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상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래상어속(Rhinobatos)은 가래상어과에 속하는 속으로, 현재 20종의 현존하는 종과 다수의 멸종된 종을 포함한다. 이들은 기니만에서 앙골라,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등 다양한 지역의 연안에 서식하며, 몸에 흰 점이나 다양한 무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가래상어속은 과거 사카타자메과에 속하는 모든 종을 포함했으나, 계통 분류 연구를 통해 여러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했다. 화석 기록은 티토니아절부터 현재까지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래상어과 - 점수구리
점수구리는 최대 53cm까지 자라는 톱상어보다 작은 물고기로, 회갈색 등과 흰색 배를 가지고 남일본에서 동중국해 연안의 모래나 진흙 바닥에 서식하며, 물고기나 새우를 먹고 여름에 2-9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지느러미는 샥스핀, 어묵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 1790년 기재된 물고기 - 큰입선농어
큰입선농어(*Lates calcarifer*)는 동인도양과 서태평양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바라문디'로도 불리는 식용어로, 갑각류, 연체동물, 작은 물고기를 먹고 자라면서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자웅동체 어류이다. - 1790년 기재된 물고기 - 백미돔
백미돔은 도미목 Lobotidae과에 속하는 어류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잎이나 부유물처럼 옆으로 누워 수면에 떠 있는 특이한 행동을 보이고,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며, 상업적 어획 및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가래상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아강 | 판새아강 |
목 | 노코기리에이목 |
과 | 사카타자메과 |
속 | 가래상어속 (Rhinobatos) |
학명 | Rhinobatos H. F. Linck, 1790 |
속 명명자 | H. F. 링크, 1790 |
화석 범위 | 티토니아절 ~ 현재 |
2. 하위 종
가래상어속에는 현재 20종이 알려져 있다.[2][3] 과거에는 사카타자메과의 모든 종이 가래상어속으로 분류되었으나, 다계통군으로 밝혀져 미나미사카타자메속 등으로 옮겨졌다.[10][11]
Rhinobatos formosensis영어 (타이완 가래상어), Rhinobatos hynnicephalus영어 (흰가래상어), Rhinobatos rhinobatos영어 (유럽가래상어), Rhinobatos schlegelii영어 (가래상어), Rhinobatos thouiniana영어 (쇼우 삽코 가래상어) 등이 현존한다.
2. 1. 현존하는 종
현재 가래상어속에는 20종이 알려져 있다.[2][3]학명 | 한국어 명칭 | 특징 |
---|---|---|
Rhinobatos albomaculatus 노먼, 1930 | 흰점 가래상어 | 기니만에서 앙골라 연안 서식. 몸길이 보통 60cm, 흰 점 산재. |
Rhinobatos annandalei 노먼, 1926 | 안난다레이 가래상어 |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미얀마 연안 서식. 수컷 최대 89cm, 암컷 65cm. 흰 점 대칭 배열. |
Rhinobatos austini Ebert & Gon, 2017 | 오스틴 가래상어 | 콰줄루나탈주-모잠비크 연안 서식. 몸길이 110cm 이상, 주둥이 복면 검은 반점, 등 뚜렷한 가시 없음, 검은 반점 대칭.[12] |
Rhinobatos borneensis 라스트, Séret & Naylor, 2016 | 보르네오 가래상어 | 남중국해, 보르네오섬 연안 대륙붕 서식. 수컷 68cm, 암컷 90cm. 옅은 황색 반점, 등지느러미 어두운 반점.[13] |
Rhinobatos formosensis 노먼, 1926 | 타이완 가래상어 | |
Rhinobatos holcorhynchus 노먼, 1922 | 가늘가래상어 | 케냐-콰줄루나탈주 해안 대륙붕 서식. 최대 127cm, 등면 올리브 그린색, 반점 없음, 주둥이 복면 검은 반점. |
Rhinobatos hynnicephalus J. 리처드슨, 1846 | 흰가래상어 | |
Rhinobatos irvinei 노먼, 1931 | 가시등 가래상어 | 모로코-앙골라 연안 서식. 보통 65cm, 표범 무늬. |
Rhinobatos jimbaranensis 라스트, W. T. White & Fahmi, 2006 | 짐바란 삽코 | 인도네시아 중부 고유종, 연안 서식. 수컷 89cm, 암컷 99cm, 흰 점 없음.[14] |
Rhinobatos lionotus 노먼, 1926 | 매끈등 가래상어 | 벵골만, 미얀마, 스리랑카 대륙붕 서식. 몸길이 75cm, 어두운 불규칙 반점 대칭 배열. |
Rhinobatos manai W. T. White, 라스트 & Naylor, 2016 | 파푸아 가래상어 | 파푸아뉴기니 뉴아일랜드주 연안 서식. 몸길이 73cm, 등면 갈색 반점 산재.[15] |
Rhinobatos nudidorsalis 라스트, 콤파뇨 & 나카야, 2004 | 민등 삽코 | 마스카린 고원 고유종. 몸길이 50cm (소형), 뚜렷한 가시 없음.[16] |
Rhinobatos penggali 라스트, W. T. White & Fahmi, 2006 | 인도네시아 삽코 | 인도네시아 중부 고유종, 연안 서식. 수컷 86cm, 암컷 99cm, 등 흰 점.[14] |
Rhinobatos punctifer 콤파뇨 & J. E. 랜들, 1987 | 점박이 가래상어 | 홍해, 오만-파키스탄 대륙붕 서식. 최대 88cm, 체색 변이, 몸판 가장자리 흰 점 또는 그물 무늬. |
Rhinobatos ranongensis 라스트, Séret & Naylor, 2019 | 라농 가래상어 | 안다만해, 미얀마, 태국 연안 서식. 몸길이 60cm 이상, 뚜렷한 무늬 없음.[17] |
Rhinobatos rhinobatos 린네, 1758 | 유럽가래상어 | |
Rhinobatos sainsburyi 라스트, 2004 | 금눈 삽코 | 서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연안 서식. 최대 59cm, 무지 또는 갈색 반점. |
Rhinobatos schlegelii J. P. 뮐러 & 헨레, 1841 | 가래상어 | |
Rhinobatos thouiniana (Shaw, 1804) | 쇼우 삽코 가래상어 | |
Rhinobatos whitei 라스트, 코리건 & 네일러, 2014 | 필리핀 가래상어 | 필리핀 시장 발견 개체 기반 기재. 최대 72cm, 등면 흰 점 규칙적 배열.[18] |
2. 2. 멸종된 종
다음은 알려진 화석종이다.[7]종 | 학명 |
---|---|
†Rhinobatos bruxelliensis | Jaekel 1894 |
†Rhinobatos casieri | Herman 1975 |
†Rhinobatos grandis | Davis 1887 |
†Rhinobatos hakelensis | Capetta 1980 |
†Rhinobatos incertus | Cappetta 1973 |
†Rhinobatos intermedius | Davis 1887 |
†Rhinobatos latus | Davis 1887 |
†Rhinobatos maronita | Pictet and Humbert 1866 |
†Rhinobatos primarmatus | Woodward 1889 |
†Rhinobatos sahnii | Sahni and Mehrotra 1981 |
†Rhinobatos steurbauti | Cappetta and Nolf 1981 |
†Rhinobatos tenuirostris | Davis 1887 |
†Rhinobatos whitfieldi | Hay 1903 |
이 물고기는 티토니아절부터 현재까지(1억 5천만 년 전 ~ 현재) 살았다. 화석은 브라질, 유럽, 아프리카, 요르단,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그리고 미국에서 발견되었다.
과거에는 사카타자메과의 모든 종이 분류되었지만, 다계통임이 밝혀졌기 때문에[10], 많은 종이 Acroteriobatus|아크로테리오바투스la, 미나미사카타자메속, Pseudobatos|프세우도바토스la로 옮겨졌다.[11]
[1]
논문
Feeding mechanism of the Atlantic guitarfish ''Rhinobatos lentiginosus'': Modulation of kinematic and motor activity
https://digitalcommo[...]
''†Rhinobatos beurleni'' (Silva Santos 1968)는 자체 속인 Iansan으로 이동했다.[8]
3. 화석 기록
다음의 화석종이 알려져 있다.종 †Rhinobatos bruxelliensis Jaekel 1894 †Rhinobatos casieri Herman 1975 †Rhinobatos grandis Davis 1887 †Rhinobatos hakelensis Capetta 1980 †Rhinobatos incertus Cappetta 1973 †Rhinobatos intermedius Davis 1887 †Rhinobatos latus Davis 1887 †Rhinobatos maronita Pictet and Humbert 1866 †Rhinobatos primarmatus Woodward 1889 †Rhinobatos sahnii Sahni and Mehrotra 1981 †Rhinobatos steurbauti Cappetta and Nolf 1981 †Rhinobatos tenuirostris Davis 1887 †Rhinobatos whitfieldi Hay 1903
4. 계통 분류
참조
[2]
서적
Elasmobranch Phylogeny: A Mitochondrial Estimate Based on 595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3]
서적
Rays of the World
CSIRO
[4]
논문
"''Rhinobatos jimbaranensis'' and ''R. penggali'', two new shovelnose rays (Batoidea: Rhinobatidae) from eastern Indonesia."
https://www.research[...]
[5]
논문
"''Rhinobatos nudidorsalis'', a new species of shovelnose ray (Batoidea: Rhinobatidae) from the Mascarene Ridge, central Indian Ocean"
[6]
논문
"''Rhinobatos whitei'', a new shovelnose ray (Batoidea: Rhinobatidae) from the Philippine Archipelago"
https://www.research[...]
[7]
웹사이트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8]
논문
A NEW LOWER CRETACEOUS GUITARFISH (CHONDRICHTHYES, BATOIDEA) FROM THE SANTANA FORMATION, NORTHEASTERN BRAZIL
https://www.research[...]
2013-07-18
[9]
논문
Feeding mechanism of the Atlantic guitarfish ''Rhinobatos lentiginosus'': Modulation of kinematic and motor activity
https://digitalcommo[...]
[10]
서적
Elasmobranch Phylogeny: A Mitochondrial Estimate Based on 595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1]
서적
Rays of the World
CSIRO
[12]
논문
Rhinobatos austini n. sp., a new species of guitarfish (Rhinopristiformes: Rhinobatidae) from the Southwestern Indian Ocean
https://www.biotaxa.[...]
2017-07-12
[13]
논문
A new species of guitarfish, Rhinobatos borneensis sp. nov. with a redefinition of the family-level classification in the order Rhinopristiformes (Chondrichthyes: Batoidea)
http://biotaxa.org/Z[...]
2016-06-02
[14]
논문
Rhinobatos jimbaranensis and R. penggali, two new shovelnose rays (Batoidea: Rhinobatidae) from eastern Indonesia
2006-09
[15]
논문
Rhinobatos manai sp. nov., a new species of guitarfish (Rhinopristiformes: Rhinobatidae) from New Ireland, Papua New Guinea
2016-10
[16]
논문
Rhinobatos nudidorsalis, a new species of shovelnose ray (Batoidea: Rhinobatidae) from the Mascarene Ridge, central Indian Ocean
2004-05
[17]
논문
Description of Rhinobatos ranongensis sp. nov. (Rhinopristiformes: Rhinobatidae) from the Andaman Sea and Bay of Bengal with a review of its northern Indian Ocean congeners
2019-04-02
[18]
논문
Rhinobatos whitei, a new shovelnose ray (Batoidea: Rhinobatidae) from the Philippine Archipelago
2014-10-07
[19]
논문
Feeding mechanism of the Atlantic guitarfish ''Rhinobatos lentiginosus'': Modulation of kinematic and motor activ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