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낭콩속(Phaseolus)은 1753년 칼 린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검은눈물콩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이 속에는 약 70여 종이 속하며, 분자계통학적 분석에 기반하여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강낭콩속 식물은 일부 나비목 유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되며, OPALS 식물 알레르기 척도에서 중간 정도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한국에서는 강낭콩, 리마콩, 적화강낭콩 등이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낭콩속 - 리마콩 리마콩은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콩과 식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재배화되었으며, 크기와 색깔에 따라 리마콩과 버터빈으로 나뉘고,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높은 영양가를 지니지만 생으로 섭취 시 독성이 있어 익혀 먹어야 한다.
강낭콩족 - 칡 칡은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재로, 녹말은 갈분으로, 어린 싹과 꽃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북미 지역에서는 유해 식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강낭콩족 - 콩속 콩속은 28종으로 구성된 식물 속이며, 아속 글리신과 아속 소야로 나뉘고 콩과 돌콩이 포함되며, 분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강낭콩속의 학명 ''Phaseolus''는 1753년 칼 린네가 명명했으며,[7][18] 라틴어 ''phaseolus''에서 유래했다.[8][9][19] 이는 다시 그리스어 ''φάσηλος'' (phasēlos)에서 차용된 것으로, 검은눈물콩을 의미하며, 축소사 ''[http://en.wiktionary.org/wiki/-olus -olus]''가 붙은 형태이다.[19] ''φάσηλος''의 정확한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10][20] 고대 그리스에서는 꼬투리 안에 든 콩을 ''phasēlos''라고 불렀으며, 당시 유럽에는 아시아 원산의 콩만이 알려져 있었다. 16세기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강낭콩속 식물들이 유럽에 소개되면서, ''phaseolus''는 신대륙의 콩을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과거에는 녹두, 팥 등 아시아 원산의 콩들도 강낭콩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Vigna''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3. 생태
강낭콩속 식물은 일부 나비목 종의 유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14] 예를 들어, common swift, garden dart, ghost moth ''Hypercompe albicornis'', ''H. icasia'' 및 nutmeg 등이 강낭콩속 식물을 먹는다.[14]
OPALS 식물 알레르기 척도에서 강낭콩속 식물은 10점 만점에 4점을 받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중간 정도의 잠재력을 보인다.[14] 잎은 피부 발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래된 식물은 종종 녹병을 옮긴다.[14]
4. 분류
분자계통학적 분석에 기반하여 강낭콩속(''Phaseolus'')은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11][12][13]
[1]
웹사이트
Phaseolus L.
https://powo.science[...]
2023-09-14
[2]
간행물
Phaseolus
ITIS
[3]
논문
Vigna (Leguminosae) sensu lato: the names and identities of the American segregate genera
[4]
서적
Taxonomy, distribution, and ecology of the genus Phaseolus (Leguminosae-Papilionoideae) in North America, Mexico and Central America
Botanical Research Institute of Texas
2002
[5]
논문
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sity Revealed by AFLP Markers in Mexican Common Bean Bred Cultivars
[6]
논문
Beans (Phaseolus ssp.) as a Model for Understanding Crop Evolution
2017-05-08
[7]
웹사이트
s.v. 'phaseolus'
http://oed.com/view/[...]
Species Plantarum
[8]
웹사이트
s.v. 'phaseolin'
http://oed.com/view/[...] [9]
기타
φάσηλος
fa/shlos [10]
논문
Beans, boats and archaeobotany: A new translation of 'phasolus' or why the romans ate neither kidney beans nor cowpeas
https://rjh.ub.rug.n[...] [11]
웹사이트
ILDIS Version 10.01
https://ildis.org/Le[...] [12]
논문
Phylogeny of the Genus Phaseolus (Leguminosae): A Recent Diversification in an Ancient Landscape
2006-10-01
[13]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Phaseolus (Fabaceae)
1999-07
[14]
서적
The Allergy-Fighting Garden
Ten Speed Press
2015
[15]
간행물
Phaseolus
ITIS
[16]
논문
Vigna (Leguminosae) sensu lato: the names and identities of the American segregate genera
[17]
논문
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sity revealed by AFLP markers in Mexican common bean bred cultivars
[18]
웹사이트
s.v. 'phaseolin'
http://oed.com/view/[...]
Species Plantarum
[19]
사전
φάσηλος
http://www.perseus.t[...] [20]
웹사이트
s.v. 'phaseolin'
http://oed.com/view/[...] [21]
웹사이트
Phaseolus in PlantList
http://www.theplantl[...]
2015-04-13
[22]
논문
Phylogeny of the genus Phaseolus (Leguminosae): a recent diversification in an ancient landsca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