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숭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숭어는 북서 태평양을 자연 서식지로 하며, 한국, 일본, 중국, 연해주, 아무르강 등지에 분포하는 어류이다. 몸길이는 최대 100cm까지 자라며, 등 쪽은 청색, 배 쪽은 은백색을 띤다. 윗입술이 아래로 굽어 입을 다물면 노출되는 특징이 있으며, 10월에 산란한다. 아조프해와 흑해에서 양식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69종의 기생충이 발견된다. 코보라, 줄보라 등이 근연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숭어목 - 숭어과
    숭어과는 숭어목에 속하는 어류 과로, 전 세계에 17속 72종이 분포하며, 지느러미 가시의 존재로 극기상목에 속하는 원시적인 무리로 여겨지지만 분류학적 이견이 있고, 식용으로 이용되는 숭어, 메나다, 세스지보라 등이 한국에 서식한다.
  • 숭어목 - 등줄숭어
    등줄숭어는 서부 인도양, 홍해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최대 30cm까지 성장하는 물고기로,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로 이주했으며, 숭어 어획 시 부수 어획물로 잡히고 구워 먹거나 소금에 절여 가공하며, 다양한 기생충이 발견되고, 과거에는 Mugil carinatus로 명명되었으나 Planiliza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 헤르만 슐레겔이 명명한 분류군 - 도마뱀붙이
    도마뱀붙이는 발가락 밑판으로 수직면을 이동하는 몸길이 10~14cm의 야행성 파충류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고, 곤충을 먹으며 민가 주변에 서식하고, 길조 또는 불쾌한 생물로 여겨지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헤르만 슐레겔이 명명한 분류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가숭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나다
메나다 Liza haematocheilus
학명Liza haematocheilus
학명 명명(Temminck & Schlegel, 1845)
한국어 이름메나다
영어 이름Haarder
Redlip mullet
다른 이름가숭어
학명 이명Mugil haematocheilus Temminck & Schlegel, 1845
Mugil haematochilus Temminck & Schlegel, 1845
Chelon haematocheilus (Temminck & Schlegel, 1845)
Liza haematocheilus(Temminck & Schlegel, 1845)
Liza haematocheila (Temminck & Schlegel, 1845)
Liza haematochila (Temminck & Schlegel, 1845)
Liza menada Tanaka, 1916
Liza borealis Popov, 1930
Liza joyneri borealis Popov, 1930
Liza menada borealis Popov, 1930
Liza so-iuy (Basilewsky, 1855)
Mugil so-iuy Basilewsky, 1855
Mugil soiuy Basilewsky, 1855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숭어목 Mugiliformes
숭어과 Mugilidae
메나다속 Liza
어류 정보
서식지불분명

2. 분포 및 서식지

가숭어는 북서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북쪽으로는 일본홋카이도아무르강 유역부터 남쪽으로는 한국, 중국 해안을 따라 베트남까지 넓게 서식한다.[4] 주로 해양, 연안 및 강 하구에 걸쳐 발견된다. 또한, 양식 목적으로 인간에 의해 아조프해[5]흑해[1] 등 다른 지역에도 도입되었다.[6]

2. 1. 자연 분포 지역

가숭어는 북서 태평양 지역이 원산지이다. 북쪽으로는 일본홋카이도아무르강 유역부터, 남쪽으로는 중국 해안을 따라 베트남까지 분포한다.[4] 구체적으로는 한국, 일본(규슈 이북), 중국, 한반도, 연해주, 아무르강 유역 등지에 걸쳐 서식하며, 이들 지역의 해양, 연안 및 강에 고루 분포한다.

2. 2. 도입된 지역

가숭어는 인간에 의해 양식 목적으로 아조프해[5]흑해[1]에 도입되었다. 이후 1998년에 처음 기록된 마르마라해를 거쳐 북부 에게해로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6]

3. 특징

체장은 100cm로 대형 어종에 속한다. 등쪽은 청색을 띠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비슷한 종과의 차이점으로는 윗입술이 아래로 휘어져 있어 입을 다물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점, 그리고 지안이라고 불리는 콘택트렌즈 모양의 기관이 발달하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8]

산란기는 10월이다.[8]

3. 1. 생태

한국, 일본, 중국 등의 해양, 연안 및 강에 고루 분포한다. 강 바닥의 식물성 플랑크톤을 섭식하며 미역송사리 또한 주 먹이이다.

4. 기생충

가숭어의 기생충은 69종으로 알려져 있다.[7]

5. 근연종


  • 코보라 (''Liza macrolepis'')
  • 줄보라 (''Liza affinis'')

참조

[1] FishBase
[2] 논문 "''Liza haemаtochila'' (Temmnick & Schlegel, 1845) - is the correct Latin name for the mullet ''Mugil soiuy'' Basilewsky, 1855 (Pisces: Mugilidae)" http://repository.ib[...]
[3] Cof record "''Mugil haematocheilus''" 2018-11-04
[4] 웹사이트 Planiliza haematocheilus, So-iuy mullet : fisheries https://www.fishbase[...] 2022-07-14
[5] 논문 A New Grey Mullet Species "Mugil so-iuy Basilewsky" (Teleostei: Mugilidae) From the Aegean Coast of Turkey
[6] 서적 Atlas of Exotic Fishes in the Mediterranean Sea (''Planiliza haematocheilus''). 2nd Edition. https://ciesm.org/at[...] CIESM Publishers, Paris, Monaco 2021
[7] 간행물 "A checklist of macroparasites of ''Liza haematocheila'' (Temminck & Schlegel) (Teleostei: Mugilidae)"
[8] 서적 新訂 原色魚類大圖鑑 圖鑑編 北隆館 2005-12-15
[9] FishBase
[10] 저널 인용 "''Liza haemаtochila'' (Temmnick & Schlegel, 1845) - is the correct Latin name for the mullet ''Mugil soiuy'' Basilewsky, 1855 (Pisces: Mugilidae)" http://repository.ib[...] 2020-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