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방은 1919년 10월 5일 실업가 김성수에 의해 경성방직주식회사로 설립된 기업이다. 197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다. 과거에는 여러 국내외 공장을 운영했으나, 2006년 본사 공장이 폐쇄되고 복합 상업 시설인 타임스퀘어로 재개발되었다. 현재는 계열사로 경방어패럴, 경방베트남 등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방 - 타임스퀘어 (서울)
타임스퀘어는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대규모 복합 쇼핑몰로, 쇼핑몰, 호텔, 영화관, 컨벤션 센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영등포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아트리움과 다양한 브랜드 매장, 공용 공간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직물 기업 - 도레이케미칼
도레이케미칼은 제일모직 경산공장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명 변경과 인수 합병을 거쳐 2019년 도레이첨단소재에 합병된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직물 기업 - 제일모직 (1954년~2014년)
제일모직은 1954년 모직 복지 제조업으로 시작하여 패션, 화학, 전자재료 산업을 이끌었으며, 갤럭시, 빈폴 등의 브랜드를 성공시키고 난연 ABS 수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둔 후 2015년 삼성물산에 합병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경제 - 조선은행
1911년 설립된 조선은행은 중앙은행으로서 금융 및 통화 시스템을 통제하고, 발권은행으로서 조선은행권을 발행하며, 일본 정부의 재정 및 전쟁 자금을 지원하고, 상업은행으로서의 기능과 해외 영업을 확장했으나, 한국 경제 착취와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을 지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일제강점기의 경제 - 동양척식주식회사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08년 일제가 한국 경제 수탈을 목적으로 설립한 국책 회사로, 토지 매매, 금융 사업 등을 통해 한국 농민을 수탈하고 일제강점기 동안 막대한 토지를 소유하다가 해방 후 미군정에 의해 몰수되었다.
경방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경방 |
원어 | Kyungbang Limite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19년 10월 5일 |
창립자 | 김성수 |
장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중로 15 (영등포동4가)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김준 (대표이사 회장) 김담 (대표이사 사장) |
산업 종류 | 방적 및 가공사 제조 및 판매업 |
주요 제품 | 면사, 면직물, 면혼방직물 |
자본금 | 13,707,635,000원 (2018.12) |
매출액 | 351,438,925,710원 (2018) |
영업이익 | 40,979,750,900원 (2018) |
순이익 | 20,189,241,082원 (2018) |
자산총액 | 1,301,792,841,122원 (2018.12) |
주주 | 김담 외 특수관계인: 58.62%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10.35% 주식회사 동아일보사: 5.61% |
종업원 | 615명 (2015.12) |
웹사이트 | 경방 공식 웹사이트 |
자회사 |
2. 역사
일제강점기인 1919년 10월 5일, 김성수가 '''경성방직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박영효가 초대 사장을 맡았다.[1] 1970년 7월 14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다.
최성기에는 영등포 본사 공장 외에 경기도 용인, 광주광역시(카네보 공장 부지), 경기도 반월, 베트남 빈즈엉 성의 5개 공장을 운영했지만, 2006년 본사 공장은 폐쇄되고 복합 상업 시설 "타임스퀘어"로 재개발되었다.[2] 이때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135호로 등록된 공장 사무실은 보존되어 현재 카페로 사용 중이다.[3] 2017년 최저 임금 인상으로 광주 공장 생산 축소를 발표했다.[4] 일본 오사카시 주오구에 지사가 있다.[5]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919년 ~ 1945년)
일제강점기인 1919년 10월 5일에 실업가 김성수에 의해 '''경성방직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1] 초대 사장은 박영효였다. 1970년 7월 14일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경방은 본사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두고 있었다. 최성기에는 영등포 본사 공장 외에도 경기도 용인, 광주(카네보 공장 부지), 경기도 반월, 베트남 빈즈엉 성 등에 5개의 공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2006년 본사 공장은 폐쇄되었고, 복합 상업 시설인 "타임스퀘어"로 재개발되었다.[2]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135호로 등록된 공장 사무실은 유일하게 보존되어 현재 카페로 사용되고 있다.[3]
2. 2. 해방 이후와 성장 (1945년 ~ 1970년)
1919년 10월 5일 일제강점기에 실업가 김성수가 '''경성방직주식회사'''를 설립했다. 초대 사장은 박영효이다. 1970년 7월 14일 회사 이름을 현재의 경방으로 변경했다.[1]경방은 최성기에 영등포 본사 공장 외에도 경기도 용인군 용인 공장, 광주광역시 광주 공장(카네보 공장 부지), 경기도 안산시 반월 공장, 베트남 빈즈엉 성 해외 공장 등 5개 공장을 운영했다. 그러나 2006년 본사 공장은 문을 닫고 복합 상업 시설인 "타임스퀘어"로 재개발되었다.[2]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된 공장 사무실 건물만 유일하게 보존되었으며, 현재는 카페가 입점해 있다.[3] 2017년에는 최저 임금 인상으로 인해 광주 공장의 생산을 축소한다고 발표했다.[4]
2. 3. 사명 변경과 사업 다각화 (1970년 ~ 현재)
1970년 7월 14일 경성방직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1]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다. 한때 영등포 본사 공장 외에도 경기도 용인, 광주광역시, 반월, 베트남 빈즈엉성에 공장을 두었으나, 2006년 본사 공장은 폐쇄 후 복합 상업 시설인 "타임스퀘어"로 재개발되었다.[2] 2017년에는 최저 임금 인상으로 광주 공장 생산을 축소한다고 발표했다.[4] 일본 오사카시 주오구에 지사를 두고 있다.[5]
2. 3. 1. 타임스퀘어 개발
1919년 10월 5일 일제강점기에 김성수가 '''경성방직주식회사'''를 설립했으며, 1970년 7월 14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1] 2006년 영등포 본사 공장은 폐쇄되어 복합 상업 시설인 "타임스퀘어"로 재개발되었다.[2]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135호로 등록된 공장 사무실은 유일하게 보존되어 현재 카페로 사용되고 있다.[3]3. 계열사
- 경방어패럴
- 경방베트남
4. 이전 계열사
- 경방유통
- 우리홈쇼핑
- 태평증권
- 경방기계
- 경방크로바
- 한강케이블TV
- 경방재팬
5.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apparelresour[...]
[2]
웹사이트
http://blog.naver.co[...]
[3]
웹사이트
https://blog.naver.c[...]
[4]
웹사이트
韓経:「100年企業」京紡、最低賃金引き上げで光州工場を海外移転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17-07-25
[5]
서적
日本帝国の申し子: 高敞の金一族と韓国資本主義の植民地起源1876-19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