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하군은 중국 역사상 여러 왕조에서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한나라 시기에 처음 설치되었다. 강하군은 형주에 속했으며, 시대별로 관할 현의 변화가 있었다. 수나라 시기에는 악주에 편입되었다가 강하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며, 당나라 시기에는 악주로 다시 개칭되어 강하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후베이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당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당나라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강하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위치현재의 후베이성 동부, 허난성 남동부
존속 기간기원전 202년 ~ 636년
역사
설치 시기기원전 202년 (한나라)
폐지 시기636년 (당나라)
주요 사건하구 전투, 관도 대전, 적벽 대전
행정 구역
속현안륙현
경릉현
서릉현
운두현
사양현
중춘현
강하현
평춘현
신식현
마두현
박양현
의양현
석양현
남신시현
하현
춘릉현
진식현
인물
주요 인물황조
감녕
손권
여몽
도준
곽황후
기타
주요 전투하구 전투
관도 대전
적벽 대전

2. 전한

강하군은 전한 고제 때 설치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왕국유는 오피회남왕과 의논한 것을 분석하여 이를 부정하고, 원수 2년(기원전 121년)에 형산군 서부와 남군의 동부를 합쳐 설치했다고 주장했다. 군명은 강수(江水)와 '''하수'''(夏水)에서 유래했는데, 강수가 남군에서 갈라져 나오는 강과 면수(沔水)가 화용(華容)에서 만나 하수를 이루고, 하수는 이 군을 지나 강수로 흘러들어간다.[13]

서한 시대 강하군은 형주(荊州)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 기준 56,844호, 인구 219,218명이었다.[1]

2. 1. 행정 구역

江夏郡중국어한나라 때 설치된 중국의 옛 군이다. 한 무제 치세에 설치되었으며, 형주(荊州)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56,844호에 인구 219,218명이었다. 《한서》에 따르면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경에 14개 현을 두었다.

강하군의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릉현西陵縣우한시 신저우구운몽관(雲夢官)이 있었다.
경릉현竟陵縣첸장시 북서북동쪽에 장산(章山)이 있었다. 운향(鄖鄕)이 있는데 의 운공(鄖公)의 읍이다.
서양현西陽縣신양시 광산현
양현襄縣모름
주현邾縣황강시형산왕 오예가 도읍으로 삼았었다.
대현軑縣신양시 시현옛 현자국(弦子國)이다.
악현鄂縣어저우시
안륙현安陸縣샤오간시 윈멍현동쪽에 횡미산(橫尾山)이 있었다.
사이현沙羨縣우한시 우창구
기춘현蘄春縣황강시 치춘현 남서
맹현鄳縣신양시 뤄산현
운두현雲杜縣징먼시 징산현
하치현下雉縣황스시 양신현
종무현鍾武縣신양시 남동

[13]

동한 시대에는 상현과 종무현이 폐지되었고, 평춘(平春)과 남신시(南新市)가 추가되었다. 서기 140년에는 인구가 265,464명, 58,434 가구로 증가했다.[2]

한 왕조가 멸망하면서 강하는 조위와 동오로 분할되었다. 221년, 손권은 그의 통제 하에 있던 강하의 4개 현을 새로 형성된 무창군(武昌郡)에 추가했다. 진이 중국을 통일했을 때(280년), 강하는 안륙, 운두, 굴릉(曲陵), 평춘, 맹, 경릉, 남신시 등 7개 현을 관할했다. 인구는 24,000 가구였다.[3]

수나라당나라 초기에 강하군은 악주의 대체 명칭이 되었다. 742년에는 인구 84,563명, 19,190 가구였다.[5]

3. 신

왕망전한의 현 이름을 아래와 같이 고쳤다.

전한
서릉(西陵)강양(江陽)
경릉(竟陵)수평(守平)
양(襄)양비(襄非)
하이(下雉)윤광(閏光)
종무(鍾武)당리(當利)



신나라 말기 혼란으로 일어난 농민 반란군 녹림군의 발상지가 이 군의 신시(新市) 땅이고, 한때 녹림산으로 숨어들어가 녹림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녹림이란 명칭은 훗날 도둑의 별명으로 쓰이게 된다. 초창기 녹림군은 강하군을 거점으로 활동했고, 근거지에 역병이 돌아 흩어지면서 인근의 전수군·남순군 일대까지 세력을 확대하게 된다.

4. 후한, 삼국

후한말, 황조가 강하군 태수를 지냈으나 190년(후한 헌제 초평 2년), 치소를 사이현으로 옮겼다. 그러나 황조가 관할하던 장강 이남 지역은 손견, 손권이 장강 중류 지방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오나라에 정복되었다.[14][15][16]

208년(후한 헌제 건안 13년), 황조의 뒤를 이어 유표의 아들 유기가 강하 태수로 부임했다. 그러나 유기는 이복동생이자 유표 사후 형주자사였던 유종조조에게 투항하자, 이에 반발하여 강남으로 도주, 유비에게 투항했다. 이로써 강하군은 유비의 관할이 되었다. 조조 세력권이었던 여남군과의 경계 지역인 서양현, 대국은 여남군 익양현, 기사현 등과 함께 익양군으로 분리되었다. 형주 공방전 이후 오나라가 형주를 차지하고 위나라가 강하의 일부 지역을 차지하면서 강하군은 위와 오로 양분되었다.[14][15][16]

후한 시대 강하군은 14성, 5만 8434호, 26만 5464명을 관할했다. 전한대의 현인 양현, 종무현은 폐지되었고 평춘현과 남신시현이 신설되었다.[14][15][16]

후한, 삼국시대 현별 변천 과정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릉현西陵縣변화없음후한말 태수 황조가 군치를 서릉현에서 사이현으로 옮기면서 버려졌다.
서양현西陽縣조조가 점령했던 곳으로 218년경 익양군으로 분리되었다.
대후국軑候國조조가 점령했던 곳으로 218년경 익양군으로 분리되었다.
맹현鄳縣
경릉후국竟陵候國
운두현雲杜縣징먼시 징산현 → 셴타오시 면성진(沔城鎭) 서북220년(후한 헌제 건안 25년)
사이현沙羨縣우한시 우창구 서 → 우한시 우창구 북 신하가도(新河街道)일대사이현으로 강하군의 치소가 옮겨지면서 극월성(却月城)으로 교치되었다. 현내에는 후한말 이후 남북조시대까지 장강 중류에서 지류를 타고 내려온 물자가 장강에서 모이는 하구(夏口)가 있었고 하구가 군의 중심지로 올랐다.
주현邾縣변화없음《지도기》에 따르면, 초나라가 주나라를 멸하고 주나라 임금을 옮긴 곳이 이 성이라 했다.
하이현下雉縣
기춘후국蘄春候國
악현卾縣
평춘후국平春候國신설된 장릉군으로 이관되었다.
남신시후국南新市候國
안륙현安陸縣
석양현石陽縣샤오간시 잉청시 천아진(天鹅鎭) 동208년 신설되었다. 위나라가 점령했으나 226년(오 대제 황무 5년), 조비가 사망한 틈을 타 손권이 석양을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후한말 강하군의 분리
후한삼국
강하군맹현, 경릉국, 평춘국, 남신시국, 안륙현강하군맹현, 경릉현, 평춘현, 남신시현, 안륙현
서릉현 서양현, 대국익양군서릉현, 서양현, 대현
운두현, 사이현, 악현, 하이현강하군운두현, 무창현, 하이현, 시상현(예장군에서 편입)
기춘국기춘군기춘현, 심양현(여강군에서 편입)

[17]

5. 서진

299년(진 혜제 원강 9년), 경릉군으로 3개 현이 분리되기 전까지 서진의 강하군은 7현 24,000호를 관할했다.[17]

서진 강하군 현 목록
현명한자비고
안륙현安陸縣군의 치소(중심지)
운두현雲杜縣299년 경릉군으로 분리
곡릉현曲陵縣석양현에서 개명
평춘현平春縣
맹현鄳縣
경릉현竟陵縣299년 경릉군으로 분리
남신시현南新市縣299년 경릉군으로 분리


6. 송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형주와 양주의 완충 지대 개념으로 영주가 신설되자 영주의 치소가 되었다. 7현 5,072호 23,810명을 거느렸다.[18]

송나라 시기 강하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여남현汝南縣우한시 장샤구 서 금구(金口)일대후상(候相)진 말기에 사이현에 이주한 여남군의 유민들의 우거지를 분립해 세웠다.
돈양현沌陽縣우한시 장한구 남 한정(漢正)가도일대자상(子相)
효창현孝昌縣샤오간시 샤오창현 대이촌(大二村)후상(候相)
혜회현惠懷縣셴타오시 통해구진(通海口鎭)자상(子相)
사양현沙陽縣셴닝시 자위현 귀근주촌(歸根洲村) 북부 일대남상(男相)원래는 사이현이었는데, 서진 무제 태강 원년에 이름을 고쳤고, 또 사이현을 분리해 세웠다.
원가 16년에 파릉으로 옮겨 속했고, 효건 원년에는 강하군으로 옮겼다.
이양현羡陽縣자상(子相)서진 혜제 때에 도간의 장수 안륙 사람 주사(朱伺)의 요구로 안륙의 동쪽을 나누어 세워졌다.
포기현蒲圻縣셴닝시 자위현 육계진(陸溪鎭)일대.남상(男相)원래는 장사군에 속했고, 원가 16년에 파릉군으로 옮겨 속했고, 효건 원년에 강하군으로 옮겼다.


7. 수

수나라남진을 멸망시키고 일대의 군을 악주(鄂州)로 통폐합하였다. 대업 초에 군제가 부활하여 강하군으로 고쳤다가 당나라 때 악주로 돌아갔다. 4 13,771호를 관할하였다.[19] 지금의 후베이성 우한시 장강 이남, 어저우시, 황스시, 셴닝시 일대이다.

현명대략적 위치비고
강하우한시 장강 이남봉화산(烽火山)과 도수(塗水)가 있다.
무창어저우시,
황스시 북부
옛 무창군에 속하였다. 무창현, 서릉현, 악현을 병합하였다. 번산(樊山)과 백저산(白紵山)이 있다.
영흥(永興)황스시 양신현
셴닝시 퉁산현
남진에서 양신현이라 부르던 것을 수나라가 부천현(富川縣)으로 개명하였다. 591년(개황 11년) 부천현과 영흥현을 병합하였다. 598년 영흥현으로 고쳐 불렀다. 오룡산(五龍山)이 있다.
포기셴닝시 서부양나라 때는 상전군(上雋郡)에 속하였다. 사양현과 합쳤다. 석두산(石頭山), 어악산(魚嶽山), 포산(鮑山)이 있다.


8. 당

고조 때 강하군이 설치되었다. 전한의 강하군은 형주에 속했으며, 서릉, 경릉, 서양, , , , , 안륙, 사선, 기춘, , 운두, 하지, 종무의 14개 현을 관할했다.[6]

후한 때는 서릉, 서양, 대, 맹, 경릉, 운두, 사선, 주, 하지, 기춘, 악, 평춘, 남신시, 안륙의 14개 현을 관할했다.[7]

진 때는 안륙, 운두, 곡릉, 평춘, 맹, 경릉, 남신시의 7개 현을 관할했다.[8]

남조 송 때는 영주에 속했으며, 여남, 돈양, 효창, 혜회, 사양, 선양, 포기의 7개 현을 관할했다.[9]

남조 제 때는 사양, 포기, 섭양, 여남, 돈양, 혜회의 6개 현을 관할했다.[10]

남조 양 때는 북신주에 속했다.

589년 ( 개황 9년),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강하군은 폐지되어 악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악주가 강하군으로 개칭되었다. 강하군은 강하, 무창, 영흥, 포기의 4개 현을 관할했다.[11]

621년 ( 무덕 4년), 소선을 평정하자 강하군은 악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악주는 강하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강하군은 악주로 개칭되었고, 강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2]

참조

[1]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2]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Song https://zh.wikisourc[...]
[5]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6] 서적 漢書地理志上
[7] 서적 後漢書郡国志四
[8] 서적 晋書地理志下
[9] 서적 宋書州郡志三
[10] 서적 南斉書州郡志下
[11] 서적 隋書地理志下
[12] 서적 旧唐書地理志三
[13] 서적 한서
[14]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5]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16]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17]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9] 서적 수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