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구리화 현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구리화 현상은 2004년 일본의 심리학자 후지사와 신스케가 처음 보고한 현상으로, 짝사랑하던 상대와 연애를 시작한 후 오히려 감정이 식어버리는 심리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Z세대를 중심으로 '교제 상대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유행어가 되었다. 2020년에는 관련 노래와 만화가 등장했고, 2023년에는 Z세대가 선택한 유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심리학계에서는 이러한 용례가 원래 의미를 오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뱀화 현상과 같은 파생 현상도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애 - 깻잎 논쟁
    '깻잎 논쟁'은 연인이 다른 이성 친구의 깻잎을 떼어주는 행위에 대한 찬반 논쟁으로, 연애 관계에서의 행동과 개인의 가치관, 사회적 규범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회적 논쟁이다.
  • 연애 - 유전적 성적 이끌림
    유전적 성적 이끌림은 유전적으로 근친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성적 이끌림 현상으로, 심리학적 요인과 사회적 논쟁을 야기하며 입양 가족에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현상이다.
  • 감정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 감정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개구리화 현상
개요
용어개구리화 현상
로마자 표기Gaegurihwa hyeonsang
일본어 표기ja
상세 정보
정의'상대방에 대한 호감이 갑자기 혐오감으로 바뀌는 심리 현상. 주로 연애 관계에서 발생함'
특징'처음에는 호감을 느끼던 상대방이 자신에게 호감을 표현하거나, 사소한 결점을 보이는 순간 갑자기 싫어지는 감정을 느낌'
'상대방의 행동이나 모습이 비호감으로 느껴지거나, 심지어 생리적인 혐오감을 느끼기도 함'
원인'자신의 가치에 대한 불안감,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적 성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
관련 연구'2004년 후지사와 신스케(藤沢伸介)가 "여성이 연애 과정에서 겪는 개구리화 현상"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논문이 있음'
관련 기사'마이나비 우먼 - 남자친구와 갑자기 이야기하기 싫어진다. "개구리화 현상"을 극복하는 방법'
'All About - 그렇게 좋아했는데, 지금은 "생리적인 거부감". "개구리화 현상"은 어른의 혼활에서도 일어나기 쉽다?'
'아사히 신문 디지털 - "개구리화 현상", Z세대 유행 연애, 이상을 너무 추구해서? 상대의 사소한 언동, 호감 식어'
'닛케이 비즈니스 전자판 - Z세대에 퍼지는 "개구리화 현상"을 긍정적으로 재해석'
'산케이 신문 - Z세대가 선택한 유행어 톱 "개구리화 현상"에 두 가지 의미 "싫은 면 보고 상대에게 환멸"에 공감'
'도쿄 신문 TOKYO Web - "개구리화 현상"이란 무엇? 어떻게 사용? Z세대 유행어 1위에 사실은 의미가 바뀌고 있어서…'
'요미우리 신문 온라인 - "개구리화 현상"은 당사자에게 절실한 문제 "애니메이션 좋아하는 탓" 등 인터넷에 속설 만연'
참고 문헌'요시다 미츠나리, 야마다 마나, 시모토마이 준. (2020). 向けられた好意を拒絶することは苦しいことなのか?(1) : 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の実存性と体験された困難さの定量的検討. 日本教育心理学会総会発表論文集, 62, 256.'

2. 정의 및 어원

「Der Froschkönig」 오토 우벨로데 작, 1907년.


개구리화 현상을 다룬 논문은 2004년부터 보인다.[34] 그러나 인터넷을 중심으로 화제가 된 것은 2019년 내지 2020년 정도이다.[35][28] 2020년 @DIME(쇼가쿠칸)의 기사나 2021년 PROLO(cocoloni)의 기사, 이미다스(슈에이샤)의 기사는 후지사와의 2004년의 보고를 '개구리화 현상' 명명의 시초로 본다.[35][36][37]

2020년 일본교육심리학회의 보고는 남녀 전체에서 경험률은 약 20퍼센트이고, 그 일반성은 의문스럽다고 한다.[28] 그러나 후지사와의 2004년 보고는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여대생 58명 중 40명이 '개구리화 현상'을 경험했으며 '개구리화 현상'은 교제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38][39]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은 Z세대에게 많은 공감을 받았고,[40] 2020년 리리아.는 개구리화 현상을 소재로 「개구리화 현상에 고민하고 있는 여자 아이 이야기」라는 노래를 발표한다.[41] 또 같은 해 출간된 만화 『개구리가 된 왕자님』(가라쿠타니, 코단샤 코믹플러스)에서는 개구리화 현상으로 고민하는 히로인이 나온다.[42] 싱크탱크 조직인 Z종합연구소의 조사에서는 Z세대가 선택한 2023년 상반기 유행어 랭킹 1위를 기록했다.[43] 2023년 신어·유행어 대상에서도 톱10에 진입했다.[44]

심리학계는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용례들을, 원의의 개구리화 현상 당사자들에게 오해와 편견을 갖게 한다며 '현실의 심리학화' 문제를 지적한다.[45] 또한 2023년 조사에서는 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의미로 정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46]

2. 1. 심리학적 정의

개구리화 현상은 아토미 학원 여자 대학 교수 후지사와 신스케가 2004년에 발표한 보고에서 처음 사용되었다.[34][35][36][37] 초기 연구에서는 짝사랑하던 상대와 연애가 시작된 후, 오히려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 식어버리는 현상을 의미했다.[38][39] 후지사와의 보고에서는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여대생 58명 중 40명이 이 현상을 경험했다고 하여, 교제 과정에서 일반적인 현상으로 보았다.[8][1]

하지만 2020년 일본 교육 심리학회의 보고에서는 남녀 전체에서 경험률이 약 20%로 나타나, 일반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14][28]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은 Z세대에게 많은 공감을 얻었다.[40] 2020년에는 리리아.가 「개구리화 현상에 고민하고 있는 여자 아이 이야기」라는 노래를 발표했고,[41] 같은 해 만화 『개구리가 된 왕자님』(가라쿠타니, 코단샤 코믹플러스)이 출간되었다.[42] Z세대가 선택한 2023년 상반기 유행어 랭킹 1위를 기록했으며,[43] 2023년 신어·유행어 대상 톱10에 진입했다.[44]

심리학계에서는 이러한 용례가 원래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 당사자들에게 오해와 편견을 갖게 한다며 '현실의 심리학화' 문제를 지적한다.[45] 2023년 조사에서는 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의미로 정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46]

2. 2. 용어의 변화와 확장

개구리화 현상은 2004년부터 논문에서 다뤄졌지만,[34] 인터넷을 중심으로 화제가 된 것은 2019년에서 2020년경이다.[35][28] 2020년 @DIME(쇼가쿠칸)의 기사나 2021년 PROLO(cocoloni)의 기사, 이미다스(슈에이샤)의 기사는 후지사와의 2004년 보고를 '개구리화 현상' 명명의 시초로 본다.[35][36][37]

Z세대는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하며,[40] 2020년에는 리리아.는 이 현상을 소재로 한 노래를 발표했고,[41] 같은 해 출간된 만화에도 등장했다.[42] Z세대가 선택한 2023년 상반기 유행어 랭킹 1위를 기록했고,[43] 2023년 신어·유행어 대상 톱10에 진입했다.[44]

심리학계는 이러한 용례가 원래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 당사자들에게 오해와 편견을 야기한다며 '현실의 심리학화' 문제를 지적한다.[45] 2023년 조사에서는 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의미로 정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46]

3. 원인 및 분석

2022년 시점에서는 인터넷 상의 기사는 많지만, 학술적인 검토는 극히 적으며 발생 매커니즘이나 대처법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47][19]

그러나 인터넷 기사 등에서는 개인적 특성이 주요 발생 요인이라는 주장을 쏟아냈다. 이런 주장은 당사자들에게 오해나 자책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받는다.[48][20] 한편 이 지적에 근거하여 '개인적 특성이 개구리화 현상을 일으키는가'를 검토한 학술 연구에서는 그렇게 단정지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48][20]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는 사이타마학원대학 조교수 가와쿠보 아쓰시(가와쿠보 아쓰시/川久保惇일본어)는 '이상적으로 보정한 셀카를 SNS에 업로드 하는 것이 당연해진 Z세대가 실제로 만났을 때, SNS상의 이상적 모습과의 차이를 보고 실망하는 것이나, 이상적인 대상을 향한 덕질이 일반화되면서 현실과의 차이를 신경 쓰게 되었을 가능성 등을 지적했다.[49][8] 또한 가와쿠보는 2021년 경에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했을 것이라고 했다.[31][8]

3. 1. 학계의 연구

2022년 기준으로 개구리화 현상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여, 발생 메커니즘이나 대처법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47][19] 인터넷 기사 등에서는 개인적 특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하지만, 이는 당사자에게 오해나 자책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48][20] 실제로 개인 특성이 개구리화 현상을 유발하는지 검토한 학술 연구에서는 명확한 발생 요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48][20]

사이타마학원대학 부교수 가와쿠보 준(川久保惇)은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49][8] 그는 이상적으로 가공된 셀카를 SNS에 업로드하는 것이 당연해진 Z세대가 실제 만남에서 SNS상의 이상적인 모습과 차이를 느껴 실망하거나, 이상적인 대상에 대한 오시 활동이 일반화되면서 현실과의 차이를 신경 쓰게 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49][8] 또한 가와쿠보는 2021년경에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31][8]

3. 2. Z세대와 연관성

사이타마학원대학 조교수 가와쿠보 아쓰시(가와쿠보 아쓰시/川久保惇일본어)는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49][8] 그는 이상적으로 가공된 셀카 사진을 SNS에 업로드하는 것이 당연해진 Z세대가, SNS상의 이상적인 모습과 실제로 만났을 때의 차이로 인해 마음이 식는 것이나, 이상적인 대상에 대한 덕질이 일반화되면서 현실의 인간과의 차이가 신경 쓰이게 되었을 가능성 등을 지적했다.[49][8] 가와쿠보는 2021년 경에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했을 것이라고 했다.[31][8]

4. 사회문화적 영향

4. 1. 유행어 등극

개구리화 현상은 Z세대에게 많은 공감을 얻어, 2020년 리리아.는 개구리화 현상을 소재로 「개구리화 현상에 고민하고 있는 여자 아이 이야기」라는 노래를 발표했다.[41] 같은 해 출간된 만화 『개구리가 된 왕자님』(가라쿠타니, 코단샤 코믹플러스)에서는 개구리화 현상으로 고민하는 히로인이 등장한다.[42]

싱크탱크 조직인 Z종합연구소의 조사에서는 Z세대가 선택한 2023년 상반기 유행어 랭킹 1위를 기록했다.[43] 2023년 신어·유행어 대상에서도 톱10에 진입했다.[44]

4. 2. 관련 콘텐츠

2020년, 리리아.는 개구리화 현상을 소재로 한 노래 「개구리화 현상에 고민하고 있는 여자 아이 이야기」를 발표했다.[41] 같은 해, 가라쿠타니의 만화 『개구리가 된 왕자님』(코단샤 코믹플러스)이 출간되었으며, 이 작품에서는 개구리화 현상으로 고민하는 히로인이 등장한다.[42]

5. 파생 현상

'''뱀화 현상'''은 개구리화 현상에서 파생된 말로, 호감을 가진 상대의 모든 것이 사랑스럽게 느껴지는 것을 가리킨다.[50][11] 좋아하는 상대의 행동을 "뱀이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것처럼" 받아들인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다.[50][11] 틱톡에서 게시되어 널리 퍼졌다.[51][21]

5. 1. 뱀화 현상

뱀화 현상은 호의를 가진 상대의 모든 것이 사랑스럽게 느껴지는 것을 뜻한다.[50] 좋아하는 상대의 행동을 '뱀이 먹이를 통째로 삼키듯' 받아들인다는 것에서 유래했다.[50] 뱀화 현상은 틱톡에서 유행한 표현이다.[51]

6.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참조

[1] 서적 日本心理学会大会発表論文集/女子が恋愛過程で遭遇する蛙化現象 https://jglobal.jst.[...] 公益社団法人 日本心理学会
[2] 웹사이트 彼氏と急に話したくなくなる。「蛙化現象」を克服する方法 https://woman.mynavi[...] 2023-01-10
[3] 웹사이트 あんなに好きだったのに、今は“生理的な拒否感”。「蛙化現象」は大人の婚活でも起こりやすい? https://allabout.co.[...] 2022-09-14
[4] 문서 『かえるの王さま』では、魔法が解けて蛙から王子様に戻る。
[5] 웹사이트 「蛙化現象」、Z世代に流行 恋愛、理想を追い求め過ぎて? 相手のささいな言動、好意冷める https://www.asahi.co[...] 朝日신문 2023-06-16
[6] 웹사이트 Z世代に広がる「蛙化現象」をポジティブに捉え直す https://business.nik[...] 2023-12-01
[7] 웹사이트 Z世代が選ぶ流行語トップ「蛙化現象」に二つの意味 「嫌な面見て相手に幻滅」に共感 https://www.sankei.c[...] 2023-06-17
[8] 웹사이트 「蛙化現象」って何のこと?どう使う? Z世代の流行語で1位に 実は意味が変わってきていて…: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8-14
[9] 웹사이트 「蛙化現象」は当事者に切実な問題 「アニメ好きのせい」などネットに俗説氾濫 https://www.yomiuri.[...] 2024-02-17
[10] 문서
[11] 웹사이트 イミダス 新・時事用語「蛙化現象」(イミダス編) https://imidas.jp/ne[...] 2023-12-01
[12] 웹사이트 好きな人とうまく付き合うことができない「蛙化現象」が起こる原因と解決策|@DIME アットダイム https://dime.jp/genr[...] 2022-09-14
[13] 웹사이트 蛙化現象って何?陥りやすい人の特徴は?恋が続かない理由は…予防法・克服法も https://cocoloni.jp/[...] 2022-09-14
[14] 저널 向けられた好意を拒絶することは苦しいことなのか?(1) : 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の実存性と体験された困難さの定量的検討 https://doi.org/10.2[...] 日本教育心理学会 2020
[15] 웹사이트 りりあ。、待望の新作「蛙化現象に悩んでる女の子の話。」デジタル配信リリース! https://prtimes.jp/m[...] 2022-09-14
[16] 웹사이트 『カエルになった王子様(1)』(我楽谷) 製品詳細 講談社コミックプラス https://kc.kodansha.[...] 2022-09-14
[17] 웹사이트 Z世代流行語ランキング 1位は「蛙化現象」 中学生~26歳回答 https://mainichi.jp/[...] 2023-06-05
[18] 웹사이트 流行語大賞は「アレ」 トップテンに「蛙化現象」―「闇バイト」「地球沸騰化」も: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3-12-01
[19] 문서 양상엽이 되는 것은 왜 식어 버리는가? - 개구리화 현상의 발생 메커니즘 검토 - https://c868b85b-54c[...]
[20] 저널 向けられた好意を拒絶することは苦しいことなのか?(3) : 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の生起要因としての個人特性の影響に関する定量的検討 https://doi.org/10.2[...] 日本教育心理学会 2022
[21] 웹사이트 「蛇化現象」とは?「蛙化現象」との違いは?生みの親こちゃもちゃにインタビュー! / 【スタディサプリ進路】高校生に関するニュースを配信 https://shingakunet.[...] 2023-12-01
[22] 문서
[23] 서적 日本心理学会大会発表論文集/女子が恋愛過程で遭遇する蛙化現象 https://jglobal.jst.[...] 公益社団法人 日本心理学会
[24] 웹인용 彼氏と急に話したくなくなる。「蛙化現象」を克服する方法 https://woman.mynavi[...] 2023-01-10
[25] 문서
[26] 웹인용 あんなに好きだったのに、今は“生理的な拒否感”。「蛙化現象」は大人の婚活でも起こりやすい? https://allabout.co.[...] 2022-09-14
[27] 웹인용 「蛙化現象」、Z世代に流行 恋愛、理想を追い求め過ぎて? 相手のささいな言動、好意冷める https://www.asahi.co[...] 2023-06-16
[28] 저널인용 向けられた好意を拒絶することは苦しいことなのか?(1) : 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の実存性と体験された困難さの定量的検討 https://doi.org/10.2[...] 日本教育心理学会 2020
[29] 웹인용 Z世代に広がる「蛙化現象」をポジティブに捉え直す https://business.nik[...] 2023-12-01
[30] 웹인용 Z世代が選ぶ流行語トップ「蛙化現象」に二つの意味 「嫌な面見て相手に幻滅」に共感 https://www.sankei.c[...] 2023-06-17
[31] 웹인용 「蛙化現象」って何のこと?どう使う? Z世代の流行語で1位に 実は意味が変わってきていて…: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8-14
[32] 웹인용 「蛙化現象」は当事者に切実な問題 「アニメ好きのせい」などネットに俗説氾濫 https://www.yomiuri.[...] 2024-02-17
[33] 문서
[34] 문서
[35] 웹인용 イミダス 新・時事用語「蛙化現象」(イミダス編) https://imidas.jp/ne[...] 2023-12-01
[36] 웹인용 好きな人とうまく付き合うことができない「蛙化現象」が起こる原因と解決策|@DIME アットダイム https://dime.jp/genr[...] 2022-09-14
[37] 웹인용 蛙化現象って何?陥りやすい人の特徴は?恋が続かない理由は…予防法・克服法も https://cocoloni.jp/[...] 2022-09-14
[38] 웹인용 「蛙化現象」って何のこと?どう使う? Z世代の流行語で1位に 実は意味が変わってきていて…: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8-14
[39] 서적 日本心理学会大会発表論文集/女子が恋愛過程で遭遇する蛙化現象 https://jglobal.jst.[...] 公益社団法人 日本心理学会
[40] 웹인용 「蛙化現象」って何のこと?どう使う? Z世代の流行語で1位に 実は意味が変わってきていて…: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8-14
[41] 웹인용 りりあ。、待望の新作「蛙化現象に悩んでる女の子の話。」デジタル配信リリース! https://prtimes.jp/m[...] 2022-09-14
[42] 웹인용 『カエルになった王子様(1)』(我楽谷) 製品詳細 講談社コミックプラス https://kc.kodansha.[...] 2022-09-14
[43] 웹인용 Z世代流行語ランキング 1位は「蛙化現象」 中学生~26歳回答 https://mainichi.jp/[...] 2023-06-05
[44] 웹인용 流行語大賞は「アレ」 トップテンに「蛙化現象」―「闇バイト」「地球沸騰化」も: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3-12-01
[45] 간행물 関係性志向の⼼理臨床としての個⼈⼼理学のあり⽅とは︖―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に対するアドレリアン・コミュニティ・アプローチによる⾒⽴て例から― 日本個人心理学会第3回学術大会 一般演題発表 発表資料 https://researchmap.[...] 2023
[46] 웹인용 「蛙化現象」って何のこと?どう使う? Z世代の流行語で1位に 実は意味が変わってきていて…: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8-14
[47] 문서 両想いになるとなぜ冷めてしまうのか?―蛙化現象の生起メカニズムの検討― https://c868b85b-54c[...]
[48] 저널 向けられた好意を拒絶することは苦しいことなのか?(3) : 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の生起要因としての個人特性の影響に関する定量的検討 https://doi.org/10.2[...] 日本教育心理学会 2022
[49] 웹인용 「蛙化現象」って何のこと?どう使う? Z世代の流行語で1位に 実は意味が変わってきていて…: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8-14
[50] 웹인용 イミダス 新・時事用語「蛙化現象」(イミダス編) https://imidas.jp/ne[...] 2023-12-01
[51] 웹인용 「蛇化現象」とは?「蛙化現象」との違いは?生みの親こちゃもちゃにインタビュー! / 【スタディサプリ進路】高校生に関するニュースを配信 https://shingakunet.[...] 202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