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제적 잉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적 잉여는 생산과 필수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초기 경제학자들이 사용한 개념으로,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포함한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재화에 대해 지불하려는 가격과 실제 지불한 가격의 차이이며, 생산자 잉여는 판매자가 실제로 받은 가격과 판매 의사가 있었던 최소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회적 잉여는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합으로, 시장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경제학 -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주체의 모든 선택에 내재된 비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시경제학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는 3개 이상의 선택지에서 약한 파레토, 무관한 대안으로부터의 독립성, 비독재성을 모두 만족하는 사회 후생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 후생경제학 - 혼합 경제
    혼합경제는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의 요소를 결합하여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으며 정부 개입 정도, 민간 및 공공 부문 비중, 시장 및 계획경제 결합 방식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난다.
  • 후생경제학 - 경쟁법
    경쟁법은 시장 경제의 발전에 따라 등장하여 담합 금지,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금지, 기업 결합 제한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각국의 경제 상황과 디지털 경제 발전에 맞춰 발전해 온 경제 법이다.
경제적 잉여
개요
이름경제적 잉여 (Economic surplus)
유형소비자 잉여
생산자 잉여
소비자 잉여
정의소비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가격과 실제 지불 가격의 차이
발생 조건소비자가 시장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을 때
측정수요 곡선 아래, 시장 가격 위의 영역
생산자 잉여
정의생산자가 실제로 받는 가격과 최소한 받아야 하는 가격의 차이
발생 조건생산자가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할 의사가 없을 때
측정공급 곡선 위, 시장 가격 아래의 영역
사회적 잉여
정의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합
의미시장에서 발생하는 총 이익 또는 복지
극대화 조건자원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감소 요인세금
할당량
독점
그래프
경제적 잉여 그래프
경제적 잉여 그래프

2. 역사

초기 경제학자들은 생산과 필수품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잉여 개념을 사용했다. 농업 부문에서 잉여는 농업이 모든 사람과 자신을 먹여 살려야 하는 책임을 지기 때문에 특히 중요했다. 식량은 사람들이 특정량만 필요로 하고 제한된 양만 소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윌리엄 페티[4]는 필요품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를 사용하여 잉여와 관련된 고용 문제에 집중했다. 페티는 1000명 중 100명이 1000명 모두에게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가상의 예를 들었다.

데이비드 흄은 농업 잉여 개념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여, 농부들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생산할 이유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애덤 스미스는 흄의 영향을 받아 잉여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켰다. 스미스는 굶주림의 유한한 능력에 비해 사치품에 대한 욕망은 무한하다는 점에 주목했다.[4]

2. 1. 초기 경제학자들의 잉여 개념

초기 경제학자들은 생산과 필수품 간의 관계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수단으로 잉여를 사용했다. 농업 부문에서 잉여는 이 부문이 모든 사람과 자신을 먹여 살려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개념이었다. 식량은 사람들이 특정량의 음식만 필요로 하고 제한된 양만 소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잉여 식량 생산이 다른 사람에게 흘러가야 하며 합리적으로 비축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농업 부문은 농업 부문이 소비하는 양을 뺀 식량 생산량과 같아 농업 부문에 의해 제한된다.

윌리엄 페티[4]는 필요품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를 사용하여 잉여를 둘러싼 고용 문제에 집중했다. 페티는 1000명의 남자가 있고 그중 100명이 1000명 모두에게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가상의 예를 설명한다. 그는 필수품을 제공하는 데 100명만 필요하다면 나머지 남자는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다양한 고용을 제안했으며, 일부는 실업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했다.[5]

데이비드 흄은 농업 잉여 개념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다. 흄은 농업이 경작자보다 더 많은 사람에게 식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농부들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 일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그의 견해로는 봉건 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제 생산은 주목할 만한 잉여를 생성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그들이 필수품 외에 사치품 및 기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면, 잉여를 생산하고 판매할 동기가 생길 것이다. 흄은 이 개념을 추상적인 이론으로 보지 않았으며, 그의 영국사에서 외국 사치품이 도입된 후 영국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논의하면서 이를 사실로 진술했다.[4]

애덤 스미스의 잉여에 대한 생각은 흄에 영향을 받았다. 스미스는 굶주림의 유한한 능력에 비해 사치품에 대한 욕망은 무한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스미스는 유럽의 발전이 정치 권력보다는 사치품 소비에 더 중요성을 두는 지주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았다.[4]

2. 2. 한국 역사에서의 잉여

초기 경제학 저술가들은 생산과 필수품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잉여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농업 부문에서 잉여는 특히 중요한 개념이었는데, 이는 농업 부문이 모든 사람과 자신을 먹여 살려야 하는 책임을 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식량은 사람들이 특정량의 음식만 필요로 하고 제한된 양만 소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잉여 식량 생산이 다른 사람에게 흘러가야 하며 합리적으로 비축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농업 부문은 농업 부문이 소비하는 양을 뺀 식량 생산량과 같아 농업 부문에 의해 제한된다.

윌리엄 페티[4]는 필요품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를 사용하여 잉여를 둘러싼 고용 문제에 집중했다. 페티는 1000명의 남자가 있고 그중 100명이 1000명 모두에게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가상의 예를 설명한다. 문제는 필수품을 제공하는 데 100명만 필요하다면 나머지 남자는 무엇을 할 것인가이다. 그는 따라서 실업 상태로 남아 있는 일부와 함께 다양한 고용을 제안했다.[5]

데이비드 흄은 농업 잉여 개념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다. 흄은 농업이 경작자보다 더 많은 사람에게 식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농부들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 일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봉건 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제 생산은 그의 견해로는 주목할 만한 잉여를 생성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그들이 필수품 외에 사치품 및 기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면, 잉여를 생산하고 판매할 동기가 생길 것이다. 흄은 이 개념을 추상적인 이론으로 보지 않았으며, 그의 영국사에서 외국 사치품이 도입된 후 영국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논의하면서 이를 사실로 진술했다.[4]

애덤 스미스의 잉여에 대한 생각은 흄에 영향을 받았다. 스미스는 굶주림의 유한한 능력에 비해 사치품에 대한 욕망은 무한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스미스는 유럽의 발전이 정치 권력보다는 사치품 소비에 더 중요성을 두는 지주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았다.[4]

3. 소비자 잉여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에 대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유보 가격)과 실제 지불한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경제생활에서 흥정의 기본 기술은 실제보다 잉여의 양을 적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판매자는 이익이 별로 남지 않는다고 할 것이고, 구매자는 구입하기 위해 얼마나 애를 써야 하는지 열심히 설명한다.

만약 소비자가 어떤 상품의 한 단위를 현재 제시된 가격보다 더 지불할 의사가 있다면, 구매한 제품으로부터 더 많은 이점을 얻는 것이다. 왜냐하면 상품 획득이라는 동일한 이점을 더 적은 비용으로 얻기 때문이다.[6] 일반적으로 소비자 잉여가 높은 상품의 예로는 식수가 있다. 사람들은 생존에 필요하기 때문에 식수에 매우 높은 가격을 지불할 것이며, 만약 지불해야 한다면 지불했을 가격과 현재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가 소비자 잉여이다. 처음 몇 리터의 식수의 효용은 매우 높으므로(죽음을 방지), 처음 몇 리터는 그 이후의 수량보다 더 많은 소비자 잉여를 가질 것이다.

경제학 분야에서 이 개념을 널리 알린 사람은 앨프레드 마셜이지만, 경제적 잉여에 대한 개념은 19세기 중반 쥘 뒤퓌가 처음 제시했다.

3. 1. 소비자 잉여의 계산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가격과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수요와 공급 다이어그램에서 소비자 잉여는 재화의 균형 가격 위, 수요 곡선 아래에 있는 면적(수요 및 공급 곡선이 선형인 경우 삼각형)으로 나타난다.[6]

수요곡선이 직선인 경우, 소비자 잉여(CS)는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CS = \frac{1}{2} Q_{mkt} \left( {P_{max} - P_{mkt}} \right)

  • Pmkt는 균형가격
  • Qmkt는 균형가격 하에서의 구매량(또는 판매량)
  • Pmax는 구매하는 사람이 전혀 없는 최고가격 (수요곡선상에서 그래프의 Y축인 가격 부분에 닿는 지점, 거래량은 0)


일반적인 수요함수에 대해서 소비자 잉여는 다음과 같은 정적분식으로 구할 수 있다.

:CS = \int^{P_{max}}_{P_{mkt}} D(P)\, dP

D영어(Pmax) = 0. 이는 균형 가격 상승과 균형 수량 감소를 관찰하면 소비자 잉여가 감소함을 보여준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가격과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를 보여준다. 만약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현재 가격보다 더 지불할 의사가 있다면, 그들은 그 상품으로부터 더 많은 이점을 얻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동일한 이점을 더 적은 비용으로 얻기 때문이다.[6]

3. 2. 소비자 잉여의 변화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유보 가격)과 실제 지불한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첫 번째 상품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고, 두 번째 상품에 대해서는 약간 낮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식으로, 구매량이 늘어날수록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은 점점 낮아진다. 따라서 개별 소비자의 수요 곡선은 우하향하는 형태를 띤다. 수많은 소비자의 수요를 합한 총수요 곡선 역시 완만한 우하향 곡선이 된다.

'''개별 소비자 잉여'''는 수요 곡선 아래, 가격선 위의 면적으로 계산된다. 모든 개별 소비자 잉여를 합하면 '''총 소비자 잉여'''가 되며, 이는 그래프에서 수요 곡선 아래, 가격선 위의 붉은색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요 곡선이 직선인 경우, 소비자 잉여(CS)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CS = \frac{1}{2} Q_{mkt} \left( {P_{max} - P_{mkt}} \right)

여기서 Pmkt는 균형 가격, Qmkt는 균형 가격에서의 구매량, Pmax는 구매자가 없는 최고 가격(수요 곡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수요 함수에서 소비자 잉여는 다음 정적분 식으로 구할 수 있다.

:CS = \int^{P_{max}}_{P_{mkt}} D(P)\, dP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가격과 실제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어떤 상품에 대해 현재 가격보다 더 지불할 의사가 있다면, 그들은 그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더 큰 이점을 얻는 것이다. 동일한 효용을 더 적은 비용으로 얻는 것이기 때문이다.[6] 소비자 잉여가 높은 대표적인 상품은 식수이다.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식수에 매우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며,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과의 차이가 소비자 잉여가 된다. 처음 몇 리터의 식수는 매우 높은 효용을 가지므로, 이후의 물보다 더 큰 소비자 잉여를 갖는다.

소비자는 주어진 가격에서 소비자 잉여가 최대가 되는 양을 구매한다. 소비자 잉여는 마지막 단위를 포함하여 최대 지불 의사가 시장 가격보다 높을 때 가장 크다.

소비자 잉여는 로버트 윌리히(Robert Willig)에 의해 사회 후생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8] 단일 가격 변동의 경우, 소비자 잉여는 후생 변화를 근사할 수 있다.

소비자 잉여의 변화는 가격과 소득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어떤 상품에 대한 개인의 수요 함수는 가격 변화의 영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개인의 수요 함수는 소득, 인구 통계학적 특성, 상품 가격 벡터의 함수이다. 상품 가격이 변하면 소비자 잉여의 변화는 개인의 상품 수요에 대한 원래 가격(''P''0)과 새로운 가격(''P''1) 사이의 적분 값의 음수로 측정된다. 소비자 잉여 변화가 양수이면 가격 변화가 개인의 후생을 증가시킨 것이고, 음수이면 후생을 감소시킨 것이다.[6]

3. 3. 가격 하락 시 소비자 잉여 분배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가격과 실제 지불한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만약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현재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구매할 의향이 있다면, 그들은 그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더 큰 이익을 얻는 것이다. 왜냐하면 동일한 상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6]

상품의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하락하고(수요 곡선이 우하향한다고 가정할 때), 소비자 잉여는 증가한다. 이는 두 그룹의 사람들에게 이익을 준다.

  • 기존 소비자: 이미 상품을 구매하고 있던 사람들은 가격 하락으로 인해 이익을 얻는다. 이들은 더 많은 상품을 구매하고 더 큰 소비자 잉여를 누릴 수 있다.
  • 신규 소비자: 가격이 비싸서 구매하지 못했던 사람들은 가격이 하락하면서 새롭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고, 소비자 잉여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최초 공급 곡선 S0에서 소비자 잉여는 가격 P0 위쪽의 삼각형 부분이었다. 공급이 S0에서 S1으로 증가하면, 소비자 잉여는 P1 위쪽의 더 큰 삼각형으로 확장된다. 소비자 잉여의 변화는 이 두 삼각형의 면적 차이이며, 이것이 공급 확대로 인한 소비자 후생의 증가분이다.

기존 소비자들의 이익은 P0와 P1 사이의 직사각형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새롭게 구매를 시작한 소비자들의 소비자 잉여는 Q0 오른쪽에 위치한 삼각형으로 표현된다.

3. 4. 2분의 1 규칙

소비자 수요 곡선이 선형인 경우, 소비자 잉여는 수직선 ''Q'' = 0, 수평선 P = P_\mathrm{mkt} 및 선형 수요 곡선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면적이다. 2분의 1 규칙은 수요 곡선이 일정할 때 공급의 작은 변화에 따른 소비자 잉여의 변화를 추정한다. 소비자 잉여의 변화는 i) 높이가 가격 변화와 같고 ii) 중간 세그먼트 길이가 사후 및 사전 균형 수량의 평균과 같은 사다리꼴의 면적이다.

:\Delta CS = \frac{1}{2} (Q_1 + Q_0)(P_0 - P_1),

여기서:

  • CS = 소비자 잉여
  • ''Q''0 및 ''Q''1은 각각 공급 변화 전후의 수요량
  • ''P''0 및 ''P''1은 각각 공급 변화 전후의 가격

4. 생산자 잉여

표준적인 수요와 공급 곡선 그림에서 생산자 잉여(PS)는 가격선과 생산 곡선 사이의 아래쪽 삼각형 부분이다(푸른 색 부분).[1] 재화의 판매자는 실제로 받은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그것을 판매할 의사가 있다.[2] 그러므로 수요 곡선과 소비자 잉여에 거의 정확하게 대응되는 공급 곡선과 생산자 잉여를 구할 수 있다.[2]

경제생활에서 흥정의 기본 기술은 실제보다 잉여의 양을 적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판매자는 이익이 별로 남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1]

마르크스경제학에서 '잉여(surplus)'라는 개념은 초과 가치(surplus value) 또는 초과노동(surplus labor)을 뜻하기도 한다.[1]

4. 1. 생산자 잉여의 계산

재화의 판매자는 실제로 받은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판매할 의사가 있다. 수요곡선과 소비자 잉여에 대응되는 공급 곡선과 생산자 잉여를 구할 수 있다. 공급 곡선은 우상향한다.

'''개별생산자잉여'''는 재화를 판매하여 판매자가 얻는 순이익으로, 실제 받은 금액과 생산(또는 구입)에 들어간 비용의 차액과 같다. '''총생산자잉여'''는 각 개별 생산자들의 잉여의 합이다. 경제학에서 생산자 잉여라고 할 때는 개별생산자잉여와 총생산자잉여를 구분하지 않고 쓸 때가 많으며, 소비자 잉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적은 수의 생산자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생산자의 공급 곡선이 계단 형태를 취하지만, 많은 생산자가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부드러운 곡선 모양을 한다. 개별 생산자 잉여든 총 생산자 잉여든 공급 곡선의 위, 가격선 아래의 면적과 같다.
생산자 잉여
생산자 잉여를 구하는 공식은 소비자 잉여를 구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수요-공급 다이어그램에서 생산자 잉여는 균형 가격 아래, 공급 곡선 위에 있는 면적이다. 이는 생산자가 균형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첫 번째 단위를 공급하려 했을 것이고, 그보다 높지만 여전히 균형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두 번째 단위를 공급하려 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판매하는 모든 단위에 대해 균형 가격을 받는다.

생산자 잉여는 생산 요소의 소유주와 제품 공급자가 생산, 제품의 공급 가격, 그리고 현재 시장 가격 간의 차이로 인해 생산자에게 가져다주는 추가적인 이익을 의미한다. 즉, 시장 거래에서 실제로 얻은 금액과 생산 요소 또는 제공된 제품에 대해 기꺼이 받아들일 최소 금액 간의 차이를 말한다.

생산자 잉여는 일반적으로 시장 가격선 아래와 공급 곡선 위의 면적으로 표현된다. 그림에서 가격선 아래와 생산량 0에서 최대 생산량 Q1 사이의 공급 곡선 위의 음영 영역은 생산자 잉여를 나타낸다. 이 중 가격선 아래의 OP1EQ1은 총 수입이 제조업체가 실제로 수락하는 최소 총 지급액임을 나타낸다. S 곡선 아래의 OPMEQ1 면적은 제조업체가 기꺼이 수락하려는 최소 총 수입이다. 그림에서 시장 가격선, 제조업체의 공급선 및 좌표축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생산자 잉여이다. 직사각형 OP1EQ1은 실제로 제조업체가 얻는 총 수입(A + B)이고, 사다리꼴 OPMEQ는 제조업체가 기꺼이 수락하려는 최소 총 이익(B)이므로 A는 생산자 잉여이다.

제조업체는 시장 가격 P1에서 특정 수량의 Q1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한다. 제조업체는 Q1에 대한 상품 수량을 줄였으며, 이는 제조업체가 AVC·Q1의 양에 해당하는 생산 요소 또는 생산 비용을 증가시켰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시에 제조업체는 총 시장 가격 P1·Q1에 해당하는 총 수입을 실제로 얻는다. AVC는 항상 P1보다 작기 때문에 Q1의 상품 생산 및 판매를 통해 제조업체는 변동 비용에 해당하는 판매 수입을 얻을 뿐만 아니라 추가 수입도 얻는다. 이 초과 수입 부분은 시장 교환을 통해 제조업체가 얻는 이점의 증가를 반영한다. 따라서 경제학에서 생산자 잉여는 일반적으로 생산자 후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사회 후생의 중요한 부분이다.

생산자 잉여는 일반적으로 시장 공급에서 제조업체가 얻는 경제적 후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공급 가격이 일정하면 생산자 후생은 시장 가격에 달려 있다. 제조업체가 제품을 최고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다면 후생이 가장 크다. 사회 후생의 일부로서 생산자 잉여의 크기는 많은 요인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요인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시장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자 잉여가 증가하고, 공급 가격 또는 한계 비용이 감소하면 생산자 잉여도 증가한다. 상품 과잉이 있는 경우, 즉 사람들이 시장 가격으로 상품의 일부만 판매할 수 있는 경우 생산자 잉여가 감소한다.

시장의 모든 제조업체의 생산자 잉여의 합은 전체 시장의 생산자 잉여를 구성한다. 그래프로 나타내면 시장 공급 곡선, 시장 가격선 및 좌표축으로 둘러싸인 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5. 사회적 잉여 (총잉여)

표준적인 수요공급곡선 그림에서 소비자 잉여(CS)는 가격선과 수요곡선 사이의 위쪽 삼각형 부분(붉은색 부분)이고, 생산자 잉여(PS)는 가격선과 생산곡선 사이의 아래쪽 삼각형(푸른색 부분)이다. 정부가 세금이나 보조금 등으로 시장에 개입하면, 수요공급 그래프는 더 복잡해지고 정부 잉여 부분도 나타난다. 이 세 잉여를 합한 것을 사회적 잉여 또는 총 잉여라고 부른다. 총 잉여는 후생경제학에서 특정 정책의 효율성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수단이 된다.

경제생활에서 흥정의 기본 기술은 실제보다 잉여의 양을 적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판매자는 이익이 별로 남지 않는다고 하고, 구매자는 구입하기 위해 얼마나 애를 써야 하는지 설명한다.

마르크스경제학에서 '잉여(surplus)'라는 개념은 초과 가치(surplus value) 또는 초과 노동(surplus labor)을 뜻하기도 한다. 경제적 잉여 개념은 19세기 중반 쥘 뒤퓌가 처음 제시했지만, 경제학 분야에서 이 개념을 널리 알린 사람은 앨프레드 마셜이었다.

표준적인 수요와 공급 다이어그램에서 소비자 잉여는 재화의 균형 가격 위, 수요 곡선 아래에 있는 면적(수요 및 공급 곡선이 선형인 경우 삼각형)이다. 이는 소비자가 균형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재화의 한 단위를 구매하려 했을 것이고, 그보다 낮지만 여전히 균형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두 번째 단위를 구매하려 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구매하는 각 단위에 대해 단지 균형 가격만 지불한다.

마찬가지로, 수요-공급 다이어그램에서 생산자 잉여는 균형 가격 아래, 공급 곡선 위에 있는 면적이다. 이는 생산자가 균형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첫 번째 단위를 공급하려 했을 것이고, 그보다 높지만 여전히 균형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두 번째 단위를 공급하려 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판매하는 모든 단위에 대해 균형 가격을 받는다.

생산자 잉여는 생산 요소의 소유주와 제품 공급자가 생산, 제품의 공급 가격, 그리고 현재 시장 가격 간의 차이로 인해 생산자에게 가져다주는 추가적인 이익을 의미한다. 시장 거래에서 실제로 얻은 금액과 생산 요소 또는 제공된 제품에 대해 기꺼이 받아들일 최소 금액 간의 차이를 말한다.

5. 1. 대한민국에서의 사회적 잉여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가격과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를 뜻한다. 예를 들어, 생존에 필수적인 식수는 소비자 잉여가 매우 높은 상품이다. 사람들은 식수에 매우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지불해야 한다면 지불했을 가격과 현재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가 바로 소비자 잉여가 된다.[6]

소비자가 주어진 양의 상품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금액은 첫 번째 단위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가격, 두 번째 단위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더 낮은) 최대 가격 등의 합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격은 감소하는데, 이는 수요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요 곡선은 우하향하므로 한계 효용이 체감한다. 즉, 사람이 상품을 추가로 얻을수록 그로부터 얻는 추가 효용은 감소한다.[6] 그러나 제품의 가격은 평형 가격에서 모든 단위에 대해 일정하다. 소비자는 평형 수량 미만의 제품에 대해 평형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고, 이 차액이 바로 소비자 잉여가 된다.[7]

소비자 잉여는 로버트 윌리히(Robert Willig)에 의해 사회 후생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8] 단일 가격 변동의 경우, 소비자 잉여는 후생 변화를 근사할 수 있다.

총 소비자 잉여는 모든 개별 소비자의 소비자 잉여를 합한 것이다. 이는 시장 수요 및 공급 곡선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소비자가 특정 상품 및 서비스로부터 얻는 만족의 극대값이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e Concept of Economic Surplus 1945
[2] 웹사이트 Consumer and producer surplus{{!}}Microeconomics{{!}}Khan Academy https://www.khanacad[...]
[3] 웹사이트 Economic efficiency (article) https://www.khanacad[...] 2023-07-15
[4] 간행물 Surplus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London 2008
[5] 논문 The Economic Writings of Sir William Petty http://dx.doi.org/10[...] 1899-11-11
[6] 서적
[7] 웹사이트 What a Consumer Surplus Tells Us https://www.investop[...]
[8] 논문 Consumer's Surplus Without Apology https://www.jstor.or[...]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