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비가로막오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비가로막오목은 가로막과 갈비뼈가 만나는 위치로, 들숨 시 폐가 확장되어 팽창하지만 완전히 채워지지는 않는다. 날숨 시에는 장액 외에는 아무것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흉수와 같은 액체는 중력에 의해 갈비가로막오목에 모여 단순 X선 촬영에서 갈비가로막각을 둔각으로 보이게 하며, 가슴막 삼출의 징후가 될 수 있다. 흉강 천자는 폐에 구멍을 낼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환자가 완전히 숨을 내쉰 상태에서 시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슴막 - 가슴막안
    가슴막안은 폐의 원활한 호흡 운동을 돕는 공간으로, 내장가슴막과 벽가슴막으로 구성되며 가슴막액을 통해 윤활 작용을 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갈비가로막오목
개요
30세 건강한 남성의 가슴 엑스레이 사진, 갈비가로막오목이 빨간색 타원으로 표시됨
30세 건강한 남성의 가슴 엑스레이 사진, 갈비가로막오목이 빨간색 타원으로 표시됨
라틴어 이름recessus costodiaphragmaticus
세부 정보
설명폐 주변의 공간
길이약 5cm

2. 기능

강제 들숨으로 가 평소보다 커지면 폐는 이 오목까지 확장된다. 그러나 갈비가로막오목은 이때도 완전히 채워지지는 않는다. 날숨이 일어나는 동안의 오목에는 장액 외에는 아무것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3. 임상적 중요성

가슴막 삼출의 경우, 중력으로 인해 액체가 아래로 내려와 갈비가로막오목에 체액이 종종 축적된다. 그러면 폐를 위쪽으로 밀어서 갈비가로막각이 둔각에 가까워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뒤쪽에서 가장 각이 깊게 나타나며, 갈비가로막각이 둔각으로 나타나는 것은 질병의 징후이다.[5]

기립 X선에서 75 mL의 체액이 뒤쪽 갈비가로막오목을 둔화시킨다. 측면 갈비가로막오목의 둔화는 일반적으로 약 175 mL가 필요하지만 최대 500 mL가 소요될 수 있다. 더 큰 가슴막 삼출은 반쪽 가슴의 일부를 불투명하게 만들고 가슴세로칸 변위를 유발할 수 있다. 삼출액이 4 L를 초과하면 반쪽 가슴의 완전한 불투명화와 반대쪽으로의 가슴세로칸 변위를 유발할 수 있다.[2]

3. 1. 가슴막삼출

가슴막 삼출로 인해 발생한 액체는 똑바로 선 자세에서 갈비가로막오목으로 모이며,[4] 단순 X선 촬영에서 갈비가로막각이 커지는(둔각에 가까워지는) 결과로 나타난다.[2] 가슴 X선은 가슴막 삼출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첫 번째 검사이다. 가슴막 삼출이 의심되는 경우 똑바로 서서 가쪽 가슴 X선을 촬영해야 한다. 뒤쪽 갈비가로막각이 가장 먼저 커지며, 액체가 많아질수록 가쪽의 갈비가로막각도 커지게 된다. 가슴막 삼출로 인한 액체가 더 많아지면 가슴 절반을 완전히 불투명하게 만들고, 가슴세로칸을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폐렴성 가슴막 삼출을 동반한 폐렴 환자의 가슴 X선 사진. 환자의 오른쪽 정상 갈비가로막각과 환자 왼쪽의 가려진 갈비가로막막각(동그라미 친 부분).


가슴천자는 폐에 구멍을 뚫어 기흉을 유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환자가 완전한 날숨을 하는 중에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5][2]

3. 2. 가슴천자

가슴막 삼출로 인해 발생한 액체는 똑바로 선 자세에서 갈비가로막오목으로 모이며,[4] 단순 X선 촬영에서 갈비가로막각이 커지는(둔각에 가까워지는) 결과로 나타난다. 가슴천자는 폐에 구멍을 뚫어 기흉을 유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험을 적게 하기 위해 환자가 완전한 날숨을 하는 중에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5]

3. 3. 영상

가슴막 삼출로 인해 발생한 액체는 똑바로 선 자세에서 갈비가로막오목으로 모이며,[4] 단순 X선 촬영에서 갈비가로막각이 커지는(둔각에 가까워지는) 결과로 나타난다. 가슴 X선은 가슴막 삼출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첫 번째 검사이다. 가슴막 삼출이 의심되는 경우 똑바로 서 가쪽 가슴 X선을 촬영해야 한다. 뒤쪽 갈비가로막각이 가장 먼저 커지며, 액체가 많아질수록 가쪽의 갈비가로막각도 커지게 된다. 가슴막 삼출로 인한 액체가 더 많아지면 가슴 절반을 완전히 불투명하게 만들고, 가슴세로칸을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2]

가슴천자는 폐에 구멍을 뚫어 기흉을 유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험을 적게 하기 위해 환자가 완전한 날숨을 하는 중에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5]

참조

[1] Webarchive drugs.com > phrenicocostal-sinus https://www.drugs.co[...] 2016-03-03
[2] Webarchive drugs.com > costodiaphragmatic-recess https://www.drugs.co[...] 2016-03-03
[3] 웹아카이브 drugs.com > phrenicocostal-sinus https://www.drugs.co[...]
[4] 웹아카이브 drugs.com > costodiaphragmatic-recess https://www.drugs.co[...]
[5] 웹아카이브 drugs.com > costodiaphragmatic-recess https://www.drug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