter' https://www.theseton[...] 2022-05-20
[10] 서적 The Art Institute of Pittsburgh Arcadia Publishing https://books.google[...] Arcadia
[11] 서적 Smokey, Rosie, and You! https://books.google[...] Hillcrest Publishing Group 2016-07-15
[12] 서적 Posters American Style National Museum of American Art, Smithsonian Institution, in association with Harry N. Adams, Inc
[13] 웹사이트 Rosie the Riveter: Real Women Workers in World War II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0-07-20
[14] 논문 Work–Fight–Give: Smithsonian World War II Posters of Labor, Government, and Industry
[15] 웹사이트 We Can Do It! http://collections.s[...] Smithsonian Institution
[16] 웹사이트 'Rosie the Riveter' is ''not'' the same as 'We Can Do It!' http://www.docspopul[...] Docs Populi
[17] 뉴스 Geraldine Hoff Doyle dies at 86; inspiration behind a famous wartime poster http://www.latimes.c[...] 2010-12-31
[18] 서적 World War II and the Postwar Years in America: A Historical and 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7-15
[19] 서적 American Women during World War II: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07-15
[20] 뉴스 Poster Art for Patriotism's Sake 1982-05-23
[21] 서적 American icons: an encyclopedia of the people, places, and things https://archive.org/[...] Greenwood
[22] 서적 Tales of the Great American Victory: World War II in Politics and Poetics VU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1999–2000 Highlights http://www.rosiether[...] Rosie the Riveter Trust 2003-04
[24] 웹사이트 Women Support War Effort http://www.usstampga[...]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5] 웹사이트 Women On Stamps (Publication 512) http://about.usps.co[...]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03-04
[26] 웹사이트 Treasures of American History: The Great Depression and World War II http://americanhisto[...]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27] 논문 Rosie's Secret Identity, or, How to Debunk a Woozle by Walking Backward through the Forest of Visual Rhetoric 2016
[28] 뉴스 Geraldine Doyle, inspiration for 'Rosie the Riveter,' dies at 86 http://fieldnotes.ms[...] 2010-12-30
[29] 뉴스 Geraldine Doyle, Iconic Face of World War II, Dies at 86 https://www.nytimes.[...] 2010-12-29
[30] 웹사이트 Michigan Woman Who Inspired WWII 'Rosie' Poster Has Died https://www.npr.org/[...] NPR 2010-12-31
[31] 논문 Geraldine Hoff Doyle
[32] 웹사이트 Ada Wyn Morford Papers http://museum.nps.go[...] National Park Service Museum Collections
[33] 웹사이트 All This and Overtime, Too http://www.corbisima[...] Corbis
[34] 뉴스 Naomi Parker Fraley, the Real Rosie the Riveter, Dies at 96 https://www.nytimes.[...] 2018
[35] 웹사이트 Rosie the Riveter Image http://www.pennycolm[...] PennyColeman.com 2010-12-30
[36] 논문 Sociological Images: Secrets of a feminist icon 2011-01-04
[37] 웹사이트 Sociological Images: Trivializing Women's Power http://thesocietypag[...] 2012-01-24
[38] 웹사이트 Masterpieces of Jelly Bean Art Collection at the Children's Museum http://indianapolis-[...] Funcityfinder.com 2012-10-05
[39] 웹사이트 We Can Do It! http://www.jellybell[...] Jelly Belly 2012-10-05
[40] 웹사이트 We Can Do It! https://www.flickr.c[...] Flickr 2012-10-05
[41] 간행물 Australian President, Julia Gillard http://www.anotherma[...] 2012-10-05
[42] 웹사이트 Julia Gillard http://damadesign.tu[...] Tumblr 2012-10-05
[43] 웹사이트 We Can Do It! https://www.flickr.c[...] Flickr 2012-10-05
[44] 웹사이트 We Can Do It! https://www.flickr.c[...] Flickr 2012-10-05
[45] 웹사이트 She Did It! (TOO SAD) https://www.flickr.c[...] Flickr 2012-10-05
[46] 웹사이트 Table of Contents http://www.utne.com/[...] 2012-01-24
[47] 웹사이트 untitled http://utnereader.tu[...] Utne Reader 2012-01-24
[48] 웹사이트 Captain America: The First Avenger http://www.artofthet[...] 2012-02-17
[49]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Ad Council http://www.adcouncil[...] Ad Council 2012-09-24
[5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adcouncil[...] Ad Council 2012-09-24
[51] 뉴스 Happy Birthday Ad Council! Celebrating 70 Years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http://www.huffingto[...] 2012-09-24
[52] 웹사이트 HelpsGood Develops 'Rosify Yourself' App for Ad Council's 70th Birthday http://www.helpsgood[...] HelpsGood 2012-09-24
[53] 뉴스 Plaza sign of the day: Matt as Rosie the Riveter http://allday.today.[...] MSN Allday Today 2012-09-24
[54] 간행물 How to deal with work stress — and actually recover from burnout https://knowablemaga[...] 2022-08-04
[55] 서적 Rosie the Riveter in Long Beach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56] 논문 Visual Rhetoric Representing Rosie the Riveter: Myth and Misconception in J. Howard Miller's 'We Can Do It!' Poster http://www.mendeley.[...]
[57] 서적 Smokey, Rosie, and You! https://books.google[...] Hillcrest Publishing Group
[58] 서적 Design for Victory: World War II posters on the American home fro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59] 뉴스 Geraldine Doyle, Iconic Face of World War II, Dies at 86 https://www.nytimes.[...] 2010-12-29
[60] 웹사이트 Michigan Woman Who Inspired WWII 'Rosie' Poster Has Died http://www.npr.org/b[...] NPR 2012-01-23
[61] 뉴스 Geraldine Hoff Doyle dies at 86; inspiration behind a famous wartime poster http://www.latimes.c[...] 2010-12-31
[62] 간행물 Geraldine Hoff Doyle Michigan Department of State
[63] 웹사이트 Myth-Making and the 'We Can Do It!' Poster http://thesocietypag[...] 2012-01-23
[64] 웹사이트 Rosie the Riveter: Real Women Workers in World War II http://www.loc.gov/r[...] Library of Congress 2012-01-23
[65] 간행물 Work—Fight—Give: Smithsonian World War II Posters of Labor, Government, and Industry George Meany Memorial Archives
[66] 웹사이트 "'Rosie the Riveter' is ''not'' the same as 'We Can Do It!'" http://www.docspopul[...] Docs Populi 2012-01-23
[67] 서적 World War II and the Postwar Years in America: A Historical and 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68] 서적 American Women during World War II: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9] 서적 American icons: an encyclopedia of the people, places, and things https://books.google[...] Greenwood
[70] 웹사이트 1999–2000 Highlights http://www.rosiether[...] Rosie the Riveter Trust 2012-01-24
[71] 웹사이트 Women Support War Effort http://www.usstampga[...]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12-01-24
[72] 웹사이트 Women On Stamps (Publication 512)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12-01-24
[73] 웹사이트 Treasures of American History: The Great Depression and World War II http://americanhisto[...]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2012-01-24
[74] 웹사이트 Sociological Images: Secrets of a feminist icon http://lisawadedotco[...] 2012-05-14
[75] 웹사이트 Sociological Images: Trivializing Women's Power http://thesocietypag[...] 2012-01-24
[76] 웹사이트 Rosie the Riveter Image http://www.pennycolm[...] PennyColeman.com 2012-01-24
[77] 웹사이트 Table of Contents http://www.utne.com/[...] 2012-01-24
[78] 웹사이트 untitled http://utnereader.tu[...] Utne Reader 2012-01-24
[79] 웹사이트 Captain America: The First Avenger http://www.artofthet[...] 2012-02-17
[80] 저널 Visual Rhetoric Representing Rosie the Riveter: Myth and Misconception in J. Howard Miller's 'We Can Do It!' Poster http://www.mendeley.[...] 2014-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