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수 (선형대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수는 선형대수학에서 선형 변환 또는 행렬의 중요한 속성으로, 선형 변환의 상의 차원 또는 행렬의 열공간(또는 행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 체 K 위의 벡터 공간 V에서 V로의 선형 변환 T의 계수는 T(V)의 차원이며, m×n 행렬 A의 계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되며 열공간, 행공간, 열벡터의 선형 독립 집합, 행벡터의 선형 독립 집합, 0이 아닌 소행렬식의 최대 차수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형 사상의 계수는 상의 차원으로 정의되며, 계수-퇴화 차수 정리가 성립한다. 계수는 가우스 소거법, 특이값 분해, QR 분해 등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선형 방정식의 해의 개수, 제어 가능성 및 관측 가능성, 통신 복잡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계수 (선형대수학) | |
---|---|
정의 | |
정의 | 행렬의 열 공간의 차원 |
기호 | rank(A) rk(A) rank A |
속성 | |
행렬의 계수 | 행 공간의 차원과 같음 |
계산 | 가우스 소거법을 사용하여 계산 가능 |
선형 방정식 | 선형 방정식의 해 공간과 관련됨 |
영어 | |
영어 명칭 | rank |
2. 정의
체 위의 벡터 공간 위의 선형 변환 의 '''계수''' 는 의 상의 차원이다.
:
체 위의 행렬 의 '''계수''' 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서로 동치이다.
- 열벡터의 왼쪽에 를 곱하는 선형 변환 의 계수. 즉, 열공간의 차원.
- :
- 행벡터의 오른쪽에 를 곱하는 선형 변환 의 계수. 즉, 행공간의 차원.
- :
- 열벡터 집합의 극대 선형 독립 집합의 원소 개수. 즉, 열벡터로 이루어진 선형 독립 집합 가운데, 열벡터를 하나라도 더 추가하면 선형 종속 집합이 되는 것의 원소 개수. 이러한 집합은 항상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집합들의 원소 개수는 항상 같다.
- :
- 행벡터 집합의 극대 선형 독립 집합의 원소 개수.
- :
- 0이 아닌 소행렬식의 최대 차수
- :
2. 1. 선형 사상의 계수
체 위의 벡터 공간 에서 로의 선형 사상 의 '''계수'''(rank)는 의 상 의 차원으로 정의된다.[6][7][8][9] 나 가 유한 차원이라면, 행렬 표현을 통해 는 표현 행렬 의 공액류에 대응된다. 이때, 선형 사상의 계수와 행렬의 계수는 다음 관계를 갖는다.:
이는 정칙 행렬을 곱하는 것에 대해 불변이므로, 표현 행렬 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벡터 공간 , 에 대해 가 차원일 때, 선형 사상 의 계수는 이하이다. 만약 이면, 선형 사상 는 '''비퇴화'''(non-degenerate, full rank)라고 불린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 는 에 의해 으로 사상되는 원소만큼 "뭉개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선형 사상 의 핵
:
의 차원 를 의 '''퇴화 차수'''라고 부르며, 나 등으로 나타낸다. 다음의 '''계수-퇴화 차수 공식'''이 성립한다.
:
3. 성질
- 행렬의 계수는 음이 아닌 정수이며 이하이다.
- 영행렬의 계수는 0이다.
- 가 나타내는 선형 사상이 단사 함수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가 나타내는 선형 사상이 전사 함수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가 정사각 행렬일 때, 가 가역 행렬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행렬의 곱의 계수는 각 행렬의 계수의 최솟값을 넘지 않는다. 즉, 행렬 및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프로베니우스 부등식(프로베니우스 부등식): 행렬 및 행렬 및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실수체 위의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operatorname{rank}(A^\operatorname TA)=\operatorname{rank}(AA^\operatorname T)
- 복소수체 위의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operatorname{rank}(A^*A)=\operatorname{rank}(AA^*)
3. 1. 계수-퇴화차수 정리
체 위의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의 계수-퇴화차수 정리(en)가 성립한다.:
계수-퇴화차수 정리는 선형 매핑의 계수는 에서 의 커널의 차원을 뺀 값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벡터 공간 에 대해 가 차원이라고 하면, 선형 사상 의 계수는 이하이다. 실제로, 이 될 때, 선형 사상 는 '''비퇴화'''(en)라고 한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상 는 에 의해 으로 사상되는 원소만큼 "뭉개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선형 사상 의 핵
:
의 차원 를 의 '''퇴화 차수'''라고 부른다. 의 퇴화 차수는 등으로 나타낸다. 다음 공식
:
가 성립하며, '''계수와 퇴화 차수의 관계식''' 또는 간단히 '''계수-퇴화 차수 공식''' 등으로 불린다.[1]
4. 계산
가우스 소거법은 행렬의 계수를 계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이다. 가우스 소거법을 통해 행렬을 행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어도 계수는 변하지 않는다. 이때 0이 아닌 행의 개수가 행렬의 계수가 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4×4 행렬을 보자.
:
이 행렬에서 첫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은 선형독립이지만, 두 번째 열은 첫 번째 열의 두 배이고, 네 번째 열은 첫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의 합과 같다. 따라서 의 계수는 2이다. 가우스 소거법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0이 아닌 행이 두 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 부동소수점 연산을 할 때 가우스 소거법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이값 분해(SVD)를 사용하여 계수를 계산하거나, 가우스 소거법보다 안정적이고 특이값 분해보다는 빠른 QR 분해를 사용할 수도 있다.
5. 응용
행렬의 계수는 선형 방정식계의 해의 개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루셰-카펠리 정리에 따르면, 첨가 행렬의 계수가 계수 행렬의 계수보다 크면 그 시스템은 모순된다. 반면에 이 두 행렬의 계수가 같으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해를 가져야 한다. 해는 계수가 변수의 수와 같을 때에만 유일하다. 그렇지 않으면 일반 해는 k개의 자유 매개변수를 가지는데, 여기서 k는 변수의 수와 계수의 차이이다. 이 경우 (그리고 선형 방정식계가 실수 또는 복소수라고 가정하면) 선형 방정식계는 무한히 많은 해를 갖는다.
제어 이론에서 행렬의 계수는 선형 시스템이 제어 가능하거나 관측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통신 복잡도 분야에서 함수의 통신 행렬의 계수는 두 당사자가 함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통신의 양에 대한 경계를 제공한다.
참조
[1]
Harvard citation text
[2]
Harvard citation text
[3]
서적
Algebra
[4]
간행물
A Note on the Equality of the Column and Row Rank of a Matrix
[5]
Harvard citation text
[6]
Harvard citation text
[7]
Harvard citation text
[8]
Harvard citation text
[9]
Harvard citation text
[10]
간행물
Row Rank Equals Column Rank
[11]
서적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for Statistics
Chapman and Hall/CRC
2014
[12]
문서
[13]
문서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Dover Publications
[15]
서적
Algebra
[16]
간행물
A Note on the Equality of the Column and Row Rank of a Matrix
[17]
서적
なっとくする数学記号
講談社
2021
[18]
간행물
Row Rank Equals Column Rank
[19]
서적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for Statistics
Chapman and Hall/CRC
2014
[20]
서적
An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Dover Publications
[21]
서적
최신선형대수
학술정보
2004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