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르다리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르다리키는 12세기 아이슬란드 사가에 처음 등장하는 단어로, "가르다르의 왕국" 또는 "가르다르의 제국"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고대 노르드어 'garðr' (울타리, 요새)에서 유래된 'Garðar'와 'ríki' (왕국)의 합성어이다. 'Garðar'는 스칸디나비아인들이 동쪽, 특히 노브고로드 루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슬라브족 도시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가르다리키의 왕으로는 오딘, 시그를라미, 스바프를라미 등이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고대사 - 스키타이족
    스키타이족은 기원전 7세기부터 3세기까지 흑해 북쪽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기마 궁술과 유격전 전술, 흑해 지역 무역 장악 등으로 번성했으나 사르마티아인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그 문화적 영향은 유라시아 대초원과 그리스-로마, 동아시아 지역까지 미쳤다.
  • 러시아의 고대사 - 보스포로스 왕국
    보스포로스 왕국은 기원전 7세기부터 흑해 북부에서 그리스 식민 도시들을 기반으로 시작되어 곡물, 모피, 노예 등을 교역하며 번영하다가 3세기 이후 쇠퇴하여 4세기 중반에 멸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레닌그라드주의 역사 - 카렐리야
    카렐리야는 백해에서 핀란드만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분할과 병합을 거쳐 핀란드와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와 관련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레닌그라드주의 역사 - 상트페테르부르크현
    상트페테르부르크현은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으로 1710년 개명되었고, 페트로그라드 현과 레닌그라드 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27년 레닌그라드주 설립과 함께 폐지되었으며, 총독 등이 통치했다.
  • 루스인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루스인 - 트베리 대공국
    트베리 대공국은 1247년 시작되어 볼가 강 상류의 유리한 위치를 바탕으로 번성하며 모스크바와 경쟁했으나 킵차크 칸국의 영향력과 모스크바의 부상으로 쇠퇴, 1485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된 루스 공국이다.
가르다리키
개요
이름가르다리키 (Garðaríki)
다른 이름가르다 (Garðar)
홀름가르다리키 (Hólmgarðaríki)
가르다벨디 (Garðaveldi)
지리적 범위
위치러시아 북서부, 동유럽
중심 지역볼호프 강 유역, 라도가 호 - 일멘 호 축
역사
기원9세기, 노브고로드 지역의 동슬라브족 국가
주요 도시홀름가르드 (Hólmgarðr)
알데이가보르그 (Aldeigjuborg)
쾬우가르드 (Kœnugarðr)
팔테스크야 (Pallteskia)
스말레스키아 (Smaleskia)
수르달라르 (Súrdalar)
모라마르 (Móramar)
로스토파 (Rostofa)
시르네스
가다르
알라보르그
단파르스타디르
관련 사건바이킹의 동방 진출, 루스 차가나테 형성
문화
언어고대 노르드어
특징스칸디나비아인과 슬라브족의 교류, 무역 중심지
기타
별칭도시들의 나라 (the cities)

2. 어원

Garðaríkinon라는 단어는 12세기에 아이슬란드 사가에 처음 등장했으며, Garðarnon와 (제국, 영토, 왕국)와 같은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국가 형성 패턴인 ''X+ríki''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Garðanon는 Garðarnon의 속격 형태이다. 따라서 복합어 Garðaríkinon는 "가르다르의 왕국" 또는 "가르다르의 제국"으로 번역될 수 있다. Garðarnon 자체는 12세기까지 스칼드 시, 룬 비문, 초기 사가에서 노르드인에 의해 거주된 스칸디나비아 동쪽의 땅, 특히 노브고로드 루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Garðarnon는 울타리, 요새, 마당, 안뜰, 농장, 마을 집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의 복수 형태이다. 관련 고대 러시아어 단어 ''городъ'', 고대 교회 슬라브어 ''градъ'', 러시아어 ''город''는 "요새, 도시"를 의미하는 원시 슬라브어 에서 유래되었다. ''городъ''는 울타리, 요새, 야외 방어 시설, 정착지를 의미했다. 이러한 관련 단어들의 의미("울타리, 요새")가 중복되므로 과거에는 ''garðr''와 ''городъ''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Garðarnon를 스칸디나비아인들이 Lyubsha와 라도가에서 볼호프 강을 따라 다른 슬라브 영토로 이동하면서 만난 루스족의 도시들의 집합적 명칭으로 해석했다. 젊은 지명 Garðaríkinon는 "도시의 영토" 또는 "도시의 나라"를 의미할 수 있다.

R. Cleasby & G. Vigfússon에 따르면 Garðaríkinon의 어원

2. 1. 어원 상세

Garðaríkinon라는 단어는 12세기에 아이슬란드 사가에 처음 등장했으며, Garðarnon와 (제국, 영토, 왕국)와 같은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국가 형성 패턴인 ''X+ríki''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Garðanon는 Garðarnon의 속격 형태이다. 따라서 복합어 Garðaríkinon는 "가르다르의 왕국" 또는 "가르다르의 제국"으로 번역될 수 있다. Garðarnon 자체는 12세기까지 스칼드 시, 룬 비문, 초기 사가에서 노르드인에 의해 거주된 스칸디나비아 동쪽의 땅, 특히 노브고로드 루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Garðarnon는 울타리, 요새, 마당, 안뜰, 농장, 마을 집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의 복수 형태이다. 관련 고대 러시아어 단어 ''городъ'', 고대 교회 슬라브어 ''градъ'', 러시아어 ''город''는 "요새, 도시"를 의미하는 원시 슬라브어 에서 유래되었다. ''городъ''는 울타리, 요새, 야외 방어 시설, 정착지를 의미했다. 이러한 관련 단어들의 의미("울타리, 요새")가 중복되므로 과거에는 ''garðr''와 ''городъ''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Garðarnon를 스칸디나비아인들이 Lyubsha와 라도가에서 볼호프 강을 따라 다른 슬라브 영토로 이동하면서 만난 루스족의 도시들의 집합적 명칭으로 해석했다. 젊은 지명 Garðaríkinon는 "도시의 영토" 또는 "도시의 나라"를 의미할 수 있다.

2. 2. 가르다리키의 의미 변화

Garðaríkinon라는 단어는 12세기 아이슬란드 사가에 처음 등장했으며, Garðarnon(Garðarnon의 속격 형태)와 (제국, 영토, 왕국)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국가 형성 패턴인 ''X+ríki''를 따랐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Garðaríkinon는 "가르다르의 왕국" 또는 "가르다르의 제국"으로 번역될 수 있다.

Garðarnon는 12세기까지 스칼드 시, 룬 비문, 초기 사가에서 노르드인에 의해 거주된 스칸디나비아 동쪽의 땅, 특히 노브고로드 루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Garðarnon는 고대 노르드어 의 복수 형태이며, 울타리, 요새, 마당, 안뜰, 농장, 마을 집을 의미한다. 관련 고대 러시아어 단어 ''городъ'', 고대 교회 슬라브어 ''градъ'', 러시아어 ''город''는 "요새, 도시"를 의미하는 원시 슬라브어 에서 유래되었으며, 1) 울타리; 2) 요새; 3) 야외 방어 시설; 4) 정착지를 의미했다.

이러한 관련 단어들의 의미("울타리, 요새")가 중복되므로 과거에는 ''garðr''와 ''городъ''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일부 연구자들은 Garðarnon를 스칸디나비아인들이 Lyubsha와 라도가에서 볼호프 강을 따라 다른 슬라브 영토로 이동하면서 만난 루스족의 도시들의 집합적 명칭으로 해석했다. 젊은 지명 Garðaríkinon는 "도시의 영토" 또는 "도시의 나라"를 의미할 수 있다.

3. 가르다리키의 왕 목록

오딘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 언급되는 가르다리키의 왕이다. 시그를라미와 스바프를라미 역시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 등장한다. 롤라우그(Rollaugr)도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서 찾을 수 있다. 라드바르드는 왕사 사가 파편에서 언급된다. 흐레그비드(Hreggviðr)는 공구흐롤프의 사가에 등장한다. 할프단 브로누포스트리(Hálfdan Brönufostri)는 강력한 소를리의 사가에서 찾을 수 있다. 비사발드(Vissavald)는 올라프 트뤼그바손의 사가에 등장하는 왕이다.

4. 같이 보기

5. 참고 문헌

wikitext


  • (소설). 2권, 베를린 1943. 재판 .
  • 야콥손, 스베르리, ''바랑인: 신의 성스러운 불꽃'' (Palgrave Macmillan, 2020), 978-3-030-53796-8

참조

[1] 논문 ロシア中世都市をめぐる若干の問題点―キエフ・ルーシにおける都市の発生とその史的展開について― https://cir.nii.ac.j[...]
[2] 서적 Þáttr Eymundar ok Ólafs konúngs https://books.google[...] P. T. Mallings
[3] 서적 Gaungu-Hrólf Saga https://books.google[...] Popp
[4] 서적 Skandinaviska Fornålderns Hjeltesagor https://litteraturba[...] Zacharias Haeggström
[5] 서적 Викинги и славяне : Ученые, политики, дипломаты о рус.-скандинав. отношениях Дмитрий Буланин
[6] 웹사이트 Austr í Görđum : Древнерусские топонимы в древнескандинавских источниках http://www.ulfdalir.[...] Языки славянских культур
[7] 웹사이트 Sagas of the Icelanders http://us.penguingro[...] 2009-09-16
[8] 서적 The Origin of Rus': Old Scandinavian Sources Other than the Saga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