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륜화효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륜화효공주는 건륭제의 열 번째 딸로, 어머니는 돈비 왕씨이다. 12세에 고륜공주로 책봉되었으며, 건륭제의 총신 화신의 아들 풍신은덕에게 하가했다. 가경제 즉위 후 화신이 몰락하고 남편이 사망한 뒤, 49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륭제의 황녀 - 화석화가공주
    화석화가공주는 청나라 건륭제의 딸로, 부찰 부항의 차남 복륭안과 혼인했으며 23세에 사망했고, 소설 《황제의 딸》의 하자미의 모티브가 되었다.
  • 고륜공주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 고륜공주 - 수장고륜공주
    함풍제의 이복 여동생인 수장고륜공주는 박라특 덕휘와 혼인 후 사별했으며 함풍제, 동치제, 광서제의 총애와 공경을 받았다.
  • 청나라의 종실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 청나라의 종실 - 롱슈
    청나라 공주 롱슈는 공충친왕 혁흔의 딸이자 서태후의 양녀로, 궁중에서 성장하여 부찰 지단과 결혼 후 사별하고 고륜공주로 진봉되었으며, 서태후에게 간언을 자주 하는 등 총애를 받았다.
고륜화효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화효고륜공주
이름화효고륜공주 (固倫和孝公主)
로마자 표기Gulun Hexiao Gongzhu
신상 정보
출생1775년 2월 2일
사망1823년 10월 13일 (향년 48세)
가족 관계
아버지건륭제
어머니돈비 왕씨
배우자펑선인더 (豐紳殷德)
자녀아들 1명 (이름 미상, 요절)
가문
출생 가문애신각라 (愛新覺羅)
혼인 가문뇨후루 (鈕祜祿)

2. 생애

건륭 40년 1월 3일 (1775년 2월 2일), 건륭제의 열 번째 딸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돈비 왕씨였다. 당시 건륭제는 65세였고, 이미 대부분의 딸들이 사망하거나 출가한 상황이었기에 막내딸인 화효공주를 몹시 총애했다. 화효공주는 용모와 성격이 아버지를 닮았으며, 활쏘기와 말타기 등 무예에도 뛰어났다. 건륭제는 "네가 황자였다면 태자로 삼았을 텐데"라고 탄식했다고 한다.

보통 후궁 소생의 공주는 화석공주로 봉해지지만, 화효공주는 12세에 이례적으로 황후 소생의 공주에게 주어지는 고륜공주로 책봉되었다.

1789년(건륭 54년) 11월, 건륭제의 총신 화신의 아들 풍신은덕과 혼인하였다. 화효공주는 남편에게 "황제의 은혜를 받았으면 갚아야 하고, 뇌물을 받으면 걱정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시아버지 화신의 전횡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풍신은덕이 동심으로 가복과 눈 속에서 기와를 꽂는 장난을 치자, 화효공주는 "관례를 치른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냐"라며 꾸짖었다. 풍신은덕이 즉시 무릎을 꿇고 사과하자, 공주는 그를 일으켜 세우고 부드럽게 타일렀다. 이처럼 화효공주는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교만하지 않고, 대내외적으로 유능하고 대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가경제 또한 그녀를 각별히 아꼈다.

화신이 탄핵당한 후, 가경제는 화신의 저택 절반과 유산을 10공주에게 주었고, 풍신은덕을 용서하고 화신의 시신을 온전하게 넘겨주었다. 가경제 15년에는 내무부에 명하여 화효공주를 위해 원침을 건설하게 했고, 가경제 19년에는 은 6천 냥을 특별히 하사했다.

화효공주와 풍신은덕은 결혼 후 금슬이 좋았으나, 아들은 요절하였다. 공주는 집안의 대가 끊길 것을 염려하여 남편에게 여러 차례 첩을 둘 것을 권유했고, 풍신은덕은 첩을 들여 두 딸을 얻었다.

풍신은덕이 사망하자, 가경제는 은 5천 냥을 하사하고, 양자인 복은(福恩)을 후손으로 삼아 화효공주가 신조에게 남긴 경차도위의 직을 세습하게 하였다.

도광제도광 원년에 친히 유지를 내려, 신피초의 「恆升當」를 공주에게 돌려주도록 하였다. 화효공주는 화신이 탄핵을 받은 후, 몸이 약한 남편을 대신하여 10여 년 동안 집안일을 처리하였다.

도광 3년 9월 10일(1823년 10월 13일), 49세의 일기로 사망하자, 도광제가 직접 영전에 제사를 지냈다. 화효공주의 무덤은 베이징시 하이뎬구 동북쪽 경계에 있는 융평향에 있다.

2. 1. 출생과 성장

건륭 40년 1월 3일 (1775년 2월 2일), 건륭제의 열 번째 딸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돈비 왕씨였다. 당시 건륭제는 65세의 고령이었고, 이미 대부분의 딸들이 사망하거나 출가한 상황이었기에 막내딸인 화효공주를 몹시 총애했다.[1] 화효공주는 용모와 성격이 아버지를 닮았으며, 활쏘기와 말타기 등 무예에도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건륭제는 "네가 황자였다면 태자로 삼았을 텐데"라고 탄식했을 정도였다.[1]

보통 후궁 소생의 공주는 '화석공주'로 봉해지지만, 화효공주는 12세에 이례적으로 황후 소생의 공주에게 주어지는 '고륜공주'로 책봉되었다.[1]

2. 2. 혼인

1789년(건륭 54년) 11월, 건륭제의 총애를 받던 신하 화신의 아들 풍신은덕(豊紳殷德)과 혼인하였다.[1] 혼인 당시 지참금으로 받은 300000냥은 건륭제의 다른 딸들의 지참금을 훨씬 넘는 액수였다. 豐紳殷德|풍신은덕중국어은 니오후루 씨족 출신이었다. 화효공주는 남편에게 "황제의 은혜를 받았으면 갚아야 하고, 뇌물을 받으면 걱정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시아버지 화신의 전횡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1794년에서 1796년 사이에 아들을 낳았으나, 1798년에 요절하였다. 이후 공주는 집안의 대가 끊길 것을 염려하여 남편에게 여러 차례 첩을 둘 것을 권유하였고, 풍신은덕(豊紳殷德)은 첩을 두어 두 딸을 얻었지만, 풍신은덕(豊紳殷德) 사후 두 딸은 각각 11살, 5살 밖에 되지 않았다.

2. 3. 화신의 몰락과 남편의 죽음

1799년, 건륭제가 사망하고 가경제가 즉위하면서, 화효공주의 시아버지인 화신은 부패와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탄핵을 받았다.[1] 가경제는 화신에게 자결을 명하였고, 화신의 막대한 재산은 몰수되었다. 그러나 가경제는 자신의 동생인 화효공주를 아껴 화신의 재산 일부를 공주에게 하사하였다.[1] 또한, 남편인 풍신은덕의 작위를 박탈하는 선에서 처벌을 마무리했다.[1]

1806년, 가경제는 풍신은덕을 울리아스타이에 군무 관리로 파견했으나, 풍신은덕은 곧 병에 걸려 베이징으로 돌아왔다. 1810년, 풍신은덕은 '진공(晉公)'으로 봉해졌으나, 3개월 뒤 사망하였다.[1]

2. 4. 말년

가경제내무부에 명하여 화효공주를 위하여 원침을 건설하게 하였고[1], 가경 19년에는 은 6천 냥을 특별히 하사하여 지출을 보충하기 위해 빚을 내서 이자를 받도록 허락하였다. 남편 풍신은덕이 사망한 후, 화효공주는 그의 첩이 낳은 두 딸(각각 아버지 사망 당시 11세와 5세)을 양육하며 홀로 지냈다.[1] 도광제도광 원년에 친히 유지를 내려, 신피초의 「恆升當」를 공주에게 돌려주도록 하였다.[1]

화효공주는 풍신은덕이 병사하고 10여 년 후인, 도광 3년 9월 10일(1823년 10월 13일)에 49세의 일기로 사망하였다.[1] 도광제는 직접 영전에 제사를 지냈다.[1]

화효공주의 무덤은 베이징시 하이뎬구 동북쪽 경계에 있는 융평향에 있다.[1]

3. 가족 관계

건륭제의 10번째 딸로, 어머니는 돈비 왕씨이다. 건륭제가 65세에 얻은 막내딸이었기에, 황제의 각별한 사랑을 받았다.[1]

아버지건륭제
어머니돈비 왕씨
남편풍신은덕(豊紳殷德) - 화신의 장남
아들(요절)
양자복은(福恩) - 경차도위 세습
시아버지화신



건륭 54년(1789년) 11월, 화신의 장남 풍신은덕에게 하가하였다. 풍신은덕은 공주와 결혼 후 금슬이 좋았으나, 아들이 가경 2년에 요절한 후로는 아이를 낳지 못하였다. 공주는 집안의 대가 끊길 것을 염려하여 남편에게 여러 차례 첩을 둘 것을 권유하였다. 풍신은덕은 평생 두 명의 딸만 낳았고, 도광 연간에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가경제는 풍신은덕이 병사하자, 자신의 누이동생이 의지할 수 있도록 은 5천냥을 하사하고, 양자인 복은(福恩)을 후손으로 삼아 화효공주가 신조에게 남긴 경차도위의 직을 세습하게 하였다.

4. 평가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총애를 믿고 교만하지 않았으며, 유능하고 대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시아버지 화신의 전횡을 경계하고, 남편에게 바른 길을 갈 것을 권유하는 등 높은 식견을 보여주었다. 화신 일가의 몰락과 남편의 이른 죽음 등 시련 속에서도 의연하게 대처하며, 백성들을 굽어살피는 어진 정치를 펼쳤다.

5. 대중문화


  • 1988년 드라마 청나라의 흥망성쇠에서 오지인이 연기했다.
  • 2018년 드라마 쟁왕전에서 호정흔이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