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숲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미숲》은 2004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어두운 숲에서 깨어난 강민이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몰리면서, 기억과 현실의 혼란 속에서 진실을 추적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130만 달러의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흥행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해외 영화제에 출품되어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영화 - 효자동 이발사
《효자동 이발사》는 1960-70년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청와대 인근 효자동 이발관을 운영하는 이발사 성한모와 그의 가족이 겪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4.19 혁명, 5.16 군사정변, 10.26 사건 등 역사적 사건들을 소시민의 시각으로 조명하며 권위주의 정권의 억압과 가족애, 민주주의 열망을 풍자와 해학으로 담아냈다. - 2004년 영화 - 셔터 (2004년 영화)
셔터는 2004년 태국 공포 영화로, 사진작가 턴이 자동차 사고 후 겪는 초자연적인 현상과 과거의 비밀을 다루며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 대한민국의 영화 작품 - 제불찰씨 이야기
TV 생방송 재판에서 사형 여부가 결정되는 거미 제불찰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제불찰씨 이야기는 어린 시절 누나와의 기억을 쫓으며 사건에 휘말리는 제불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엄상현, 조현정 등의 성우진이 참여했고 관련 학술 논문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영화 작품 - 효자동 이발사
《효자동 이발사》는 1960-70년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청와대 인근 효자동 이발관을 운영하는 이발사 성한모와 그의 가족이 겪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4.19 혁명, 5.16 군사정변, 10.26 사건 등 역사적 사건들을 소시민의 시각으로 조명하며 권위주의 정권의 억압과 가족애, 민주주의 열망을 풍자와 해학으로 담아냈다. - 한국어 영화 작품 - 파닥파닥
2012년 개봉한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파닥파닥》은 횟집 수족관에 갇힌 고등어의 탈출기를 통해 자유와 억압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루며 한국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풍자하고 억압적인 시스템에 대한 저항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한국어 영화 작품 - 제불찰씨 이야기
TV 생방송 재판에서 사형 여부가 결정되는 거미 제불찰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제불찰씨 이야기는 어린 시절 누나와의 기억을 쫓으며 사건에 휘말리는 제불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엄상현, 조현정 등의 성우진이 참여했고 관련 학술 논문도 존재한다.
거미숲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거미숲 |
원제 | Spider Forest |
로마자 표기 | Geomi sup |
감독 | 송일곤 |
제작 | 안민준 |
각본 | 송일곤 |
출연 | 감우성 강경헌 |
음악 | 윤민화 |
촬영 | 김철주 |
편집 | 최재근 |
배급사 | 청어람 |
개봉일 | 2004년 9월 3일 |
상영 시간 | 113분 |
제작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제작비 | 130만 달러 |
영화 정보 | |
![]() |
2. 줄거리
강민은 어두운 숲 속에서 깨어나 근처 오두막에서 끔찍한 살인 현장을 목격한다. 낫에 난자당한 남자와 칼에 찔린 채 "거미"라는 말을 남기고 죽어가는 애인 수영을 발견한다.[1] 범인에게 기습당한 강민은 숲 속에서 범인을 쫓지만, 둔기에 맞아 기절하고, 터널로 향하는 범인을 쫓다 SUV에 치여 중상을 입는다. 의식을 잃기 전, 어두운 그림자가 그에게 다가와 조롱하는 듯하다 사라진다.[1]
14일 후, 병원에서 깨어난 강민은 살인 사건의 용의자가 된다. 친구이자 형사인 최 형사는 그의 결백을 믿고 싶어하며 사건에 대해 묻지만, 강민의 기억은 혼란스럽다.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가운데, 강민은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기억의 조각을 맞춰야만 한다.[1]
2. 1. 사건의 발생
강민은 어두운 숲 한가운데서 홀로 눈을 뜨고 근처 외딴 오두막을 발견한다. 오두막 안에서 낫으로 난자당한 남자의 시신을 발견하고, 칼에 찔려 죽어가는 애인 수영을 발견한다. 수영은 "거미"라는 말을 남긴다.[1]강민은 범인에게 기습을 당하고, 숲 속에서 범인을 쫓다가 둔기에 맞아 기절한다. 잠시 후, 범인이 도로 터널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쫓아가지만, 과속하는 SUV에 치여 심하게 다친다. 어두운 그림자 인물이 강민에게 다가와 조롱하는 듯하다가 사라지고, 강민은 의식을 잃는다.[1]
2. 2. 혼란과 추적
강민은 범인을 쫓다가 둔기에 맞아 정신을 잃고, 범인이 터널로 들어가는 것을 본 후 뒤쫓아 가지만 과속하는 SUV에 치여 심하게 다친다.[1]땅에 쓰러진 강민에게 어두운 그림자가 다가와 조롱하듯 섰다가 사라지고, 강민은 의식을 잃는다.[1]
14일 후, 강민은 병원에서 깨어나지만, 살인 사건의 주요 용의자로 지목된다. 친구이자 형사인 최 형사는 강민의 결백을 믿고 싶어하지만, 강민의 기억은 파편화되어 혼란스럽다.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에서, 강민은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기억의 조각을 맞추려 노력한다.[1]
2. 3. 진실을 찾아서
강민은 친구이자 경찰 형사인 최성현의 도움을 받아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려 노력한다.[1] 최 형사는 강민의 결백을 믿고 싶어하며, 강민에게 사건에 대해 말해 달라고 부탁한다.[1] 강민은 의식을 잃었다 깨어나기를 반복하며 기이한 사건들을 재구성하려 하지만, 기억나지 않는 세부 사항과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1] 그는 수수께끼 같은 과거를 짜맞추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할 수 있는 퍼즐을 완성하려고 노력한다.[1]3. 등장인물
배우 | 역할 |
---|---|
감우성 | 강민 역 |
서정 | 민수인/은아 역 |
강경헌 | 황수영 역 |
장현성 | 최성현 역 |
조성하 | 최종필 역 |
손병호 | 김철주 역 |
김학준 | 소년 역 |
김희정 | 소녀 역 |
정승길 | 박 형사 / 남자 (목소리) 역 |
정상철 | 형사 반장 역 |
윤영 | 간호사 역 |
김영재 | 동료의사 역 |
권우식 | 숲속 남자 역 |
김진우 | 형사 1 역 |
성낙경 | 형사 2 역 |
박완산 | 할아버지 역 |
한철우 | PD 역 |
김현동 | PD 역 |
한효섭 | PD 역 |
유주현 | PD 역 |
이은주 | PD 역 |
권중대 | PD 역 |
지운 | 윤혜은 역 |
정미남 | 범인 1 역 |
김훈호 | 범인 2 역 |
레이 | 정사남 역 |
지우 | 정사녀 역 |
이용주 | 살인남 역 |
강수진 | 아나운서 역 |
김교범 | 병원 아이 역 |
최윤영 | 간호사 역 |
3. 1. 주요 인물
배우 | 역할 | 설명 |
---|---|---|
감우성 | 강민 | 숲 속 살인 사건의 목격자이자 용의자 |
서정 | 민수인/은아 | 강민의 기억 속에 존재하는 미스터리한 여인 |
강경헌 | 황수영 | 강민의 연인, 살인 사건의 피해자 |
장현성 | 최성현 | 강민의 친구이자 형사 |
조성하 | 최종필 | |
손병호 | 김철주 | |
김학준 | 소년 | |
김희정 | 소녀 | |
정승길 | 박 형사 / 남자 (목소리) | |
정상철 | 형사 반장 | |
윤영 | 간호사 | |
김영재 | 동료의사 | |
권우식 | 숲속 남자 | |
김진우 | 형사 1 | |
성낙경 | 형사 2 | |
박완산 | 할아버지 | |
한철우 | PD | |
김현동 | PD | |
한효섭 | PD | |
유주현 | PD | |
이은주 | PD | |
권중대 | PD | |
지운 | 윤혜은 | |
정미남 | 범인 1 | |
김훈호 | 범인 2 | |
레이 | 정사남 | |
지우 | 정사녀 | |
이용주 | 살인남 | |
강수진 | 아나운서 | |
김교범 | 병원 아이 | |
최윤영 | 간호사 |
3. 2. 조연
- 장현성 : 최성현 역. 강민의 친구이자 형사이다.[1]
- 조성하 : 최종필 역[1]
- 손병호 : 김철주 역[1]
- 김학준 : 소년 역[1]
- 김희정 : 소녀 역[1]
- 정승길 : 박 형사 / 남자 (목소리) 역[1]
- 정상철 : 형사 반장 역[1]
- 윤영 : 간호사 역[1]
- 김영재 : 동료 의사 역[1]
- 권우식 : 숲속 남자 역[1]
- 김진우 : 형사 1 역[1]
- 성낙경 : 형사 2 역[1]
- 박완산 : 할아버지 역[1]
- 한철우, 김현동, 한효섭, 유주현, 이은주, 권중대 : PD 역[1]
- 지운 : 윤혜은 역[1]
- 정미남 : 범인 1 역[1]
- 김훈호 : 범인 2 역[1]
- 레이 : 정사남 역[1]
- 지우 : 정사녀 역[1]
- 이용주 : 살인남 역[1]
- 강수진 : 아나운서 역[1]
- 김교범 : 병원 아이 역[1]
- 최윤영 : 간호사 역[1]
4. 제작 과정
이 영화의 제작비는 130만달러로, 한국 영화 평균 제작비 300만달러보다 적었다.[2] 송일곤 감독은 영화 제작에 필요한 자금 확보가 매우 어려웠다고 밝혔다.[2] 제작 자금의 30%는 한국영화진흥위원회(KOFIC)의 지원으로 충당되었으며, 송 감독은 정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
감우성의 출연료는 영화 제작비의 20%인 26만달러였다.[2] 서정은 높은 선지급금 대신 수익 배분 계약을 맺었으나, 국내 개봉 성적이 좋지 않아 매우 적은 보상을 받았다.[2]
4. 1. 각본
송일곤 감독은 원래 미스터리를 철저하게 설명하는 각본을 썼지만, 감당할 수 있는 만큼 의도적으로 많은 설명을 삭제했다.[2] 유럽 예술 영화처럼 답과 해석을 관객에게 맡기는 방식을 택했다.[2]송일곤 감독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I started to write the real story of a man, how he killed two people, how he grew up, what happened with his wife, what he saw when he was young, who was his first girlfriend, and so on. The second story is when he's awakened. It's another story about what he wants and how he wants to be. It's like his dream. Desire changes the reality… into unreality… So I had this idea to write two stories about this character. And I started to mix the real situation and his dream, what he really wants. I started to make it a mystery. But we have to know about his unconsciousness. So I had to move or remove the real facts and mix the story again. So it took a long time to write the script. It was a painful time for me.|저는 한 남자의 실제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가 어떻게 두 사람을 죽였는지, 어떻게 성장했는지, 그의 아내와 무슨 일이 있었는지, 어릴 적에 무엇을 보았는지, 그의 첫 여자 친구는 누구였는지 등을 말입니다. 두 번째 이야기는 그가 깨어났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그것은 그가 원하는 것과 어떻게 되고 싶어하는지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마치 그의 꿈과 같습니다. 욕망은 현실을… 비현실로 바꿉니다… 그래서 이 인물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를 쓰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실제 상황과 그의 꿈, 그가 정말로 원하는 것을 섞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그것을 미스터리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무의식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실제 사실을 옮기거나 제거하고 이야기를 다시 섞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각본을 쓰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저에게는 고통스러운 시간이었습니다.영어
감독은 또한 오르페우스와 같이 거미숲에 많은 신화를 도입했다고 밝혔다.[2]
4. 2. 예산 문제
이 영화의 제작비는 130만달러로, 한국 영화 평균 제작비인 300만달러보다 적은 금액이다.[2] 송일곤 감독은 영화 제작에 필요한 자금 확보가 매우 어려웠다고 밝혔다.[2] 제작 자금의 30%는 한국영화진흥위원회(KOFIC)의 지원으로 충당되었으며, 송 감독은 정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서정은 높은 선지급금 대신 수익 배분 계약을 맺었으나, 국내 개봉 성적 부진으로 인해 매우 적은 보상을 받았다.[2] 주연 배우 감우성의 출연료는 영화 제작비의 20%에 해당하는 26만달러였다.[2]
5. 평가
이 영화는 국내 개봉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2] 코리아 헤럴드는 "몇몇 조각이 빠진 퍼즐"이라고 평가했으며,[2] 코리아 타임스는 "심리적 반전의 그물"이라고 평했다.[4] 동아일보는 "관객들이 끝없이 퍼즐을 풀도록 만드는 특이한 영화"라고 묘사했다.[5]
해외에서는 타르탄 비디오의 광범위한 DVD 출시와 다수의 영화제 배급 덕분에 국내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 아이 위클리는 토론토 국제영화제에서 "초자연 스릴러"로 언급하며 "어두운 분위기, 진정으로 흥미롭고(그리고 몰입도 높은) 설정, 그리고 몇몇 기억에 남는 유령 장면들"을 지적했지만, "도대체 무슨 말인지 하나도 이해가 안 되는 건 왜일까?"라고 질문을 던졌다.[6] 트위치는 토론토 국제영화제에서 "잘 쓰여지고, 잘 만들어지고, 잘 촬영되었다"고 묘사했지만, "영화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약간 못 미치는 결과가 된다"고 평했다.[7]
5. 1. 국내 평가
국내 개봉 당시 이 영화는 현지 평론가들로부터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2] 코리아 헤럴드는 "몇몇 조각이 빠진 퍼즐"이라고 평가했다.[2] 코리아 타임스는 "심리적 반전의 그물"이라고 평했다.[4] 동아일보는 "관객들이 끝없이 퍼즐을 풀도록 만드는 특이한 영화"라고 묘사했다.[5]5. 2. 해외 평가
타르탄 비디오의 광범위한 DVD 출시와 다수의 영화제 배급 덕분에, 이 영화는 자국 내에서 받은 관심보다 해외 평론가들로부터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아이 위클리는 토론토 국제영화제에서 이 영화를 "초자연 스릴러"로 언급하며 "어두운 분위기, 진정으로 흥미롭고(그리고 몰입도 높은) 설정, 그리고 몇몇 기억에 남는 유령 장면들"을 지적했다. 그러나 "도대체 무슨 말인지 하나도 이해가 안 되는 건 왜일까?"라고 질문을 던졌다.[6]
트위치는 토론토 국제영화제에서 이 영화를 평론하며 "잘 쓰여지고, 잘 만들어지고, 잘 촬영되었다"고 묘사했지만, 결론적으로 "영화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약간 못 미치는 결과가 된다"고 말했다.[7]
6. 흥행
《Spider Forest영어》는 국내에서 흥행에 실패했다. 서울 관객은 3만 명을 조금 넘었고, 전국 총 관객 수는 83,411명에 그쳤다.[2][3] 반면 송일곤 감독에 따르면, 유럽 영화 시장에서는 여러 나라에 성공적으로 판매되었다.[2]
6. 1. 국내 흥행
국내 관객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에서 3만 명이 조금 넘는 관객을 기록했는데, 이는 2004년 서울에서 한국 영화의 평균 관객 수(30만 명)의 10분의 1에 불과한 수치이다.[2] 전국 총 관객 수는 83,411명이다.[3]6. 2. 해외 흥행
송일곤 감독에 따르면, 거미숲은 유럽 영화 시장에서 여러 해외 국가에 성공적으로 판매되었다.[2]7. 영화제 출품 및 수상
《거미숲》은 여러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수상 및 후보 경력이 있다.
영화제/시상식 | 연도 | 부문 | 결과 | 각주 |
---|---|---|---|---|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 2004년 | 황금 조개상 | 후보 | [10]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2004년 | 여우조연상 (강경헌) | 후보 | [11] |
Koreanfilm.org | 2004년 | 한국영화 톱 10 | 선정 | [12] |
7. 1. 영화제 출품
영화제명 | 연도 |
---|---|
칸 영화제 시장 | 2004년 |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 2004년 |
토론토 국제영화제 | 2004년 |
애들레이드 영화제 | 2005년 |
홍콩 국제영화제 | 2005년 |
코냑 영화제 | 2005년 |
뉴욕 한국 영화제[8] | 2005년 |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9] | 2006년 |
8. 개봉
국가 | 개봉일 | 비고 |
---|---|---|
프랑스 | 2004년 5월 13일 | 칸 영화 마켓 |
스페인 | 2004년 9월 | 산세바스티안 영화제 |
대한민국 | 2004년 9월 3일 | |
캐나다 | 2004년 9월 11일 | 토론토 국제영화제 |
오스트레일리아 | 2005년 2월 20일 | 애들레이드 영화제 |
홍콩 | 2005년 3월 25일 | 홍콩 국제영화제 |
프랑스 | 2005년 4월 8일 | 꼬냑 영화제 |
일본 | 2005년 4월 9일 | |
네덜란드 | 2006년 4월 25일 |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9] |
참조
[1]
웹사이트
Geomi sup (2004) - IMDb
https://m.imdb.com/t[...]
2018-06-28
[2]
웹사이트
Don't Forget Him When He's Cool
http://www.sensesofc[...]
[3]
웹사이트
Ranked Box-Office Results (2004)
https://web.archive.[...]
2021-04-27
[4]
웹사이트
'Spider Forest' Weaves Tangled Web
https://web.archive.[...]
2007-02-23
[5]
웹사이트
A Mystery Thriller: "Spider Forest"
https://web.archive.[...]
2007-02-23
[6]
웹사이트
A fest for the eyes
https://web.archive.[...]
2004-09-09
[7]
웹사이트
TIFF Report
https://web.archive.[...]
2006-05-22
[8]
웹사이트
Allmovie Synopsis
http://movies2.nytim[...]
[9]
웹사이트
Release Dates
https://www.imdb.com[...]
[10]
웹사이트
Awards & Nominations
https://web.archive.[...]
2008-04-25
[11]
웹사이트
Awards
https://web.archive.[...]
2007-09-30
[12]
웹사이트
Korean Cinema in 2004: Impressions and Top-Ten Lists
http://www.koreanf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