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제특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특구는 각 국가별로 다르게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지리적으로 제한된 구역으로, 단일 관리, 세금 감면, 간소화된 절차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1950년대 후반 아일랜드에서 처음 등장한 현대적 개념으로, 1970년대 이후 라틴 아메리카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중국은 1979년 선전 경제 특구를 시작으로 경제 특구를 통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산업화를 가속화했다. 경제특구는 자유 무역 지대, 수출 가공 지역 등 다양한 유형으로 운영되며,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고용 창출, 수출 증진 등 경제 성장에 기여한다. 그러나 초국가적 범죄와 테러 단체의 악용, 일자리와 지역 노동 시장의 불일치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특구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경제특구 - 경제자유구역
    경제자유구역은 무역, 환적, 재수출을 위한 무관세 지역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와 고용 창출에 기여하지만 노동 조건 악화 및 조세 회피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영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 인민공사
    인민공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농업 생산성 증대와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농촌 생활 전반을 통제했던 집단화 체제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 개성공업지구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상징으로 시작되어 북한 경제에 기여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운영 중단과 폐쇄를 반복하다 2016년 최종 폐쇄된, 성공과 리스크, 논쟁을 동시에 가진 복잡한 사업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 길주종이공장
    길주종이공장은 일제강점기 목재 가공 공장으로 설립되어 해방 후 종이 공장으로 전환된 북한의 제지 공장으로, 김일성 지시 이후 각종 종이를 생산하며 로동신문 용지를 공급하고 교과서 용지, 공책 용지, 스케치북 용지, 신문 용지 등을 생산한다.
경제특구
지도 정보
개요
종류수출 가공 구역
자유 무역 구역
자유 경제 구역
산업 단지
경제 개발 구역
첨단 기술 산업 개발 구역
종합 개발 구역
목적
목표투자 유치
고용 창출
수출 증대
기술 혁신
경제 성장 촉진
특징세금 감면 또는 면제
간소화된 수출입 절차
규제 완화
저렴한 노동력
잘 갖춰진 기반 시설
국가별 경제특구
대한민국경제자유구역
중화인민공화국경제특구
러시아특별 경제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경제 개발 구역
관련 개념
관련 용어자유항
역외 금융 센터
세금 피난처
유사 개념자유 무역 협정

2. 정의

경제 특구의 정의는 각 국가별로 개별적으로 결정된다. 세계 은행에 따르면, 2008년 현대의 경제 특구는 일반적으로 "지리적으로 제한된 구역으로, 보통 물리적으로 보안이 유지되고(울타리가 쳐져 있음), 단일 관리 또는 행정, 구역 내 물리적 위치에 따른 혜택 자격, 별도의 관세 구역(무관세 혜택) 및 간소화된 절차"를 포함한다.[2]

3. 역사

미국은 경제 개발을 위해 오랫동안 자국 영토에 특별 경제 규정을 적용해 왔다. 푸에르토리코에 대한 Section 936 법인세 면제는 1940년대 부트스트랩 작전으로 시작되어 2006년에 종료되었다.[3] 미국 영토의 연방 최저 임금은 과거 주보다 낮았으며, 2024년 현재 아메리칸 사모아는 전국 최저 임금으로 인상 조정 중이다.[4]

현대적인 경제 특구는 1950년대 후반부터 산업 국가에서 등장했다. 최초의 경제 특구는 아일랜드 공화국클레어주의 섀넌 공항에 있었다.[5]

1970년대부터 라틴 아메리카와 동아시아를 시작으로 노동 집약적 제조업을 제공하는 구역이 설립되었다. 1979년 덩샤오핑의 중국 개방 이후 중국 최초의 경제 특구는 선전 경제 특구로,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고 동시에 이 지역의 산업화를 가속화했다.[6] 이러한 구역은 다국적 기업의 투자를 유치했으며[14] 수출 지향적인 중국 기업이 외국 시장의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했다.[6] 중국은 경제 특구와 특정 개방 해안 지역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 특구 대부분은 과거 조약 항구에 위치하고 있어 굴욕의 세기 이후 외국과의 관계에서 "운명의 역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6]

수많은 아프리카 국가가 중국과 연계하여 경제 특구를 설립했으며,[16] 1990년부터 2018년까지 나이지리아(2개), 잠비아, 지부티, 케냐, 모리셔스, 모리타니, 이집트, 알제리에 경제 특구를 설립했다.[7] 일반적으로 중국 정부는 중국 기업이 이러한 구역을 설립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중국 아프리카 개발 기금을 통한 지원을 포함하여 보조금, 대출 및 보조금 형태로 지원을 제공하지만,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은 이러한 경제 특구를 적극적으로 홍보한다.[7]

최소한 2024년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가 경제 특구를 개발하고 늘리는 추세가 있다.[8] 2015년부터 태국은 10개의 경제 특구를 개발했다.[8] 2024년 현재, 인도네시아는 13개의 경제 특구를, 필리핀은 12개의 경제 특구를, 캄보디아는 31개의 경제 특구를 보유하고 있다.[8]

4. 유형

경제특구[10][11]라는 용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14][12]


  • 자유 무역 지대 (FTZ)
  • 수출 가공 지역 (EPZ)
  • 자유 경제 구역 (FZ/ FEZ)
  • 산업 단지 / 지구 (IE)
  • 자유 항
  • 보세 물류 단지 (BLP)
  • 도시 기업 구역


세계은행 특별 경제 구역 유형[2]
유형목표크기일반적인 위치일반적인 활동시장
FTZ무역 지원50ha 미만입국 항구중계 무역 및 무역 관련국내, 재수출
EPZ (전통적인)수출 제조100ha 미만없음제조, 가공대부분 수출
EPZ (단일 단위/자유 기업)수출 제조최소 없음전국제조, 가공대부분 수출
EPZ (하이브리드)수출 제조100ha 미만없음제조, 가공수출, 국내
자유 항/SEZ통합 개발1000ha 초과없음다목적내부, 국내, 수출
도시 기업 구역도시 활성화50ha 미만도시/농촌다목적국내


5. 경제적 효과

경제특구(SEZ)는 설립된 지역의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경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몇 가지 주요 이점을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효과 중 하나는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치이다.[9] 세금 감면, 간소화된 규제 및 향상된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경제특구는 투자를 원하는 외국 기업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9] 이러한 자본 유입은 물류, 운송, 서비스와 같은 관련 부문과 경제특구 내에서 일자리 창출을 포함하여 상당한 경제 활동을 창출할 수 있다.[9]

경제특구는 해당 지역의 경제 생산량 증가를 반영하여 지역 총생산(GRP)의 1인당 성장을 이끌 수 있다.[9] 이와 유사하게, 더 높은 개인 소득 수준에 기여하고 자본과 전문 지식을 모두 가져오는 더 많은 FDI 프로젝트를 유치할 수 있다.[9] 이러한 경제적 개선은 지역 인구의 더 높은 생활 수준에 기여할 수 있다.[9]

경제특구는 투자를 유치하는 것 외에도 고용 창출에 매우 중요하다.[9] 이 구역에 사업을 설립하는 기업은 근로자를 필요로 하며, 이는 지역 인구의 일자리 증가로 이어집니다.[9] 이는 차례로 주변 지역 사람들의 더 높은 소득 수준과 더 나은 생활 수준으로 이어질 수 있다.[9] 그러나 경제특구의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가 항상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9] 예를 들어, 경제 성장을 가져옴에도 불구하고 경제특구는 일자리 창출과 지역 노동 시장의 요구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실업률을 크게 감소시키지 못할 수 있다.[9]

경제특구는 또한 수출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이 지역에서 운영되는 많은 기업은 국제 시장을 위한 상품 제조에 집중하여 국가의 수출을 증가시키고 무역 수지를 개선하며 외환 수입을 창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9]

6. 문제점 및 과제

경제특구는 산업화 경제의 다른 시설과 다르지 않다. 세계화된 경제가 사용하는 다른 기술과 마찬가지로, 국내 행위자가 아닌 다른 행위자들의 과실이 존재한다. 초국가적 범죄 조직과 테러 단체는 경제특구와 규제 부족을 악용해 왔다.[13]

7. 각국의 경제 특구

1: 샤먼, 2: 산터우, 3: 선전, 4: 주하이, 5: 하이난성
A: 홍콩, B: 마카오]]

1979년 선전(홍콩 인접), 주하이(마카오 인접), 산터우(화교 교류 밀접), 샤먼(타이완 맞은편) 4곳이 지정되었고, 1988년에는 하이난성 전체가 경제특구로 지정되었다.

경제특구는 수출 가공구 역할뿐 아니라 금융, 관광,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외자 유치를 위한 세제 우대 조치가 시행되었다. 이는 타이완 자본이나 홍콩 자본의 생산 거점 이동을 유도했다. 경제특구는 역내외 왕래가 엄격하게 관리되어 일반 중국인의 자유로운 왕래가 제한되며, 선전에서는 홍콩 신문을 구할 수 있는 등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다.

1984년 상하이 등 14개 연해 도시가 경제기술개발구로 지정되었고, 이후 개방 정책이 내륙으로 확대되면서 경제특구의 존재 의의가 옅어졌지만, 선전과 같이 홍콩에 버금가는 하이테크 도시를 배출하는 등 중국의 고도 성장을 뒷받침했다.

중국의 개방 정책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경제특구와 기타 지역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경제특구는 다른 경제 지역과 달리 외자로부터 2차 산업뿐만 아니라 3차 산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1년 12월 라진·선봉 경제특구를 설정하였다.


  • 일본
  • * 구조 개혁 특별 구역
  • * 종합 특별 구역
  • * 국가 전략 특별 구역

  • 세네갈
  • * 디아스 일계 기업 전용 경제 특구

  • 아랍 에미리트
  • * 제벨 알리 자유 구역

  • 러시아
  • * 칼리닌그라드

  • 필리핀
  • * 수빅 경제 특별구역
  • * 클라크 경제 특별구역

  • 캄보디아
  • * 프놈펜 경제 특별구역

  • 라오스
  • * 사반-세노 경제 특별구역

7.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이라는 이름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 등 6군데의 경제특구가 있으며 경제자유구역기획단에서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다.

7. 2.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특구(징지터취/經濟特區중국어)는 1978년 개혁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설치되었으며, 1980년대덩샤오핑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 외국 자본과 기술 도입을 위해 특별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외국 기업 진출, 공업, 상업, 금융업 등이 발전했다.

1979년 선전(홍콩 인접), 주하이(마카오 인접), 산터우(화교 교류 밀접), 샤먼(타이완 맞은편) 4곳이 지정되었고, 1988년에는 하이난성 전체가 경제특구로 지정되었다.

경제특구는 수출 가공구 역할뿐 아니라 금융, 관광,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외자 유치를 위한 세제 우대 조치가 시행되었다. 이는 타이완 자본이나 홍콩 자본의 생산 거점 이동을 유도했다. 경제특구는 역내외 왕래가 엄격하게 관리되어 일반 중국인의 자유로운 왕래가 제한되며, 선전에서는 홍콩 신문을 구할 수 있는 등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다.

1984년 상하이 등 14개 연해 도시가 경제기술개발구로 지정되었고, 이후 개방 정책이 내륙으로 확대되면서 경제특구의 존재 의의가 옅어졌지만, 선전과 같이 홍콩에 버금가는 하이테크 도시를 배출하는 등 중국의 고도 성장을 뒷받침했다.

중국의 개방 정책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경제특구와 기타 지역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경제특구는 다른 경제 지역과 달리 외자로부터 2차 산업뿐만 아니라 3차 산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7.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1년 12월 라진·선봉 경제특구를 설정하였다.

7. 4. 일본

7. 5. 기타 국가

참조

[1] 뉴스 Sackings expose the harsh reality of Poland's junk job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7-23
[2] 간행물 Special Economic Zone: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 for Zone Development World Bank 2016-09-16
[3] 웹사이트 US Multinationals in Puerto Rico and the Repeal of Section 936 Tax Exemption for U.S. Corporations https://www.nber.org[...]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7-08
[4] 웹사이트 Federal Minimum Wage in American Samoa by Industry https://www.dol.gov/[...] 2024-09-19
[5] 뉴스 Political priority, economic gamble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5-04-04
[6] 서적 Sovereign Funds: How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Finances its Global Ambition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8] 서적 The Ripple Effect: China's Complex Presence in South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9]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pecial economic zon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erritories https://dergipark.or[...] 2017
[10] 문서 УПРАВЛЕНИЕ ОСОБЫМИ ЭКОНОМИЧЕСКИМИ ЗОНАМИ СУБЪЕКТА https://elibrary.ru/[...]
[11] 문서 Destruction of the Resident Enterprise in the Special Economic Zone with Sanctions https://ieeexplore.i[...] IEEE
[12] 간행물 Economic Zones in the ASEAN https://www.unido.or[...]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2016-09-16
[13] 보고서 Latin American Special Economic Zones and Their Impacts on Regional Security https://apps.dtic.mi[...] 2023-12-10
[14] 웹사이트 Special Economic Zones Progress, Emerging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https://openknowledg[...]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The World Bank 2014-05-25
[15] 웹사이트 Goldman Sachs says reforms to create 110 mn jobs for economy in 10 yrs http://www.businesst[...] 2016-07-20
[16] 웹사이트 Special economic zones and regional integration in Africa http://www.tralac.or[...] Trade Law Center 2014-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