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잡이개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잡이개구리는 현생 양서류 중 유일하게 염수에서 생존할 수 있는 종으로, 바다나 기수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몸은 갈색 바탕에 고동색 무늬가 있고, 등에는 주름이 있으며 앞발의 물갈퀴는 흰색이다. 소변으로 소금물을 배설하는 기능이 발달했으며, 육식성으로 수생 곤충, 일반 곤충, 작은 물고기, 게와 같은 갑각류를 먹는다. 주로 바다와 강이 만나는 기수 지역의 맹그로브 숲에 서식하며,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식용으로 사냥되거나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구리과 - 옴개구리
    옴개구리는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좁쌀 모양 돌기와 독특한 체취로 구별되는 개구리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개구리목 - 프로살리루스
    프로살리루스는 도롱뇽과 유사한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뒷다리와 꼬리를 이용한 점프에 특화된 골격을 가진 초기 개구리로서, 긴 엉덩이뼈와 뒷다리뼈 등을 통해 현대 개구리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개구리목 - 두꺼비류
    두꺼비류는 양서류의 일종으로, 번식기에 물가로 이동하여 울음소리로 짝짓기를 하고, 올챙이에서 성체로 자라며, 피부의 돌기와 다양한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게잡이개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ejervarya cancrivora'' - 서자바 보고르
Fejervarya cancrivora - 서자바 보고르
학명Fejervarya cancrivora
명명자(그라벤호르스트, 1829)
이전 학명Rana cancrivora 그라벤호르스트, 1829
이전 학명 아종Rana cancrivora ssp. raja Smith, 1930
이전 학명Fejervarya raja (Smith, 1930)
보존 상태LC (관심 필요)
보존 상태 기준IUCN3.1
특징
서식지염분 환경

2. 특징

게잡이개구리는 현재의 신생대에 살아가는 개구리와 도롱뇽을 아우르는 양서류 중에서 유일하게 염수 환경, 즉 바다기수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종이다. 이는 다른 현생 양서류들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 염분에 적응하기 위한 독특한 생리적 기작과 그에 따른 생태적 특성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생태적 특징

게잡이개구리는 현존하는 양서류 중 유일하게 염수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종이다. 바다기수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 바탕에 고동색 무늬가 있으며, 등에는 주름이 있다. 앞발의 물갈퀴는 흰색이다. 염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른 개구리들과 달리 소변을 통해 염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능력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주로 수생 곤충이나 일반적인 곤충을 먹는다. 때로는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하며, 이름처럼 를 포함한 갑각류를 특히 선호한다.

2. 2. 생리적 특징

게잡이개구리는 현재의 신생대에 살아가는 양서류 중에서 유일하게 염수 환경, 즉 바다기수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동물이다. 이는 현생 개구리나 도롱뇽 중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특징이다. 바닷물과 같은 높은 염분 농도에 적응하기 위해, 게잡이개구리는 체내 염분을 소변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생리적 기능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 바탕에 고동색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등에는 주름이 있다. 앞발의 물갈퀴는 흰색을 띤다. 먹이는 육식성으로, 주로 수생 곤충이나 일반적인 곤충을 잡아먹는다. 때때로 작은 물고기를 사냥하기도 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와 같은 갑각류를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먹이

게잡이개구리는 육식성으로, 주로 수생 곤충이나 일반적인 곤충,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는다. 이름처럼 와 같은 갑각류도 즐겨 먹는다.[11]

3. 1. 담수 환경

게잡이개구리의 먹이는 주로 서식하는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먹이에 따라 달라진다. 담수 환경 근처에서는 곤충이 주된 먹이가 된다.[11]

3. 2. 기수 환경

게잡이개구리의 주요 서식지는 바다이 만나는 강의 하류인 기수로서 바다의 이라 부르는 맹그로브에서 주로 서식한다. 염분에 내성이 있는 나무와 수생식물이 가득한 맹그로브의 중심지를 선호하며 바다와 기수에서도 살 수가 있어 게잡이개구리를 '''바다개구리'''라고도 부른다. 게잡이개구리의 주요 서식 국가 및 지역으로는 중국동남아시아가 있다.

게잡이개구리의 먹이는 주로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먹이에 의해 결정된다. 담수 근처에서는 곤충이 주식이다. 그러나 기수 환경에서는 작은 갑각류, 특히 가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11]

4. 서식지

게잡이개구리의 주요 서식지는 바다이 만나는 강의 하류인 기수로서 바다의 이라 부르는 맹그로브에서 주로 서식한다. 염분에 내성이 있는 나무와 수생식물이 가득한 맹그로브의 중심지를 선호하며 바다기수에서도 살 수가 있어 게잡이개구리를 '''바다개구리'''라고도 부른다. 게잡이개구리의 주요 서식 국가 및 지역으로는 중국동남아시아가 있다.

5. 인간과의 관계

동남아시아에서는 게잡이개구리를 지역적으로 식용으로 사냥하며, 특히 인도네시아 자바를 포함한 지역에서는 식용 다리를 얻기 위해 사육하기도 한다.[12]

참조

[1] 간행물 Fejervarya cancrivora 2004
[2] 웹사이트 Fejervarya cancrivora http://amphibia.biot[...] 2012-12-12
[3] 논문 Amphibian community structure in Isau-Isau Wildlife Reserve, South Sumatra, Indonesia 2023
[4] 뉴스 Rare species of frog, snake in Orissa https://archive.toda[...]
[5] 논문 'Origin and Identity of Fejervarya (Anura: Dicroglossidae) on Guam' 2016
[6] 학술지 Occurrence of Amphibians in Saline Habitats: A Review and Evolutionary Perspective
[7] 학술지 Kidney function in the crab-eating frog (''Rana cancrivora'') http://jeb.biologist[...]
[8] 학술지 Water uptake by the crab-eating frog ''Rana cancrivora'', as affected by osmotic gradients and by neurohypophysial hormones http://www.jphysiol.[...] 1970-03
[9] 학술지 Morphology of the skin glands of the crab-eating frog: ''Rana cancrivora'' http://ci.nii.ac.jp/[...] 1995-10-15
[10] 학술지 Osmotic regulation in the crab-eating frog (''Rana cancrivora'') http://jeb.biologist[...] 1961
[11] 학술지 Diet of ''Rana cancrivora'' in fresh water and brackish water environments 1974-10
[12] 문서 Edible frog harvesting in Indonesia: evaluating its impact and ecological context http://eprints.jcu.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