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원특별자치도 특수구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특수구조단은 강원특별자치도 소속의 구조대이다. 1997년 11월 20일 강원도 소방항공대로 설치되어, 2013년 7월 26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긴급기동팀, 항공구조대, 산악구조대, 수난구조대로 조직되어 있으며, 항공구조대는 제1소방항공대와 제2소방항공대로 나뉜다. AW139 2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BK117과 AS365 헬기를 운용했으나 폐기되었다. 2014년 6월 12일 항공대장의 소방헬기 사적 사용 논란이 있었고, 헬기 도입과 관련하여 국산 헬기 사용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소방항공대 -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은 화학사고, 대형 재난, 헬기 구조, 수난사고, 산악사고 등에 대응하는 서울특별시 소속 기관이며, 1980년 소방항공대로 시작하여 119특수구조대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AS365, Bell 206 등의 헬기를 운용한다.
  • 대한민국의 소방항공대 - 경기도 특수대응단
    경기도 특수대응단은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산하 항공 구조 및 지원 부서로, 소방 헬기 2대를 운용하여 인명 구조, 화재 진압, 응급 환자 이송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양양군 소재의 관공서 - 제102기갑여단 (대한민국)
    제102기갑여단은 1988년 제102보병여단으로 창설되어 2007년 기갑여단으로 재편성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갑 부대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투입되었고 국방개혁 2020의 첫 번째 시행 대상 부대였으며 현재 전차대대, 기계화보병대대, 포병대대 등을 예하에 두고 영동 지방에서 재해 구조 활동도 수행한다.
  • 양양군 소재의 관공서 - 양양소방서
    양양소방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의 안전을 책임지는 기관으로, 다양한 부서와 안전센터, 구조대를 운영하며 화재 진압, 구조, 구급 활동, 예방 교육, 소방 시설 점검 등 군민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소방서 - 속초소방서
    속초소방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를 관할하며 화재 예방, 진압, 구조·구급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과거 고성, 양양군까지 관할했으나 현재는 속초시 일원을 담당하고 주요 재난 현장에서 활동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소방서 - 정선소방서
    정선소방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을 관할하며 소방행정과와 방호구조과, 5개의 119안전센터, 1개의 구조대로 구성되어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소방 업무를 수행하고 지역 주민의 안전을 책임진다.
강원특별자치도 특수구조단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강원특별자치도 특수구조단
영문명Gangwon Special Rescue Service
설치 연도1997년 (소방항공대), 2013년 (특수구조단)
주소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경강로 3829
상급 기관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
관할 구역강원특별자치도 전역
관할 센터항공구조대·산악구조대·수난구조대
웹사이트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

2. 연혁

(내용 없음)

2. 1. 설립 초기

1997년 11월 20일에 강원도 소방항공대가 설치되었다.

2. 2. 명칭 변경

1997년 11월 20일 강원도 소방항공대로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2013년 7월 26일 강원도 특수구조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조직

강원특별자치도 특수구조단은 다양한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여러 전문 구조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팀은 고유의 임무 영역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3. 1. 구성


  • 긴급기동팀
  • 항공구조대
  • * 제1소방항공대
  • * 제2소방항공대
  • 산악구조대
  • 수난구조대

4. 장비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4. 1. 운용 중

자체 식별번호는 GW(GangWon)를 사용하며[2], 내부에서는 1호기에 '수호랑', 2호기에는 '반다비'라는 애칭을 사용한다.[3]

기종등록번호도입 연도비고
AW139HL94762009년[6]1호기 '수호랑'
AW139HL96262017년[6]2호기 '반다비'


4. 2. 퇴역

5. 논란 및 사건사고

(내용 없음)

5. 1. 헬기 운용 관련 논란

2014년 6월 12일에 항공대장이 개인용도로 소방헬기를 사용한 정황이 드러났다.[8] 신규 소방헬기를 도입하는 일에 있어 국산 헬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국산 헬기에는 구조용 호이스트(구조용 인양 장비) 등이 장착되지 않아 곤란하다는 입장도 있다.[9]

5. 2. 헬기 도입 관련 논란

신규 소방헬기 도입 과정에서 국산 헬기 사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다. 하지만 국산 헬기에는 인명 구조에 필수적인 호이스트 장비가 장착되지 않아 실제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9]

5. 3. 사건사고


  • 광주광역시 소방헬기 추락 사고

참조

[1] 웹인용 강원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제17조 http://www.law.go.kr[...] 2014-03-07
[2] 웹인용 소방항공기 기관기호 http://www.law.go.kr[...] 2016-06-28
[3] 뉴스 "[단독] 평창 마스코트 '수호랑·반다비' 도로 생겼다"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8-02-01
[4] 웹인용 소방헬기 현황 http://webcache.goog[...] 2008-10-31
[5] 뉴스 연초부터 헬기도입 러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2-27
[6] 웹인용 공공기관 항공기 등록 http://atis.koca.go.[...]
[7] 뉴스 세월호 지원 마친 소방헬기 광주 도심 추락…5명 사망(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7-17
[8] 뉴스 "[단독] '도심 추락' 소방헬기 항공대장이 사적 이용" https://news.naver.c[...] KBS 2014-08-13
[9] 뉴스 '수리온'은 소방 헬기가 될 수 있을까? http://www.ytn.co.kr[...] YTN 2015-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