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세황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화가, 평론가로, 진주 강씨 은열공파 후손이다. 숙종 때 태어나, 1776년 기로정시에 급제하여 예조판서에 이르렀으며, 정조 때 베이징에 천추 부사로 다녀왔다. 서화에 능하여 특히 산수화와 사군자에 뛰어났으며, 정선의 화풍을 계승했다. 18세기 영조와 정조 시대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기도 했다. 저서로 《표암집》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난죽도』, 『산수도』, 『영통동구도』 등이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강세황필 도산서원도(보물 제522호), 강세황초상(보물 제590호), 강세황 행초 표암유채(보물 제1680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13년 출생 - 홍봉한
홍봉한은 영조와 정조 시대의 권력자이자 정조의 외조부로,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된 후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사도세자 죽음의 책임론과 정조의 개혁 정책에 저항하다 실각한 인물이다. - 1713년 출생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1791년 사망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 1791년 사망 - 황윤석
황윤석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기론 관련 저서 『理藪新編』과 『頤齋遺稿』, 『頤齋亂藁』 등 다수의 저술을 남겼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 학문 연구에 전념했고, 그의 저서들은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頤齋亂藁』는 시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관료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조선의 관료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강세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강세황(姜世晃) |
원래 이름 | 강세황(姜世晃) |
출생일 | 1713년 7월 13일 / 1713년 윤5월 21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남산 남소동 (현 서울특별시 중구 쌍림동·장충동 1가·장충동 2가·광희동 1가·광희동 2가·을지로 6가 일대) |
사망일 | 1791년 2월 25일 / 1791년 음력 1월 23일 (향년 79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남산 |
별명 | 자는 광지, 호는 표암 |
직업 | 문신 (관료), 서예가, 화가, 평론가 |
배우자 | 초취 진주 유씨 부인, 계취 나주 나씨 부인 |
자녀 | 5남 |
부모 | 부 강현 |
2. 생애
진주 강씨 은열공파로 금자흥록대부 병부상서 겸 태자태사 강민첨의 후손이다. 숙종 39년 윤5월 21일에 아버지 문안공 현이 64세 때, 그는 3남 6녀 중 막내로 출생하여 아버지의 각별한 사랑을 받았다.[4] 1773년 음서로써 하급 문관 관료에 천거된 그는 1776년 기로정시에 갑과 1등으로 급제하고, 기로소[5]에서 뽑혀 예조판서에까지 올랐다. 정조 때에 천추 부사로 베이징에 갔을 때, 그의 서화를 구하려는 사람들이 아주 많았을 정도로 서화에 뛰어났다. 글씨는 전서·예서를 비롯한 각 체에 모두 능했고 그림은 특히 산수·사군자 등에 뛰어났다. 그의 화풍은 정선을 계승한 것으로 담담하면서 격이 있고 개성이 뚜렷하였다. 그는 당시 화단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후원자 또는 추진자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저서로 《표암집》이 있으며 그림으로 『난죽도』, 『산수도』, 『영통동구도』 등이 있다.
영조와 정조 통치 시기인 18세기에 활동하며 조선 화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 사람의 그림에 평을 쓰는 활동을 하였다.[6]
3. 화가이자 평론가로서의 업적
3. 1. 강세황의 예술관과 영향
18세기 영조와 정조 통치 기간 동안 활동하면서 화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 사람의 그림에 평을 썼다. 당시 화단에서 남종문인화, 진경산수화, 풍속화, 도석인물화가 유행한 것이나 서양화법의 수용이 이루어진 것에는 강세황의 영향력이 작용하였다. 더욱이 그는 김홍도와 신위에게 그림을 가르친 스승이기도 하였다.[6]
4. 작품 세계
강세황은 18세기 영조와 정조 때 활동하며 조선 화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 사람의 그림에 평을 썼으며, 남종문인화, 진경산수화, 풍속화, 도석인물화의 유행과 서양화법 수용에 큰 영향을 주었다.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기도 하다.[6]
4. 1. 대표작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강백년(姜栢年) | |
아버지 | 강현(姜鋧) | |
본처 | 진주 유씨(晉州柳氏) | 유뢰(柳耒)의 딸 |
장남 | 강인(姜<亻+寅>) | |
차남 | 강완(姜俒) | |
손자 | 강진(姜晉) | 강완(姜俒)의 아들 |
삼남 | 강관(姜倌) | |
사남 | 강빈(姜儐) | |
손자 | 강이구(姜彛九) | 강빈(姜儐)의 아들 |
증손 | 강진(姜溍) | 강이구(姜彛九)의 아들, 1807년 출생, 1858년 사망 |
증손 | 강로(姜㳣) | 강이구(姜彛九)의 아들 |
후처 | 나주 나씨(羅州羅氏) | |
오남 | 강신(姜信) | |
손자 | 강이오(姜彝五) | 강신(姜信)의 아들 |
6. 관련 문화재
문화재명 | 지정 |
---|---|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 보물 제522호 |
강세황초상 | 보물 제590호 |
강세황 행초 표암유채 | 보물 제1680호 |
밀양 미리벌민속박물관 소장 표암 강세황 행서 팔곡병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17호 |
강세황 육십구세상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5호 |
진천 강세황 묘소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
참조
[1]
서적
단원 김홍도
열화당
[2]
문서
서울특별시 중구 쌍림동·장충동 1가·장충동 2가·광희동 1가·광희동 2가·을지로 6가 일대
[3]
서적
경산집
[4]
서적
1월의 문화인물 미술인 강세황
문화체육부·한국문화예술진흥원
[5]
서적
1월의 문화인물 미술인 강세황
문화체육부·한국문화예술진흥원
[6]
서적
1월의 문화인물 미술인 강세황
문화체육부·한국문화예술진흥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터럭 하나라도 다르면 안 될 것이야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