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섭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섭주의는 외세가 다른 국가의 정권 교체에 개입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연구에 따르면,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는 내전 가능성, 지도자의 폭력적 제거 가능성, 개입 국가와 적대국 간의 분쟁 가능성을 줄이지 못하며, 민주주의 제도적 변화 없이 이루어질 경우 민주화 가능성을 높이지 못한다. 외세에 의해 임명된 지도자는 국내외의 상반된 요구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가 전쟁 후 평화를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내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한다.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는 독립 이후 주변 국가의 내정에 개입하려는 의지를 보여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입 - 인도주의적 개입
    인도주의적 개입은 자국민을 보호하지 못하는 국가에 대해 국제사회가 개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력 사용 금지 원칙과 내정 불간섭 원칙 사이의 갈등, 그리고 보호책임 원칙과 같은 다양한 논의를 거쳐 왔으나 식민주의적 성격, 강대국의 목표 추구 등의 이유로 비판받기도 한다.
  • 개입 - 시베리아 출병
    시베리아 출병은 제1차 세계 대전 말 러시아 혁명으로 혼란한 시베리아에 연합군이 개입한 사건으로, 특히 일본이 공산주의 확산 방지, 지정학적 이익, 이권 탈취 등의 동기로 대규모 병력을 파병하여 붉은 군대와 싸웠으나, 저항과 민심 이반으로 실패하고 철수하여 일본에 큰 손실과 정치적 분열을 야기했다.
  • 군사 - 테르시오
    테르시오는 16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군대의 핵심 보병 부대로, 파이크병, 총병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군사 개혁으로 인해 1704년 연대와 대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 군사 - 군대
    군대는 국가가 국방, 안보, 정책 수행을 위해 유지하는 정규 무장 조직으로, 육해공군을 기본으로 해병대, 특수부대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전쟁 외 인도적 지원, 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징병제나 모병제로 인원을 충원하여 군사 훈련, 무기 개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문민통제 원칙하에 운영된다.
  • 역사 - 뉴질랜드 왕국
    뉴질랜드 왕국은 뉴질랜드, 쿡 제도, 니우에, 토켈라우, 로스 속령으로 구성되며, 찰스 3세를 국가 원수로 하고 각 지역은 자체적인 정치 체제를 운영한다.
  • 역사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간섭주의
구글 지도
기본 정보
정의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내정에 개입하는 행위
관련 개념외교 정책
군사 개입
제국주의
고립주의
비개입주의
역사적 맥락
초기 형태고대부터 존재, 초기 형태는 주로 영토 확장 및 세력 균형 유지
19세기 유럽강대국들이 다른 국가의 내정에 적극적으로 간섭, "유럽 협조"와 같은 기구 통해 정당화 시도
냉전 시대미국과 소련이 자신들의 이념적, 정치적 영향력 확대 위해 개입
탈냉전 시대인도적 개입이라는 명분하에 이루어짐, 논란 지속
미국미국은 건국 초기부터 자국 이익 보호를 명분으로 여러 차례 개입, 특히 20세기 이후 활발
유형
군사적 개입무력 사용
군사 지원
군사 훈련 파견
정치적 개입선거 개입
정권 교체 시도
경제 제재
경제적 개입차관 제공
투자 조건 변경
무역 제재
인도주의적 개입대량 학살 방지
재난 구호
인권 보호
정당성 논란
윤리적 문제주권 침해, 자결권 부정, 인권 침해 가능성 내포
국제법적 문제국제법상 내정 불간섭 원칙과 충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필요
실용적 문제의도치 않은 결과 초래, 상황 악화, 지역 불안정 심화 가능성
개입의 효과
성공 사례극히 드물고 논쟁의 여지 많음
실패 사례다수 존재, 많은 경우 상황 악화 및 장기적인 불안정 초래
장기적인 결과개입 대상 국가에 대한 의존성 심화, 정치적 불안정, 사회적 분열 초래
주요 개입 사례
미국의 개입쿠바
베트남 전쟁
칠레
이라크 전쟁
러시아/소련의 개입헝가리 혁명
아프가니스탄 전쟁
기타 국가의 개입인도의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프랑스의 아프리카 개입
비판적 관점
신제국주의일부 학자들은 간섭주의를 신제국주의의 한 형태로 봄
이익 추구간섭주의는 종종 개입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됨
문화적 상대주의개입은 서구적 가치관을 강요하는 행위로 비판받기도 함
간섭주의 반대론
고립주의국가 간 상호 불간섭 강조
비개입주의어떤 국가에도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입장
국제 협력간섭 대신 국제 협력과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 강조

2.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

알렉산더 다운스, 린제이 오루크, 조나단 몬텐의 연구에 따르면,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는 해당 국가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1. 부작용

알렉산더 다운스, 린제이 오루크, 조나단 몬텐의 연구에 따르면,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외세에 의해 임명된 지도자는 국내외의 상반된 요구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게 된다.[6]

다운스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6]

> 적대적이거나 불복종적인 정권을 강제로 축출하려는 전략적 충동은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간과한다. 첫째, 외국 정부를 전복하는 행위는 때때로 군대가 해체되어 수천 명의 무장한 사람들이 시골로 들어가 개입자에 맞서 반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둘째, 외부에서 부과된 지도자들은 외부의 대중뿐만 아니라 국내의 대중도 상대해야 하며, 두 집단은 일반적으로 다른 것을 원한다. 이러한 상반된 선호도는 부과된 지도자들을 곤경에 빠뜨린다. 한쪽을 기쁘게 하는 조치를 취하면 다른 쪽을 반드시 소외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권 교체는 외부 후원자와 국내 피후원자 또는 피후원자와 그들의 국민 사이에 쐐기를 박는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는 내전 가능성, 새로 임명된 지도자의 폭력적인 제거 가능성,[6] 개입 국가와 적대국 간의 분쟁 가능성[11]을 거의 줄이지 못하며, 민주주의에 유리한 조건이 갖춰진 국가에서 제도적 변화와 함께 이루어지지 않는 한 민주화 가능성을 높이지 못한다.[12]

하지만, 나이젤 로, 배리 하시모토, 댄 라이터의 연구는 전쟁 후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로 전쟁이 끝날 때 “전쟁 후 평화가 더 오래 지속된다”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기도 한다.[13] 그러나 라이터와 고란 페익의 연구는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가 내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4]

2. 2. 상반된 연구 결과

나이젤 로, 배리 하시모토, 댄 라이터의 연구는 전쟁 후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 "전쟁 후 평화가 더 오래 지속된다"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준다.[13] 그러나 댄 라이터와 고란 페익의 연구는 외세에 의한 정권 교체가 내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14]

3. 아프리카에서의 정권 교체

아프리카 국가들 중 나이지리아는 독립 이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내정에 개입하려는 경향을 보여왔다.[15]

3. 1. 나이지리아의 사례

야쿠부 고원의 실각은 나이지리아의 자원을 그레나다와 가이아나와 같이 먼 나라에 낭비하면서 나이지리아에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전혀 얻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15] 이후 나이지리아 군사 정부는 점점 상호 의존적인 세계에서 어떤 나라도 고립될 수 없다는 철학을 내세웠다.[15]

참조

[1] 논문 The Doctrine and Practice of Intervention in Europe https://www.jstor.or[...] 1900-01-01
[2] 웹사이트 Interventionism https://www.merriam-[...] 2022-03-01
[3] 서적 The Purpose of Intervention: Changing Beliefs about the Use of Forc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4-01-01
[4] 서적 U.S. Intervention in British Guiana: A Cold War Sto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5] 서적 The True Flag: Theodore Roosevelt, Mark Twain, and the Birth of American Empire Henry Holt and Company
[6] 서적 Catastrophic Success: Why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Goes Wrong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1-01
[7] 논문 When the Great Power Gets a Vote: The Effects of Great Power Electoral Interventions on Election Results 2016-06-01
[8] 뉴스 The U.S. is no stranger to interfering in the elections of other countries https://www.latimes.[...] 2022-11-02
[9] 논문 Whose Brother's Keeper? International Trusteeship and the Search for Peace in the Palestinian Territories https://academic.oup[...] 2012-11-01
[10] 논문 Persistent failure? International interventions since World War II https://www.scienced[...] 2021-01-01
[11] 논문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Why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Seldom Improves Interstate Relations https://direct.mit.e[...] 2016-01-01
[12] 논문 Forced to Be Free? Why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Rarely Leads to Democratization https://www.jstor.or[...] 2013-01-01
[13] 논문 Ensuring Peace: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and Postwar Peace Duration, 1914–2001 https://www.cambridg[...] 2008-01-01
[14] 논문 Foreign-Imposed Regime Change, State Power and Civil War Onset, 1920–2004 https://www.cambridg[...] 2011-01-01
[15] 웹사이트 Interventionism https://litcaf.com/i[...] 2022-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