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이저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저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잉커우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전국 시대 연나라가 요동군을 설치한 이래로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고구려 시대에는 건안성이 축조되기도 했다. 금나라 때 가이저우로 개칭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가이저우위가 설치되었다. 1992년 현급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6개의 가도, 18개의 진, 3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는 온대 계절풍 기후로, 1월 평균 최저 기온은 -12.2℃, 7월 평균 최고 기온은 29.6℃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커우시의 행정 구역 - 라오볜구
    라오볜구는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위치한 역사적인 전략 요충지이자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교육, 경제, 문화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지역으로, 중국 공산당 지도 아래 경제 개발과 사회 안정에 중점을 두고 북한과 인접하여 한국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잉커우시의 행정 구역 - 바위취안구
    바위취안구에 대한 정보가 현재 제공되지 않아 정의, 역사, 행정 구역, 지리적 정보, 환경 및 관광 정보 등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랴오닝성의 현급시 - 신민시
    신민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속한 현급시로, 1682년 거류하순검 설치를 기원으로 하며, 1993년 현에서 현급시로 개편되었고, 고속도로와 국도가 지나며, 대한민국 김포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랴오닝성의 현급시 - 와팡뎬시
    와팡뎬시는 랴오닝성 다롄시에 있는 현급시로, 요나라 시대 복주에서 시작되어 여러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쳤으며, 랴오둥반도 중서부에 위치하여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고, 베어링 산업이 발달해 "중국의 베어링 수도"라고 불리며, 일본 및 중국 여러 도시와 교류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가이저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이름盖州市 (간체자), 蓋州市 (정체자)
로마자 표기Gàizhōu Shì
이전 이름Kaichow
Kaihsien (1965–1992)
Kaiping (1965년 이전)
지리
위치잉커우 시
면적2930.0 km²
도시 면적150.00 km²
해발고도9.1 m (30 ft)
인구
총 인구 (2020년)559,271명
도시 인구228,059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구역
소속 국가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지급 행정구역잉커우 시
행정 구역 코드210881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기타 정보
우편 번호115200
전화 지역 번호0417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가이저우 역 플랫폼과 역 이름판
가이저우 역 플랫폼과 역 이름판

2. 연혁

전국 시대 연이 요하 유역을 개척하여 현재의 가이저우 시 일대에 요동군을 설치했다. 진 통일 후에도 요동군에 속했다. 한나라, 위, 진 시대에는 평곽현(현재의 바위어취안 구 슝웨청)을 설치해 요동군을 관할했다.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연, 전진, 후연을 거쳐 평주에 속했다. 407년 북연 건국 후 고구려에 점령되어 건안현이 설치되었고, 건안성(현재 칭스링의 고려성)이 축성되었다.

시대인 668년(총장 원년) 건안성에 건안주도독부를 설치했고, 시대에는 진주가 되었다. 시대에 진주는 '''가이저우'''로 개칭되었고, 시대에는 '''가이저우로'''가 설치되었다. 시대인 1371년(홍무 4년) 주에서 위로 개정되어 '''가이저우위'''가 설치되었으며, 진저우위, 푸저우위, 하이저우위와 함께 산둥안찰사 랴오하이둥닝도에 속했다. 이듬해 현재 시정부 부근에 새로운 시가지가 건설되었다. 시대인 1664년(강희 3년) 가이저우위가 폐지되고 '''가이핑 현'''(taifin i elbeku hiyan)이 설치되어 펑톈부의 관할이 되었다.

1912년 중화민국 성립 후 가이핑 현은 펑톈 성의 관할이 되었고, 만주국 시대까지 이어졌다. 1945년 만주국 붕괴 후 가이핑 현 인민정부가 설치되어 랴오난 행정공서의 관할이 되었다. 1946년 겨울부터 1947년 봄까지 중국 국민당에 점령되었다가, 1947년 6월 인민 해방군이 가이저우를 탈환했다. 1948년 랴오둥 성으로 이관되었고, 후에 잉커우 시의 시할현이 되었다. 1965년 '''가이 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92년 현급시인 '''가이저우 시'''가 되었다.

2. 1. 고대 ~ 발해 이전

전국 시대 연나라는 요하 유역을 개척하여 현재의 가이저우시를 포함하는 요동군을 설치했다. 진나라가 통일한 후에도 여전히 요동군에 속했다. 한나라요동군에 평곽현을 설치했는데, 그 현성은 지금의 가이저우 시 도성위에 존재했다. 광개토대왕이 요동을 점령한 뒤 고구려의 땅이 되었다가 고구려가 요동땅을 개척하면서 폐허가 된 평곽현 근교 청석령향(靑石嶺鄕) 고려성자촌의 동쪽 석성산(石城山)에 건안성을 축조했다.[1]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연, 전진, 후연으로 나라가 바뀌어 평주에 속했다. 407년, 북연 건국 후 고구려에 점령되어 건안현이 설치되었고, 건안성(현재 칭스링의 고려성)이 축성되었다.[1]

고구려-당 전쟁 초기 당나라의 장수 장량이 비사성을 격파하고 본성을 공격했으나 안시성과 함께 당군을 격퇴했던 것으로 보아 요동성을 필두로 한 요동방어선의 주요 거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가 멸망한 뒤 당나라가 세운 괴뢰국인 소고구려는 본현의 건안성에 수도를 두었다.[1]

2. 2. 요, 금, 원

요나라발해를 멸망시킨 건안성에 건안현(建安縣)을 두고 개모성의 원주민들을 본현으로 이주시켜 '''진주(辰州)'''를 설치했다. 초기에는 군명을 장평군(長平軍)이라 했으나 후에 봉국군(奉國軍)으로 개명되었고 본주는 동경유수사에 예속되었다. 인구는 2,000호였다.

금나라는 1193년(금 장종 명창 4년) 갈소관을 혁파하고 진주에 '''진주요해군절도사(辰州遼海軍節度使)'''를 두었다. 2년 뒤 1195년(금 장종 명창 6년) 개모성에서 이름을 따와 개주로 이름을 바꾸고 주급은 하급(下)으로 설정한 다음 봉국군절도사(奉國軍節度使)를 파견했다. 18,456호의 주민들이 살았고 인근의 철주와 노주를 통폐합하여 4현 2진을 두었다. 속현/속진은 다음과 같다.[6]

현명/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탕지현湯池縣잉커우 시 다스차오 시 탕지진(湯池镇)철주를 현으로 격하했다. 신향진(神鄕鎭)을 두었다.
건안현建安縣잉커우 시 가이저우 시대녕진(大寧鎭)이 있다.
수암현秀岩縣1193년 대녕진에서 분리신설했다. 1204년(태화 4년) 다시 대녕진에 통폐합시켰다가 1216년(정우 4년)에 복구시켰다.
웅악현熊岳縣잉커우 시 바위취안구 웅악진요나라의 노주를 현으로 격하했다.



원나라에서는 1269년(쿠빌라이 칸 지원 6년) 개주로에서 동경의 군으로 격하되었고 웅악현과 탕지현이 건안현에 통폐합되었다. 1271년(쿠빌라이 칸 지원 8년), 건안현을 개주의 속현으로 삼았고 결과적으로 요양로의 속주가 되었다.

2. 3. 명, 청

1371년(명 태조 홍무 4년) 개주가 폐지되었으나 1372년(명 태조 홍무 5년) 6월 주가 복구되었다. 1376년 10월 위가 설치되면서 요동도사의 위 중 하나가 되었다. 1385년 4월, 주가 다시 폐지되었다.[7]

1621년(천명제 천명 6년) 3월 개주를 폐지했다. 1664년(강희제 강희 3년) 6월 긴급의 개평현(蓋平縣)을 설치했고 봉천성 봉천부의 속현이 되었다.[7]

2. 4. 현대

1912년 중화민국 성립 후 가이핑 현은 펑톈 성의 관할이 되었고, 이는 만주국 시대까지 이어졌다.[1] 1945년 만주국 붕괴 후 가이핑 현 인민정부가 설치되어 랴오난 행정공서의 관할이 되었다.[1] 1946년 겨울부터 1947년 봄까지 중국 국민당에 점령되었다가, 1947년 6월 인민 해방군이 가이저우를 탈환했다.[1] 1948년 10월 랴오둥 성으로 이관되었고, 후에 잉커우 시의 시할현이 되었다. 1965년 '''가이 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92년 현급시인 '''가이저우 시'''가 되었다.[1]

3. 행정 구역

가이저우 시는 6개의 가도, 18개의 진, 3개의 을 관할한다.[3] 2004년 1월 8일, 웅악진, 노둔진, 홍기만족진은 잉커우 시 바위어취안 구로 편입되었다.

3. 1. 가도

가이저우 시는 6개의 가도를 관할한다.[3]

  • 구러 가도 (鼓楼街道|구러 가도중국어)
  • 시청 가도 (西城街道|시청 가도중국어)
  • 둥청 가도 ()
  • 타이양성 가도 (太阳升街道|타이양성 가도중국어)
  • 퇀산 가도 (团山街道|퇀산 가도중국어)
  • 시하이 가도 (西海街道|시하이 가도중국어)

3. 2. 진

이름한자
가오툰 진
사강 진
지우룽디 진
지우자이 진
완푸 진
워룽취안 진
칭스링 진
누안취안 진
구이저우 진
방스바오 진
퇀뎬 진
솽타이 진
양윈 진
쉬툰 진
스즈제 진
광둥거우 진
천툰 진
량툰 진

[3]

3. 3. 향

샤오스펑 향 (), 궈위안 향 (), 얼타이 향 ()[3]

4. 기후

가이저우 시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71.17.816.823.127.229.128.824.617.27.60.3
평균 최저 기온 (°C)-12.5-8.5-1.86.412.817.921.420.514.36.7-2.1-9.1
최고 기온 기록 (°C)9.919.022.729.834.736.636.836.133.327.721.516.2
최저 기온 기록 (°C)-28.2-22.0-13.3-7.12.58.114.99.52.9-6.4-16.5-23.2
평균 강수량 (mm)4.56.513.431.750.970.8142.9155.054.534.715.47.8
평균 상대 습도 (%)585452505566777870646059

[8]

가이저우 시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51.68.517.023.527.329.629.124.917.47.90.3
평균 최저 기온 (°C)-12.2-8.2-1.46.513.018.121.820.814.56.7-1.9-9.2
최고 기온 기록 (°C)9.919.022.729.834.736.636.836.133.327.721.516.2
최저 기온 기록 (°C)-28.2-22.0-13.3-7.12.58.114.99.52.9-6.4-16.5-23.2
평균 강수량 (mm)3.87.311.433.354.972.3141.2165.250.435.520.68.9
평균 상대 습도 (%)575350495465757769636059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2.62.83.76.07.59.011.110.06.46.34.93.5
평균 일조 시간189.0190.6229.9236.1266.4230.2202.8212.6228.1212.6171.4170.8
평균 일조율 (%)636362596051455162625859
평균 적설일수4.03.52.80.6000000.23.14.2

[4][5]

가이저우 시의 기후는 두 개의 표로 제시되어 있다. 첫 번째 표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및 극값 데이터를, 두 번째 표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과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극값 데이터를 보여준다. 두 표 모두 월별 평균 최고/최저 기온, 최고/최저 기온 기록, 평균 강수량, 평균 상대 습도 등을 포함한다. 두 번째 표는 추가적으로 평균 강수일수, 평균 일조 시간, 평균 일조율, 평균 적설일수 정보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China: Liáoní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3] 웹사이트 营口市-行政区划网 http://www.xzqh.org/[...]
[4]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29
[5]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29
[6] 문서 《금사》 권24 지리지 1 동경로 개주 https://zh.wikisourc[...]
[7] 문서 장정옥저, <명사> 제41권 지리지2 요동도사 개주위 https://zh.wikisourc[...]
[8]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