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애호가 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 애호가 협회(CFA)는 고양이 품종을 등록하고 캣쇼를 주최하는 단체이다. CFA는 42개의 챔피언십 품종과 3개의 미스 품종을 공인하며, 캣쇼는 여러 링에서 심사위원이 고양이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캣쇼에서는 내셔널 위너, 리저널 위너, 그랜드 챔피언/프리미어 등의 타이틀을 수여하며, 혈통 등록 및 사육장 인증 등의 서비스도 제공한다. CFA는 전 세계 고양이 애호가들과 교류하며, 한국의 고양이 관련 단체와 협력하여 고양이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설립된 단체 - 대한자강회
대한자강회는 1906년 장지연, 윤효정 등이 조직한 애국계몽 운동 단체로, 자강운동을 통해 국권 회복을 목표로 했으나, 고종 강제 퇴위 반대 후 1907년 강제 해산되었으며, 대한협회가 그 이념을 계승했다. - 1906년 설립된 단체 - 신민회
신민회는 1907년 안창호, 양기탁, 이동녕, 이회영 등이 결성한 대한제국의 비밀 결사 단체로, 민족의식 고취, 교육 진흥, 산업 육성을 목표로 만주에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을 마련했으나 1911년 일제의 105인 사건으로 해체, 그 정신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계승되었다. - 고양이 관련 단체 - 고양이 공식 품종 기록 서적
고양이 공식 품종 기록 서적은 고양이의 품종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기록하며, 품종 표준 정의, 혈통 추적, 품종 개량 정보 제공 및 고양이 관리와 심사 기준 마련에 기여한다. - 고양이 관련 단체 - 고양이 애호가 협회 (중화인민공화국)
고양이 애호가 협회 (CAA)는 혈통묘 홍보, 고양이 복지 증진을 목표로 중국 토종 품종 드래곤 리를 홍보하며 고양이 구조, TNR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단체이다.
고양이 애호가 협회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고양이 애호가 협회, Inc. |
영문 명칭 | The Cat Fanciers’ Association, Inc. |
전신 | 미국 고양이 협회 |
설립일 | 1906년 |
설립 장소 | 뉴저지주 마나스콴 |
유형 | 비영리 단체 |
상태 | 재단 |
본부 | 미국 오하이오주 얼라이언스 |
서비스 제공 지역 |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
협회장 | 리처드 매스틴 |
부협회장 | 러셀 웹 |
웹사이트 | 고양이 애호가 협회 공식 웹사이트 |
2. CFA 인정 고양이 품종 목록
- A - 아비시니안 - 아메리칸 보브테일 - 아메리칸 컬 - 아메리칸 숏헤어 - 아메리칸 와이어헤어
- B - 발리니즈 (자바니즈 포함) - 벵갈 - 버만 - 봄베이 - 브리티시 숏헤어 - 버미즈 - 버밀라
- C - 샤르트뢰 - 컬러포인트 숏헤어 - 코니시 렉스
- D - 데본 렉스
- E - 이집션 마우 - 유러피안 버미즈 - 이그조틱
- H - 하바나 브라운
- J - 재패니즈 보브테일
- K - 카오 마니 - 코랏
- L - 라펌 - 라이코이
- M - 메인쿤 - 맹크스
- N - 노르웨이 숲 고양이
- O - 오시캣 - 오리엔탈
- P - 페르시안 (히말라얀 포함)
- R - 라가머핀 - 래그돌 - 러시안 블루
- S - 스코티시 폴드 - 셀커크 렉스 - 샴 - 시베리안 - 싱가푸라 - 소말리 - 스핑크스
- T - 토이밥 - 통키니즈 - 터키시 앙고라 - 터키시 반
2. 1. A
품종 구분에 따른 알파벳 순으로 배열했다.[12]- A - Abyssinian cat - American Bobtail - American Curl - American Shorthair - American Wirehair
- B - Balinese (Javanese 포함) - Bengal - Birman - Bombay - British Shorthair - Burmese - Burmilla
- C - Chartreux - Colorpoint Shorthair - Cornish Rex
- D - Devon Rex
- E - Egyptian Mau - European Burmese - Exotic
- H - Havana Brown
- J - Japanese Bobtail
- K - Khao Manee - Korat
- L - LaPerm - Lykoi
- M - Maine Coon - Manx
- N - Norwegian Forest Cat
- O - Ocicat - Oriental
- P - Persian (Himalayan 포함)
- R - Ragamuffin - Ragdoll - Russian Blue
- S - Scottish Fold - Selkirk Rex - Siamese - Siberian - Singapura - Somali - Sphynx
- T - Toybob - Tonkinese - Turkish Angora - Turkish Van
2. 2. B
Balinese(Javanese 포함), Bengal, Birman, Bombay, British Shorthair, Burmese, Burmilla는 품종 구분에 따른 알파벳 순으로 배열했을 때 B로 시작하는 고양이 품종이다.[12]2. 3. C
Chartreux, Colorpoint Shorthair, Cornish Rex는 고양이 애호가 협회에 등록된 품종이다.[12]2. 4. D
Devon Rex[12]2. 5. E
Egyptian Mau, European Burmese, Exotic 품종이 E로 시작한다.[12]2. 6. H
Havana Brown[12]2. 7. J
Japanese Bobtail[12]2. 8. K
Khao Manee와 Korat 품종이 있다.[12]2. 9. L
LaPerm과 Lykoi 품종이 있다.[12]2. 10. M
Maine Coon은 한국에서 인기 있는 품종 중 하나이다.[12] Manx도 이 목록에 포함된다.[12]2. 11. N
Norwegian Forest Cat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품종 중 하나이다.[12]2. 12. O
고양이 애호가 협회(CFA)에서 공인한 품종은 알파벳 순으로 다음과 같다.[12]- A - Abyssinian cat - American Bobtail - American Curl - American Shorthair - American Wirehair
- B - Balinese (Javanese 포함) - Bengal - Birman - Bombay - British Shorthair - Burmese - Burmilla
- C - Chartreux - Colorpoint Shorthair - Cornish Rex
- D - Devon Rex
- E - Egyptian Mau - European Burmese - Exotic
- H - Havana Brown
- J - Japanese Bobtail
- K - Khao Manee - Korat
- L - LaPerm - Lykoi
- M - Maine Coon - Manx
- N - Norwegian Forest Cat
- O - Ocicat - Oriental
- P - Persian (Himalayan 포함)
- R - Ragamuffin - Ragdoll - Russian Blue
- S - Scottish Fold - Selkirk Rex - Siamese - Siberian - Singapura - Somali - Sphynx
- T - Toybob - Tonkinese - Turkish Angora - Turkish Van
2. 13. P
Persian(Himalayan 포함)은 한국에서 인기 있는 품종 중 하나이다.[12]2. 14. R
Ragamuffin, Ragdoll, Russian Blue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품종이다.[12]2. 15. S
Scottish Fold, Selkirk Rex, Siamese, Siberian, Singapura, Somali, Sphynx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품종 중 하나이다.[12]2. 16. T
품종 구분에 따른 알파벳 순으로 배열했다.[12]3. CFA의 서비스
캐터리, 순종 고양이 주인,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하나는 등록된 고양이의 공인된 혈통 목록이다. 3대에서 6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등록된 고양이 혈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CFA는 캐터리, 순종 고양이 소유주 및 일반 대중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3] 등록된 고양이의 공인된 혈통 목록을 제공하며, 3대에서 6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이용할 수 있다. CFA 명명 표준에 따라 고양이 사육장 이름을 등록하고, 엄격한 건강 기준을 충족하는 우수 사육장은 인증서를 받는다.[3] 현재까지 40개의 사육장이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Riversiderags[4]는 TICA[5]와 CFA로부터 모두 인증을 받은 유일한 래그돌 사육장이다.
CFA는 품종 기준 설정 및 번식 지침 제공, 쇼 심사위원 훈련, 고양이 사육장 홍보 및 검사, 고양이 건강 문제 연구 지원, 입법 문제 영향, 재난 구호 및 품종 구조 프로그램 제공, 서적 및 잡지 발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3. 1. 혈통 등록 서비스
캐터리, 순종 고양이 주인,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하나는 등록된 고양이의 공인된 혈통 목록이다. 3대에서 6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등록된 고양이 혈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3. 2. 기타 서비스
CFA는 캐터리, 순종 고양이 소유주 및 일반 대중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3] 등록된 고양이의 공인된 혈통 목록을 제공하며, 3대에서 6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이용할 수 있다. CFA 명명 표준에 따라 고양이 사육장 이름을 등록하고, 엄격한 건강 기준을 충족하는 우수 사육장은 인증서를 받는다.[3] 현재까지 40개의 사육장이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Riversiderags[4]는 TICA[5]와 CFA로부터 모두 인증을 받은 유일한 래그돌 사육장이다.CFA는 품종 기준 설정 및 번식 지침 제공, 쇼 심사위원 훈련, 고양이 사육장 홍보 및 검사, 고양이 건강 문제 연구 지원, 입법 문제 영향, 재난 구호 및 품종 구조 프로그램 제공, 서적 및 잡지 발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4. CFA 캣쇼 및 타이틀
CFA 캣쇼는 여러 개의 "링"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각 링마다 심사위원이 독립적으로 고양이를 평가한다.[6] 링은 "전 품종" 링과 "특정 품종" 링으로 나뉜다. "전 품종" 링에서는 스핑크스부터 페르시안까지 CFA에서 승인된 모든 품종의 고양이를 심사한다. "특정 품종" 링에서는 고양이를 장모종과 단모종으로 구분하여 심사한다. 장모종에는 페르시안, 메인 쿤 등이 포함되고, 단모종에는 버미즈, 스핑크스, 아메리칸 숏헤어 등이 포함된다.[6]
링에서 "이기는" 고양이 수의 백분율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이는 최종 순위(전국/지역 점수) 또는 쇼에 참가한 챔피언/프리미어 수(그랜드 점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6] 각 쇼 시즌이 끝나면,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상위 25마리의 고양이에게 "내셔널 위너"(NW)라는 타이틀이 수여된다.[6] 또한, 해당 "지역" 상위 25마리 고양이에게는 "리저널 위너"(RW)라는 타이틀이 수여된다. CFA에는 9개의 지역이 있으며, 지역 1~7은 미국 주 및 캐나다 주로 구성되고, 지역 8과 9는 각각 일본과 유럽 전체로 구성된다. 다른 모든 국가(중국 포함)는 국제 부문에서 경쟁한다.[6]
중성화되지 않은 성묘가 200점 이상을 획득하면 "그랜드 챔피언" 타이틀이 수여된다.[6] 중성화된 고양이는 "프리미어" 클래스에서 출전하여 "그랜드 프리미어"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6] 한 쇼에서 6명의 심사위원으로부터 품종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고양이는 각 심사위원으로부터 "위너 리본"을 받고 "챔피언"이라는 최하위 타이틀을 받는다.[6] 생후 4개월에서 8개월 사이의 새끼 고양이는 별도의 "새끼 고양이" 클래스에서 경쟁하며, "내셔널 위너" 및 "리저널 위너"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지만, 8개월이 되어 성묘가 될 때까지 그랜드 챔피언이나 그랜드 프리미어가 될 수 없다.[6] 기존 타이틀이 없는 쇼에 출전하는 성묘는 "오픈"으로 지칭되지만, 그랜드 점수를 놓고 경쟁할 자격은 여전히 있다.[6]
내셔널 위너(NW)는 해당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상위 25마리의 고양이에게 수여되는 타이틀이다.[6] 리저널 위너(RW)는 CFA의 9개 지역에서 각각 상위 25마리 고양이에게 수여된다.[6] CFA는 지역 1~7은 미국의 주와 캐나다 주로 구성하고, 지역 8과 9는 각각 일본과 유럽 전체로 구성한다. 특히 9번지역은 일본이다[6] 그 외 국가는 국제 부문에서 경쟁한다.[6]
그랜드 챔피언/그랜드 프리미어는 중성화 여부에 따라 200점 이상 획득 시 수여되는 타이틀이다.[6] 중성화되지 않은 고양이는 그랜드 챔피언, 중성화된 고양이는 그랜드 프리미어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6] 챔피언 타이틀은 한 쇼에서 6명의 심사위원으로부터 품종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고양이에게 주어진다.[6]
생후 4개월에서 8개월 사이의 새끼 고양이는 별도의 클래스에서 경쟁하며, 내셔널 위너 및 리저널 위너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지만, 성묘가 될 때까지 그랜드 챔피언이나 그랜드 프리미어가 될 수 없다.[6]
4. 1. 캣쇼 운영 방식
CFA 캣쇼는 여러 개의 "링"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각 링마다 심사위원이 독립적으로 고양이를 평가한다.[6] 링은 "전 품종" 링과 "특정 품종" 링으로 나뉜다. "전 품종" 링에서는 스핑크스부터 페르시안까지 CFA에서 승인된 모든 품종의 고양이를 심사한다. "특정 품종" 링에서는 고양이를 장모종과 단모종으로 구분하여 심사한다. 장모종에는 페르시안, 메인 쿤 등이 포함되고, 단모종에는 버미즈, 스핑크스, 아메리칸 숏헤어 등이 포함된다.[6]링에서 "이기는" 고양이 수의 백분율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이는 최종 순위(전국/지역 점수) 또는 쇼에 참가한 챔피언/프리미어 수(그랜드 점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6] 각 쇼 시즌이 끝나면,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상위 25마리의 고양이에게 "내셔널 위너"(NW)라는 타이틀이 수여된다.[6] 또한, 해당 "지역" 상위 25마리 고양이에게는 "리저널 위너"(RW)라는 타이틀이 수여된다. CFA에는 9개의 지역이 있으며, 지역 1~7은 미국 주 및 캐나다 주로 구성되고, 지역 8과 9는 각각 일본과 유럽 전체로 구성된다. 다른 모든 국가(중국 포함)는 국제 부문에서 경쟁한다.[6]
중성화되지 않은 성묘가 200점 이상을 획득하면 "그랜드 챔피언" 타이틀이 수여된다.[6] 중성화된 고양이는 "프리미어" 클래스에서 출전하여 "그랜드 프리미어"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6] 한 쇼에서 6명의 심사위원으로부터 품종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고양이는 각 심사위원으로부터 "위너 리본"을 받고 "챔피언"이라는 최하위 타이틀을 받는다.[6] 생후 4개월에서 8개월 사이의 새끼 고양이는 별도의 "새끼 고양이" 클래스에서 경쟁하며, "내셔널 위너" 및 "리저널 위너"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지만, 8개월이 되어 성묘가 될 때까지 그랜드 챔피언이나 그랜드 프리미어가 될 수 없다.[6] 기존 타이틀이 없는 쇼에 출전하는 성묘는 "오픈"으로 지칭되지만, 그랜드 점수를 놓고 경쟁할 자격은 여전히 있다.[6]
4. 2. 타이틀 종류
내셔널 위너(NW)는 해당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상위 25마리의 고양이에게 수여되는 타이틀이다.[6] 리저널 위너(RW)는 CFA의 9개 지역에서 각각 상위 25마리 고양이에게 수여된다.[6] CFA는 지역 1~7은 미국의 주와 캐나다 주로 구성하고, 지역 8과 9는 각각 일본과 유럽 전체로 구성한다.[6] 그 외 국가는 국제 부문에서 경쟁한다.[6]그랜드 챔피언/그랜드 프리미어는 중성화 여부에 따라 200점 이상 획득 시 수여되는 타이틀이다.[6] 중성화되지 않은 고양이는 그랜드 챔피언, 중성화된 고양이는 그랜드 프리미어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6] 챔피언 타이틀은 한 쇼에서 6명의 심사위원으로부터 품종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고양이에게 주어진다.[6]
생후 4개월에서 8개월 사이의 새끼 고양이는 별도의 클래스에서 경쟁하며, 내셔널 위너 및 리저널 위너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지만, 성묘가 될 때까지 그랜드 챔피언이나 그랜드 프리미어가 될 수 없다.[6]
5. CFA의 국제 활동과 한국
CFA는 챔피언십 클래스에서 42개의 공인된 품종을, 미스(Miscellaneous) 클래스에서 3개의 품종을 인정하고 있다(이는 2016-17 쇼 시즌부터 유효하다). 1994년부터 CFA는 "롤스로이스"로 묘사되는 CFA 인터내셔널 캣 쇼(CFA International Cat Show)를 개최해왔으며, 이는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고양이 쇼이다. 2007년과 2010년에 취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CFA 인터내셔널은 2011년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CFA 월드 쇼로 부활하여 브랜드 변경과 기업 후원을 통해 다시 참여와 관심을 얻었다. 2015년에는 쇼의 이름이 CFA 인터내셔널 캣 쇼로 다시 변경되었다.
CFA는 품종 기준 설정 및 번식 지침 제공, 쇼 심사위원 훈련, 고양이 사육장 홍보 및 검사, 고양이 건강 문제에 대한 연구 지원 및 홍보, 입법 문제 영향, 재난 구호 및 품종 구조 프로그램 제공, 서적 및 잡지 발행, 고양이에 관련된 주제에 대한 일반 대중에게 정보 제공 등의 활동을 한다. 또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고양이 애호가들과 교류하고 있으며, 한국의 고양이 관련 단체들과 협력하여 고양이 문화 발전 및 품종 보존에 힘쓰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 CFA On The Move :::"
http://www.showcatso[...]
Showcatsonline.com
2010-08-31
[2]
웹사이트
Breeds
https://cfa.org/bree[...]
Cfa.org
2021-11-14
[3]
웹사이트
Approved Cattery Program – The Cat Fanciers' Association, Inc
https://cfa.org/appr[...]
2022-04-29
[4]
웹사이트
Purebred Ragdoll Kittens and Cats Pasco Washington
https://riversiderag[...]
2022-04-29
[5]
간행물
The International Cat Association
https://en.wikipedia[...]
2022-04-29
[6]
웹사이트
CFA Cat Show Information
http://showcatcentra[...]
ShowCatCentral.com
1999-02-22
[7]
웹사이트
公認団体から猫種・猫の種類を探す
https://www.min-neko[...]
シムネット
2024-05-16
[8]
웹사이트
"::: CFA On The Move :::"
http://www.showcatso[...]
Showcatsonline.com
2010-08-31
[9]
웹사이트
About CFA
https://cfa.org/cfa-[...]
CFA
2024-05-16
[10]
웹인용
About CFA
https://cfa.org/cfa-[...]
cfa.org
2021-11-14
[11]
웹인용
"::: CFA On The Move :::"
http://www.showcatso[...]
Showcatsonline.com
2013-01-15
[12]
웹인용
Breeds
https://cfa.org/bree[...]
Cfa.org
2021-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