Ђ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Ђ는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의 요청으로 만들어진 키릴 문자이다.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dʑ/를 나타내며, 세르비아어 알파벳의 여섯 번째 글자이다. Ђ는 유니코드에서 대문자 U+0402, 소문자 U+0452로 정의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자 인코딩에서 표현된다.
Ђ는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의 요청에 의해 만들어졌다.[4][1] 여러 가지 글자 형태가 제안되었는데, 파블레 솔라리치와 글리고리예 게르시치가 제안한 것이 있었다. 현재 사용되는 형태는 루키얀 무시츠키가 디자인했다.[2][3][1] 이 글자는 고대 키릴 문자의 제르브 (Ꙉ) 문자를 부활시킨 Ћ 문자를 변형하여 디자인되었다.[1] 새로운 문자는 카라지치의 1818년 사전에서 채택되었고, 이로 인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 또한, Д와 Ь의 합자 형태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며 유니코드에 문자로 추가되지 않았다.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dʑ/을 나타낸다. 대응하는 무성음은 Ћ이다.
Ђ 문자는 컴퓨터에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 인코딩 시스템에서 코드 값이 정의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2. 역사
3. 소리
4. 세르비아어 알파벳에서의 위치
5. 컴퓨팅 코드
5. 1. 유니코드
wikitext문자 인코딩 대문자 (Ђ) 소문자 (ђ) 유니코드 (16진) U+0402 U+0452 유니코드 명칭 CYRILLIC CAPITAL LETTER DJE CYRILLIC SMALL LETTER DJE 문자 참조 (10진) Ђ ђ 코드 페이지 855 81 80 윈도우-1251 80 90 ISO-8859-5 A2 F2 매킨토시 키릴 문자 AB AC JIS X 0213 1-10-26 1-11-6
5. 2. 기타 인코딩
인코딩 | 대문자 (Ђ) | 소문자 (ђ) |
---|---|---|
코드 페이지 855 | 81 | 80 |
윈도우-1251 | 80 | 90 |
ISO-8859-5 | A2 | F2 |
매킨토시 키릴 문자 | AB | AC |
6. 관련 문자
참조
[1]
서적
Gramatika i stilistika hrvatskoga ili srpskoga književnog jezika
1899
[2]
서적
Potsetnik iz srpskohrvatskog jezika i pravopisa: s pravopisnim i jezičkim savetnikom
https://books.google[...]
Rad
[3]
서적
Историја српске ћирилице
Београд
1971
[4]
서적
Gramatika i stilistika hrvatskoga ili srpskoga književnog jezika
18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