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기원전 76년에 태어난 로마의 정치가이자 웅변가였다. 그는 폼페이우스, 카이사르 등과 교류하며 방탕한 생활을 했지만, 키케로의 지지를 받았다. 기원전 50년 호민관으로 선출된 후 카이사르를 지지하며 내전 위기를 해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카이사르와 함께 라벤나로 도망쳤다. 이후 카이사르를 따라 시칠리아와 아프리카에서 군사 활동을 벌였으며, 기원전 49년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그는 풀비아와 결혼하여 아들을 두었으며,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로마 최초의 영구적인 원형 경기장을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크리보니우스 씨족 - 리보 루필리우스 프루기
리보 루필리우스 프루기는 64년에 태어나 88년에 보좌 집정관을 지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조모의 아버지이자 트라야누스 황제의 조카와 결혼했다. - 고대 로마의 수사학자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수사학자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1세기 사망 - 루크레티우스
루크레티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시인이자 철학자로, 대표작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통해 에피쿠로스 철학, 특히 원자론과 유물론적 세계관을 로마 사회에 소개하고 자연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시하여 인간을 죽음의 공포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했다. - 기원전 1세기 사망 -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연인이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어머니로, 혼란한 정치 상황 속에서 가문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자녀의 미래를 위해 활동한 귀족 여성이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
로마자 표기 | Gaius Seukeuriboniuseu Kurio |
배우자 | 풀비아 |
아버지 |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
어머니 | 멤미아 |
자녀 |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
출생 | 기원전 84년경 |
사망 | 기원전 49년 8월 24일 (34/35세) |
사망 장소 | 메제르다 강, 아프리카 |
경력 | |
정무 경력 | 재무관 (기원전 54년) 호민관 (기원전 50년, 보결) 법무관 (기원전 49년) |
군사 경력 | |
소속 | 로마 공화국, 카이사르파 (기원전 49년부터) |
지휘 | 프로 퀘스토르 (아시아, 기원전 52년경) 레가투스 (이탈리아, 기원전 49년) 법무관 대리 (시칠리아 및 아프리카, 기원전 49년) |
2. 생애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기원전 90년 호민관을 지냈고 술라와 함께 그리스에서 복무하였다. 기원전 76년에 집정관이 되었고 키케로의 친구로서 카틸리나의 음모에서 키케로를 지원하였다. 나중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정적이 되었고 기원전 53년에 죽었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기원전 90년 - 기원전 49년)는 기원전 76년에 집정관을 지낸 동명의 아버지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의 아들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폼페이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키케로 등 당대 로마의 유력자들과 친구였으며, 사람들을 선동하는데 탁월한 열변가였다. 기원전 52년 가이우스 그라쿠스의 손녀인 풀비아와 결혼했다.
기원전 50년 호민관이 되어 카이사르를 옹호하며 원로원이 카이사르를 실각시키려는 시도에 맞섰다. 쿠리오는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 사이의 중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카이사르가 루비콘강을 건너자 로마를 탈출하여 카이사르와 합류했다. 내전 기간 동안 카이사르 편에서 싸웠으며, 기원전 49년 법무관이 되었다.
그해 북아프리카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하는 누미디아의 군대와 싸우다 전사하였다.
2. 1. 초기 생애
기원전 76년에 집정관을 지낸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의 아들로 태어났다.[1]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친밀한 우정을 나누었는데, 이들의 정치적 적들은 이 관계를 부도덕하거나 불륜이라고 비난했다.[2] 키케로에 따르면, 쿠리오는 안토니우스를 매춘에서 구하고 빚을 갚아주었으며, 이후 두 젊은이는 쿠리오의 아버지에 의해 만남이 금지되었지만, 쿠리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아버지의 지붕을 통해 몰래 데려왔다고 한다.[2] 이러한 비난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비방하는 연설에서 나온 것이므로,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3] 키케로는 저작과 티투스 폼포니우스 아티쿠스에게 보낸 서신에서 쿠리오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2. 2. 정치 활동
쿠리오는 아버지와 함께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를 지지했다. 초기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제1차 삼두 정치에 반대했으나, 이후 카이사르의 지지자가 되었다.[4] 기원전 54년 아시아 속주에서 퀘스토르로 복무했다.[4] 기원전 52년 풀비아와 결혼했다.[5]기원전 50년 호민관이 되었을 때, 쿠리오는 카이사르를 옹호하며 원로원이 카이사르를 실각시키려는 시도에 맞섰다. 그는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 사이의 중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카이사르가 루비콘강을 건너자 로마를 탈출하여 카이사르와 합류했다. 카이사르의 내전 기간 동안 카이사르 편에서 싸웠으며, 기원전 49년 법무관이 되었다. 같은 해 북아프리카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누미디아 군대와 싸우다 전사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쿠리오는 거액의 빚(총 6,000만 세스테르티우스)을 지고 있었는데, 카이사르가 이를 대신 갚아주면서 카이사르를 지지하게 되었다고 한다.
2. 3. 호민관 활동
기원전 50년 호민관으로 선출된 쿠리오는, 이전의 반 카이사르적 입장과 달리 카이사르를 지지했다. 타키투스는 쿠리오가 짊어진 거액의 빚(총 )을 카이사르가 대신 갚아주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쿠리오는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모두 군대를 해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양측의 갈등을 중재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폼페이우스와 원로원의 반발을 샀다. 결국 원로원이 카이사르에게 "원로원 최종 권고"를 가결하자, 쿠리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등과 함께 카이사르가 있던 라벤나로 도망쳐 합류했다.
2. 4. 카이사르 내전
기원전 49년 프라에토르(법무관)로 임명되어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위해 싸웠다. 카이사르가 루비콘강을 건너 이탈리아 본토를 침공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고, 쿠리오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카이사르의 추가 병력 모집 작전을 담당했다. 카이사르가 코르피니움에 도착했을 때, 쿠리오는 포위전에 투입하기 위해 22개 코호트의 신병을 데려왔다.[1]폼페이우스가 상원의 약 3분의 1과 함께 그리스로 도주한 후, 쿠리오는 시칠리아와 아프리카를 점령하기 위해 3개 군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기원전 49년 4월 24일 시칠리아에 도착하여, 카토를 무혈로 이 지역에서 몰아냈다.[2] 쿠리오의 시칠리아에서의 성공은 곡물 공급과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여 카이사르가 로마를 먹여 살리고 지중해 중부 지역을 장악할 수 있게 해주었다.[2]

기원전 49년 8월, 릴리바에움에서 출항하여 아프리카 본 곶 근처 안퀼라리아에 상륙했다.[3] 그곳에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한 푸블리우스 아티우스 바루스와 누미디아 왕 유바 1세와 맞닥뜨렸다.[3] 우티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유바의 장군 사부라에게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신의 진영으로 도망치려 하기보다는 군대와 함께 죽음을 맞이했다.[4]
3. 결혼과 가족
쿠리오는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의 미망인이자 가이우스 그라쿠스의 손녀인 풀비아와 결혼하여, 의붓딸 클라우디아, 의붓아들 푸블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그리고 자신의 이름을 딴 아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를 얻었다.[5]
아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지지했기 때문에 악티움 해전 이후 옥타비아누스에게 처형되었다.[9]
4. 유산
쿠리오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로마 최초의 영구적인 원형 경기장을 건설했으며, 회전축 위에 지어져 전체 관중석을 움직일 수 있는 좌석을 갖춘 경기장에서 장례 경기를 거행했다.[10]
참조
[1]
논문
Curio Pater and Cicero
https://www.jstor.or[...]
1972
[2]
서적
Rubicon
[3]
간행물
§ 45: Desire and Domesticity: Antony's Escapades as Curio's Toy-Boy
https://www.jstor.or[...]
Open Book Publishers
2018
[4]
문서
[5]
논문
The Early Career of Fulvia
https://www.jstor.or[...]
1965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wikisource
Scribonius 7
Butcher
[10]
서적
Rubic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