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잡이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기잡이삵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검은 줄무늬와 반점이 있는 짙은 황색-회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부분적인 물갈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Prionailurus 속의 가장 큰 고양이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습지, 늪, 소택지 등 물가 근처에 서식하며,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한다. 2016년부터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습지 파괴, 지역 주민에 의한 살해, 과도한 어획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으며, 많은 지역에서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서식지 보존과 인공 증식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삵속 - 쓰시마삵
쓰시마삵은 쓰시마섬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삵으로, 흰색 귓속 반점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IUCN 적색 목록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삵속 - 이리오모테삵
이리오모테삵은 일본 이리오모테섬에 서식하는 삵의 아종으로, 짙은 회색 또는 옅은 갈색 털색과 굵은 다리가 특징인 야행성 육식 동물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일본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1833년 기재된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1833년 기재된 포유류 - 케이프여우
케이프여우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은회색 털과 검은색 꼬리 끝을 가진 작은 개과 동물로,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잡식성으로 생활하는 야행성 동물이며, 농부들의 오해와 질병 등으로 위협받지만 개체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 스리랑카의 포유류 - 긴가락박쥐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며 11개의 아종이 있고, 한반도에는 중국긴가락박쥐(*M. s. chinensis*) 아종이 서식하며, 동굴이나 폐광에서 곤충을 먹고,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스리랑카의 포유류 - 스리랑카코끼리
스리랑카코끼리는 아시아코끼리 아종 중 가장 크고 어두운 몸빛과 탈색 부분이 특징이며, 스리랑카 저지대에 주로 서식하고, 서식지 감소 후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개체 수가 회복 중이며, 스리랑카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고기잡이삵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ionailurus viverrinus |
명명자 | Bennett, 1833 |
이명 | Felis viverrina |
영명 | Fishing Cat |
![]() | |
형태 | |
몸길이 | 57 ~ 78 cm |
꼬리 길이 | 20 ~ 30 cm |
몸무게 | 8 ~ 17 kg (수컷), 5 ~ 9 kg (암컷) |
보전 상태 | |
IUCN | 취약종 (VU) |
CITES | 부속서 II |
추세 | 감소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아목 | 고양이아목 |
과 | 고양이과 |
아과 | 고양이아과 |
속 | 삵속 (Prionailurus) |
종 | 고기잡이삵 (P. viverrinus) |
아종 | |
아종 | 문서 참조 |
2. 계통 분류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71]
모든 고양이과 종의 핵 DNA를 분석한 결과 고양이과 동물의 진화적 방사는 약 1445만 년 전~838만 년 전 미오세에 아시아에서 시작되었으며,[6][7]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은 약 1676만 년 전~646만 년 전에 방사되었음을 나타낸다.[8]
프리오나일루루스속 종들은 약 816만 년 전~453만 년 전[6]과 약 876만 년 전~73만 년 전[8] 사이에 공통 조상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녹슨고양이가 ''프리오나일루루스'' 계통의 첫 번째 고양이였으며, 그 다음으로 납작머리고양이, 고기잡이삵의 순서로 유전적 분화가 일어났다.[6][8] 고기잡이삵은 표범고양이와 함께 약 431만 년 전~174만 년 전[6]과 약 425만 년 전~2만 년 전[8]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분기도는 핵 DNA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고기잡이삵의 계통 발생 관계를 보여준다:[6][7]
2. 1. 하위 분류
1833년 에드워드 터너 베넷이 처음으로 고기잡이삵을 제안했으며, 조시아 마셜 히스가 인도에서 보낸 고양이 가죽을 기술했다.[2]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는 아시아 원산의 반점이 있는 야생 고양이를 위해 ''프리오나일루루스''라는 속명을 제안했다.[3]고기잡이삵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
고기잡이삵은 검은 줄무늬와 반점이 있는 짙은 황색-회색 털을 가지고 있다. 두 줄의 줄무늬가 뺨에 있고, 이마에 끊어진 선이 있는 두 줄이 눈 위에서 목으로 이어진다. 목 주위에는 두 줄의 반점이 있다. 어깨의 반점은 세로로 길고, 옆구리, 사지, 꼬리의 반점은 둥글다.[2] 털의 배경색은 개체에 따라 황갈색에서 잿빛 회색까지 다양하며, 줄무늬의 크기는 좁은 것부터 넓은 것까지 다양하다. 배의 털은 등과 옆구리보다 밝다. 짧고 둥근 귀는 머리에 낮게 붙어 있으며, 귀 뒤쪽에는 흰 반점이 있다. 꼬리는 짧고, 머리와 몸 길이의 절반보다 짧으며, 끝에 검은 고리가 몇 개 있다.[9] 짧고 밀도가 높은 털은 방수벽과 단열을 제공하는 수생 적응의 결과로 여겨지며, 튀어나온 긴 보호 털의 또 다른 층은 패턴과 광택을 제공한다.[10]
고기잡이삵은 주로 물 근처의 빽빽한 초목 속에서 살며, 야행성으로 알려져 있다. 장거리 및 수중 수영에 능숙하며, 어미와 같이 사는 새끼를 제외한 성체 수컷과 암컷은 단독 생활을 한다. 암컷은 4km2 에서 6km2, 수컷은 16km2 에서 22km2 면적에서 활동한다. 두꺼운 풀이 우거진 서식지나 물가 근처, 때로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성체는 "낄낄거리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39]
3. 형태
고기잡이삵은 ''프리오나일루루스''(Prionailurus) 속의 가장 큰 고양이이다.[9] 몸집이 탄탄하고 근육질이며, 다리는 중간에서 짧다. 암컷은 5kg에서 9kg이고 수컷은 8kg에서 17kg이며,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39][11] 집고양이의 약 두 배 크기이다.[39]
고기잡이삵의 발은 부분적으로 물갈퀴가 있으며, 발톱은 불완전하게 싸여 있으며, 완전히 뒤로 물릴 때만 부분적으로 덮인다.[9] 고양이과 동물로서는 드물게, 발톱을 집어넣을 수 없는데, 이것은 발톱을 집어넣기 위한 칼집의 발달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몸 크기는 다양하며, 인도에 서식하는 개체는 몸길이 80cm, 꼬리 길이 30cm 정도이나, 인도네시아의 개체는 몸길이 65cm, 꼬리 길이 25cm 정도이다.부위 인도 인도네시아 몸길이 80cm 65cm 꼬리 길이 30cm 25cm
4. 생태
뺨, 머리, 턱, 목 등을 비비거나 소변 분사를 통해 냄새 표시를 하고, 발톱을 갈거나 플레멘 반응을 보인다.[40] 고기잡이삵 소변의 자극적인 냄새는 펠리닌 분해 산물인 3-메르캅토-3-메틸부탄-1-올 때문이다.[41]
인도 케올라데오 국립공원에서 수집된 고기잡이삵의 분변 분석 결과, 물고기가 식단의 약 4분의 3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새, 작은 설치류, 곤충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체동물, 파충류, 양서류, 소의 고기, 풀도 섭취한다.[42] 고다바리 강 삼각주에서는 납작머리 숭어, 녹색 크로미드, 모잠비크 틸라피아 등의 물고기가 주 먹이(5분의 3)였고, 설치류와 게가 나머지를 차지했다. 식단 구성은 연중 비교적 일정하다.[43] 고기잡이삵은 수로 가장자리를 따라 사냥하며, 물에서 먹이를 낚아채거나 둑에서 멀리 떨어진 먹이를 잡기 위해 물속으로 잠수하기도 한다.[39][44] 얕은 물에서 사냥하는 것을 선호하며, 먹이가 접근할 때까지 기다리는 데 시간의 절반 정도를 보낸다.[45] 개구리, 가재, 어류, 조개 등도 잡아먹으며, 육상에서는 쥐 종류를 포식하기도 한다.
4. 1. 번식
야생 고기잡이삵은 1월과 2월 사이에 짝짓기를 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야생에서 대부분의 새끼 고양이는 3월과 4월에 관찰되었다.[39] 그러나 6월까지 짝짓기를 할 수도 있다.[14] 사육 상태에서 임신 기간은 63~70일이며, 암컷은 평균 2~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한 배의 새끼 수는 1마리에서 4마리까지 가능하다.[40][14] 새끼는 태어날 때 약 170g이며, 생후 1개월이 되면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약 2개월이 되면 물에서 놀고 고형 음식을 먹기 시작하지만, 6개월이 되어서야 완전히 이유한다. 약 8개월 반이 되면 완전한 성체 크기에 도달하고, 11개월이 되면 성체 송곳니를 얻으며, 약 15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10년까지 산다.[39] 고기잡이삵의 세대 시간은 5년이다.[1]
5. 분포
고기잡이삵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걸쳐 광범위하지만 단속적으로 분포한다.[1] 주로 습지와 같이 느리게 흐르는 물가, 예를 들어 늪과 소택지 주변의 밀생하는 습지에 서식하며, 우각호와 같은 낮은 염도의 수역과 조수 웅덩이, 맹그로브 숲과 같은 높은 염도의 수역을 포함한다.[14][39] 이러한 수역을 따라 숲, 관목지, 갈대밭, 초원의 빽빽한 덮개 속에 숨어 지내며, 대부분의 기록은 저지대 지역에서 나왔다.[13][14]
고기잡이삵의 서식지는 다음과 같다.
- 파키스탄: 2012년 신드주 초티아리 댐 지역에서 기록[15]
- 네팔: 테라이 지역의 슈클라판타 국립공원, 바르디아 국립공원, 치트완 국립공원, 파르사 국립공원, 코시 타푸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기록[16][17][18]
- 인도: 란탐보르 국립공원,[19] 필리비트 호랑이 보호구역,[16] 두드와 호랑이 보호구역, 발미키 호랑이 보호구역,[1] 수르 사로바르 조류 보호구역,[20] 서벵골의 보호 구역 밖,[21] 순다르반 로티안 섬 야생동물 보호구역,[22] 오디샤 비타르카니카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보호 구역 밖 해안 지역,[23] 안드라프라데시 코린가 야생동물 보호구역, 크리슈나 야생동물 보호구역 및 인접 보호림에서 기록[24][25][26]
- 방글라데시: 대부분 지역에서 서식[27]
- 스리랑카: 차 농장, 마두루 오야 국립공원 및 해안에서 구릉 지역에 이르는 여러 지역에서 기록[28][29]
- 미얀마: 2016년과 2018년 이라와디 삼각주에서 기록[30]
- 태국: 카오 삼 로이 요트 국립공원, 탈레 노이 수렵 금지 지역, 캥 크라찬 국립공원에서 기록[31][32][33] 2007년에서 2016년 사이 피싸눌록 주, 방 쿤 티안 구, 사뭇 사콘 주, 펫차부리 주, 송클라 주의 보호 구역 밖 습지 근처와 파타니 맹그로브 지역 근처에서 기록[34]
- 캄보디아: 2003년 3월 쿨렌 프롬테프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카메라 트랩 촬영,[35] 2015년 피암 크라소프 야생동물 보호구역, 리암 국립공원에서 기록[36]
- 인도네시아: 자바 섬이 분포 남쪽 한계이나, 1990년대에 희소해져 모래 또는 진흙 해안의 조수 숲, 오래된 맹그로브림, 버려진 어장 සහිත 맹그로브 농장 지역으로 제한됨[37]
- 말레이 반도, 베트남, 라오스: 확인된 기록 없음[38]
6. 위협 요인
2016년부터 고기잡이삵은 IUCN 적색 목록에 멸종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전 세계 개체수가 약 3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기잡이삵의 주요 위협 요인은 습지 파괴와 지역 주민에 의한 살해이다.[1]
습지 파괴에는 오염 증가, 농업용 및 인간 정착지 전환 등이 포함된다. 안드라 프라데시에서는 맹그로브 숲을 상업적인 양식 연못으로 전환하는 것이 주요 위협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고기잡이삵이 살해되기도 한다. 지역 어족의 과도한 포획과 지역 주민들의 보복 살해도 중요한 위협 요인이다. 고기잡이삵의 인도 서식지는 주로 습지이며, 인도의 법에 따라 농업 용도로 사용되어 인간-야생동물 갈등을 초래한다. 태국과 캄보디아에서 해안 습지는 고기잡이삵에게 중요한 서식지이지만, 추정에 따르면 습지의 6%만이 훼손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1]
서벵골주 하우라구에서는 2010년 4월부터 2011년 5월 사이에 27마리의 고기잡이삵 사체가 기록되었으며, 사가르섬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지역 주민들이 고기잡이삵을 멸종시켰을 가능성이 있다.[21] 사망은 건기에 더 자주 발생하며, 이때 사람들이 습지를 더 자주 사용한다.[1] 방글라데시에서는 2010년 1월부터 2013년 3월 사이에 최소 30마리의 고기잡이삵이 지역 주민들에게 살해되었다.[27] 종종 호랑이 새끼로 오인되어 살해되기도 한다.[52] 태국에서는 2012년과 2015년 사이에 무선 꼬리표를 부착한 고기잡이삵의 31%가 지역 주민들에게 살해되었다.[53] 코시 타푸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어부들은 물고기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하여 보복으로 고기잡이삵을 죽였다.[54] 로드킬은 오디샤에서 주요 사망 요인이다.[23] 고기잡이삵은 해안 케랄라에서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실제로 그곳에 서식했는지는 의문이다.[55]
7. 보존
고기잡이삵은 CITES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있으며, 서식지 대부분에서 국가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14]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태국에서는 사냥이 금지되어 있고, 라오스에서는 사냥 규제가 적용된다. 부탄,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는 보호 구역 밖에서는 보호받지 못하며, 캄보디아에서는 법적 보호에 대한 정보가 알려져 있지 않다.[14] 고기잡이삵은 인도 서벵골 주의 주(州) 동물이다.[58]
7. 1. 보존 노력
CITES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있으며, 서식지 대부분에서 국가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태국에서는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 라오스에서는 사냥 규제가 적용된다. 부탄,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는 보호 구역 밖에서는 보호받지 못하며, 캄보디아에서는 법적 보호에 대한 정보가 알려져 있지 않다.[14] 고기잡이삵은 인도 서벵골 주의 주(州) 동물이다.[58] 고기잡이삵의 생존은 습지 보호, 무분별한 덫 설치, 올가미 및 독극물 사용 방지에 달려 있다.[1]해안 안드라프라데시와 같이 서식지 훼손이 주요 관심사인 지역에서는 비정부 기구(NGO)가 지역 주민들과 협력하여 서식지 전환을 늦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작업의 일환으로, 주민들이 자연 서식지를 훼손하지 않고 돈을 벌 수 있는 대체 생계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포함된다.[56][57] 2010년 인도에서 고기잡이삵 보존 연합이 설립되어 국가 고기잡이삵 보존 단체의 협력을 위한 우산 역할을 한다.[58]
유럽 동물원 수족관 협회와 미국 동물원 수족관 협회는 고기잡이삵의 인공 증식 프로그램을 설립하였다. 전 세계 동물원에 보관된 모든 고기잡이삵은 세계 동물원 수족관 협회의 국제 종보에 등재되어 있다.[59][60] 태국 동물원에는 약 30마리의 고기잡이삵이 있으며, 출생률은 특히 높지 않다.[61] 고기잡이삵은 야생에서의 취약한 지위로 인해 "보험 개체군"으로 포획되었다.[62]
참조
[1]
간행물
Prionailurus viverrinus
2016
[2]
논문
Characters of a New Species of Cat (Felis, Linn.) from the Continent of India, presented by J. M. Heath, Esq.
http://www.archive.o[...]
[3]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4]
논문
Seventeen generic, specific and subspecific names for Dutch East Indian mammals
[5]
논문
A historical specimen of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Carnivora, Felidae) from Singapore in the zoological collection of the Naturalis Biodiversity Center, Leiden
https://zse.pensoft.[...]
2022
[6]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7]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8]
논문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9]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aylor and Francis, Ltd.
[10]
웹사이트
Fishing Cat
http://wildcatconser[...]
2012
[11]
논문
Reproductive gonadal steroidogenic activity in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assessed by fecal steroid analyses
2011
[12]
논문
Morphology of the lingual papillae in the fishing cat
https://www.jstage.j[...]
2014
[13]
서적
Feline Behaviour and Welfare
https://books.google[...]
CAB International
[14]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carnivoractio[...]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15]
논문
A survey of Smooth-coated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sindica'') and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in Chotiari Reservoir, Sanghar, Pakistan using camera traps
https://www.research[...]
[16]
논문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Mammalia: Carnivora: Felidae) in Shuklaphanta National Park, Nepal
[17]
논문
Fishing Cat camera trapped in Babai Valley of Bardia National Park, Nepal
[18]
논문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distribution and habitat suitability in Nepal
2022
[19]
논문
First evidence of Fishing Cat in the Ranthambhore Tiger Reserve, Rajasthan, India
[20]
논문
First record of Fishing Cat in Sur Sarovar Bird Sanctuary, Agra, India
[21]
논문
Survey of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Carnivora: Felidae) and some aspects impacting its conservation in India
[22]
논문
First estimates of fishing cat abundance and density in Lothian WS, Sundarbans, India
[23]
논문
The vulnerabl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in Odisha, eastern India: status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2018
[24]
서적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Fishing Cat Conservation Symposium, 25–29 November 2015, Nepal
Fishing Cat Working Group
[25]
서적
Status of Fishing Cat and Indian Smooth-coated Otter in Coringa Wildlife Sanctuary
http://www.egreefoun[...]
EGREE Foundation
[26]
서적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Fishing Cat Conservation Symposium, 25–29 November 2015, Nepal
Fishing Cat Working Group
[27]
논문
Human-fishing cat conflicts and conservation needs of fishing cats in Bangladesh
[28]
논문
Small wildcats of Sri Lanka – some recent records
[29]
논문
Modeling the habitat suitability for sympatric small and medium sized felids and investigating the spatiotemporal niche overlapping in Maduru Oya National Park, Sri Lanka
[30]
논문
Recent photographic records of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Carnivora: Felidae) in the Ayeyarwady Delta of Myanmar
[31]
논문
Recent sightings of fishing cats in Thailand
https://www.research[...]
[32]
논문
Terrestrial activity patterns of wild cats from camera-trapping
http://rmbr.nus.edu.[...]
[33]
논문
Fishing Cats in an anthropogenic landscape: A multi-method assessment of local population status and threats
[34]
논문
An update on the status of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Carnivora: Felidae) in Thailand
[35]
논문
A fishing cat observation from northern Cambodia
http://wild-cat.org/[...]
[36]
서적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Fishing Cat Conservation Symposium, 25–29 November 2015, Nepal
Fishing Cat Working Group
2016-10-04
[37]
간행물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rhizophoreus'' Sody, 1936) in West Java, Indonesia (Mammalia: Carnivora: Felidae)
http://www.traffic.o[...]
2011-04-24
[38]
간행물
Does the fishing cat inhabit Laos?
https://fishingcat.o[...]
[39]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0-12
[40]
간행물
A comparative analysis of scent-marking,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r in 20 species of small cats (''Felis'')
[41]
간행물
Sulfur-Markers, from urine of Fishing Cat: the putative pheromonal compounds of water-loving, vulnerable State Animal of West Bengal
2023
[42]
간행물
Food habits of the fishing cat ''Felis viverrina'' in Keoladeo National Park, Bharatpur, Rajasthan
https://archive.org/[...]
[43]
간행물
Fish on the platter! Dietary habits of fishing cats (''Prionailurus viverrinus'') in the Godavari Delta, India
2024
[44]
MSc. Thesis
Ecological separation of four sympatric carnivores in Keoladeo Ghana National Park, Bharatpur, Rajasthan, India
https://fishingcat.o[...]
Wildlife Institute of India
[45]
간행물
How fishing cats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fish: describing a felid's strategy to hunt aquatic prey
https://www.research[...]
2022
[46]
간행물
Natural infection of parvovirus in wild fishing cats (''Prionailurus viverrinus'') reveals extant viral localization in kidneys
2021
[47]
간행물
Molecular study of feline hemoplasmas in free- ranging fishing cats (''Prionailurus viverrinus'') in Thailand
https://www.research[...]
2016
[48]
간행물
Transitional cell carcinomas in four fishing cats (''Prionailurus verrinus'')
2004
[49]
간행물
Molecular and pathological screening of canine distemper virus in Asiatic lions, tigers, leopards, snow leopards, clouded leopards, leopard cats, jungle cats, civet cats, fishing cat, and jaguar of different states, India
2022
[50]
간행물
Chlamydiosis in a Fishing Cat (''Felis viverrina'')
1997
[51]
간행물
''Toxocara cati'' infestation in fishing kitten - a case report
http://www.animalmed[...]
2012
[52]
간행물
Spatiotemporal patterns of human–carnivore encounters in a seasonally changing landscape: A case study of the Fishing Cat in Hakaluki Haor, Bangladesh
2022
[53]
Master of Science thesis
Fishing cat ecology: Food habits, home ranges, habitat use and mortality in a human-dominated landscape around Khao Sam Roi Yot Area, Peninsular Thailand
https://conservancy.[...]
University of Minnesota
2015
[54]
간행물
Population status and threats to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in Koshi Tappu Wildlife Reserve, Eastern Nepal
https://www.cdztu.ed[...]
2021
[55]
간행물
On the occurrence of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Bennett, 1833 (Carnivora: Felidae) in coastal Kerala, India
[56]
웹사이트
By saving this adorable, elusive wild cat, you could help save the planet (really!)
https://ideas.ted.co[...]
2020-11-29
[57]
웹사이트
Projects {{!}} Fishing Cat Conservancy {{!}} United States
https://www.fishingc[...]
2019-03-07
[58]
뉴스
Saving Asia's fishing cat means protecting threatened wetland habitat
https://news.mongaba[...]
2024-05-20
[59]
서적
Feline Reproduction
https://books.google[...]
CABI
2022
[60]
서적
Assessment of adrenal activity and reproductive cycles during captive management in the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https://books.google[...]
George Mason University
2016
[61]
간행물
Assessment of faecal glucocorticoid metabolite excretion in captive female fishing cats (''Prionailurus viverinus'') in Thailand
2016
[62]
간행물
Establishment of fishing cat cell biobanking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2022
[63]
간행물
2015-03-19
[64]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Lynx Edicions
2009
[65]
간행물
Die Fischkatze (Prionailurus viverrinus Benn.) auf Sumatora?
[66]
서적
Henri Jacob Victor Sody (1892-1959): His Life and Work
E.J. Brill
1989
[67]
간행물
''Prionailurus viverrinus''
2024-09-14
[68]
간행물
[69]
웹사이트
Fishing Cat ''Prionailurus viverrinus''
http://lynx.uio.no/l[...]
1996
[70]
웹인용
State animals, birds, trees and flowers
http://www.wii.gov.i[...]
Wildlife Institute of India
2012-03-05
[71]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