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징은 북위 말 동위의 권신으로, 고환과 누소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뛰어난 정치력과 가혹한 성격으로 평가받았으며, 고환 사후 동위의 섭정으로 권력을 장악했다. 효정제를 옹립하고, 후경의 난을 진압하는 등 업적을 세웠으나, 주벽으로 인해 난경에게 살해당했다. 고징 사후 동생 고양이 북제를 건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21년 출생 - 콜룸바 히엔시스
    콜룸바 히엔시스는 6세기에 활동한 아일랜드 출신 수도사이자 선교사로서 스코틀랜드 이오나 섬에 수도원을 세우고 픽트족을 개종시켜 켈트 기독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켈트 수도원 제도의 아버지로 불린다.
  • 남북조 시대의 상서령 - 북제 문선제
    북제 문선제 고양은 동위의 실권자 고환의 아들로, 형 고징 사후 황위를 찬탈하여 북제를 건국했으나, 초기에는 유능한 정치를 펼쳤지만 후반기에는 폭정을 일삼아 북제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남북조 시대의 상서령 - 독고신
    독고신은 수려한 용모와 기마술로 이름을 떨친 남북조 시대 서위의 무장이자 관료이며 북주 팔주국 중 한 명으로, 세 딸이 각각 북주, 당, 수나라 황후가 되었으나 권력 다툼으로 우문호에 의해 자진했다.
고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자 고징
세자 고징
이름고징(高澄)
묘호세종(世宗)
시호문양황제(文襄皇帝)
추존 작위북제의 황제
생년521년
몰년549년
향년27 - 28세
아버지고환
어머니누소군
배우자풍의공주
능묘준성릉(峻成陵)
관직
동위 섭정547년 - 549년 9월 15일
전임고환
후임고양
발해왕 재위547년 8월 4일 - 549년 5월 31일
제왕 재위549년 5월 31일 - 549년 9월 15일
즉위일 (발해왕)동위 무정(武定) 5년 음력 7월 3일 (547년 8월 4일)
즉위일 (제왕)동위 무정(武定) 7년 음력 4월 19일 (549년 5월 31일)

2. 생애

547년 아버지 고환이 죽자 승상이 되었다. 그 직후 하남태수였던 후경이 배신하고 하남 영지를 갖고 남조 양나라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고징은 모용소종에게 후경을 공격하게 했고, 동위에 남아있던 후경의 처자식들을 모두 살해했다. 이후 양나라 군대와 싸워 격파하고 하남을 되찾았으며, 양나라와 수호관계를 맺어 후경을 고립시켰다.

549년 고징은 제왕으로 봉해졌으나,[1] 주벽으로 인해 포악한 행동을 자주 하여 난경에게 살해당했다.[1] 난경은 양나라 장군 난흠의 아들로, 고징이 포로로 잡힌 아버지 난흠을 풀어주지 않아 원한을 품고 있었다.[2] 란경이 식사를 가져다준 후 방을 나가자, 고징은 "어젯밤, 이 노예가 칼로 나를 치는 꿈을 꿨어. 죽여야겠어."라고 말했고, 이 말을 엿들은 란경은 방으로 돌아와 고징을 칼로 찔러 죽였다.[3]

고징 사후, 동생 고양이 상국과 제왕을 물려받아 혼란을 수습하고, 550년 동위 효정제로부터 제위를 선양받아 북제를 건국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521년 고환과 정실 부인 누소군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북위 효무제의 황후 고씨, 고양(문제), 동위 효정제의 황후 고씨(태원 장공주), 고연(효소제), 고담(무성제), 고제(박릉왕)의 동복 형제였다. 훌륭한 풍격과 재치를 갖춘 미남으로 평가받았고, 뛰어난 정치력을 지녔으며, 가혹한 성격이었다.[1]

531년 고환의 후계자로 발해왕 세자가 되었다.[1] 532년 시중・개부의동삼사의 직위를 더했고, 원선견(후의 효정제)의 여동생 풍익 장공주를 아내로 맞이했다.[1]

고징은 521년에 태어났으며, 당시 그의 아버지 고환북위의 수도 낙양과 옛 수도 평성(현대 산시성 다퉁) 사이를 오가는 문서 배달원이었다. 그의 어머니 누소군은 부유한 가문 출신이었지만, 고환의 집안은 가난했다. 525년, 고환은 두락주(杜洛周)가 이끄는 농민 반란에 가담했지만, 곧 두락이 성공적인 지도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동료 위경(尉景), 단영(段榮), 채준(蔡雋)과 함께 두락의 진영에서 탈출하려 했다. (위와 단은 그의 매형이기도 했다.) 누씨 부인과 그녀의 자녀들(고징과 딸)도 소를 타고 도망쳤다. 이 과정에서 고징은 계속 소에서 떨어졌고, 고환은 그를 화살로 죽이려 했지만, 단영이 여러 차례 그를 구했다. 531년 당시 북위 장군이었던 고환이 이자영의 일족(이자영이 효장제를 살해한 것에 대한 복수로 효장제를 물리친 후 정치 무대를 장악했음)에 반기를 들었으며, 고환의 아주 먼 친척인 농민 반란 지도자 고오조(高敖曹)가 고환을 따르기를 거부하자, 고환은 고징을 고오조에게 보내 큰아버지에게 합당한 존경을 표하며 고환의 진심을 설득하도록 했다.

2. 2. 고환 생전의 활동

531년 고환의 후계자로 발해왕 세자로 세워졌다. 532년 시중, 개부의동삼사 직위를 더했고, 원선견의 여동생 풍익 장공주를 아내로 맞이했다.

천평 원년(534년) 효정제가 옹립되자, 사지절, 상서령, 대행대, 병주 자사가 되었다. 천평 3년(536년), 으로 들어가 조정에 참여했으며, 령좌우, 경기대도독이 더해졌다. 원상 원년(538년), 이부상서를 겸임했다. 흥화 2년(540년)에는 대장군 직위가 더해졌고, 중서감, 이부상서를 겸임했다. 이부랑 최섬을 어사중위로 발탁하여 권문 세가를 탄핵하게 했다.

543년, 고징과 그의 신뢰받는 보좌관 최섬의 행동은 장군 고중밀(高仲密)의 반란을 초래했다. 고중밀은 이전에 최섬의 누이와 결혼했지만 나중에 그녀를 버렸고, 이로 인해 고중밀과 최섬 사이에 증오심이 생겼다. 최섬은 고중밀이 선택한 관료에 대해 많은 트집을 잡았고, 고징은 최섬의 말에 동의했다. 고징은 고중밀의 새 아내 이창의(李昌儀)를 보고 그녀의 아름다움에 충격을 받아 그녀를 강간하려 했다. 이씨 부인은 도망쳐서 이 사건을 고중밀에게 알렸다. 고중밀이 북예주(北豫州, 대략 현대의 정저우(鄭州), 허난성) 지사가 되었을 때, 그는 북예주의 수도이자 핵심 요새인 호뢰(虎牢)를 서위에 항복했다.[1] 이후 호뢰와 낙양 지역 지배권을 놓고 벌어진 전투에서 우문태와 고환은 거의 죽을 뻔했다. 동위 군대가 그해 말 호뢰를 점령하고 이씨 부인이 예성으로 보내지자, 고징은 그녀를 자신의 후궁 중 한 명으로 삼았다.[1]

544년, 고환은 관리 사마자여, 손등(孫騰), 고악(고환의 사촌), 고륭지(高隆之)가 너무 강력해지고 부패했다고 믿고, 그 관리들의 주요 책임을 고징에게 이관했다. 고징은 그 관리들에게 거만하게 행동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과시했다. 예를 들어, 손등이 그를 방문하여 충분한 존경심을 보이지 않자, 그는 경비병에게 손등을 땅에 던지고 칼자루로 때리도록 했다. 고징은 자신의 보좌관 최기서(崔季舒, 최선의 삼촌)를 효정제의 비서로 임명하여 효정제를 감시하게 했다.[1]

546년 말, 고환은 심각한 병에 걸렸고, 고징을 진양으로 불러들여 그에게 모든 일을 맡겼다. 당시 고징은 황하 이남 지방을 지휘하는 장군 후경(侯景)이 반란을 일으킬까 봐 불안해했고, 고환은 그에게 신뢰할 수 있는 관리 목록을 남겼으며, 특히 후경이 반란을 일으킬 경우 모용소종을 후경에 맞서는 군대 지휘관으로 임명하라고 지시했다. 547년 봄, 고환이 사망했지만, 고징은 고환의 지시에 따라 고환의 죽음을 대중에 알리지 않고, 오히려 고환이 여전히 살아있는 척하며 예성으로 돌아갔다.[1]

무정 4년(546년) 11월, 고환이 서위를 토벌하다가 병으로 인해 군대를 돌리자, 고징은 고환의 본진을 지키며 진양으로 돌아왔다. 무정 5년(547년) 1월 고환이 사망하자, 사실을 숨기고 상을 발표하지 않았다. 사도 후경하남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고징은 사공 한궤 등으로 하여금 후경을 토벌하게 했고, 이 때문에 후경은 남하하여 남조 양의 무제에게 귀순했다. 이를 들은 고징은 동위에 남아 있던 후경의 아내와 장남 후화 등을 모반죄로 처형하도록 명령했다.

고징은 4월에 업으로 돌아왔다. 6월에 한궤 등은 영주에서 군대를 돌렸다. 진양으로 돌아온 고징은 상을 발표하고 고환의 유지를 잇겠다고 발표했다. 7월, 사지절, 대승상, 도독중외제군사, 녹상서사, 대행대, 발해왕이 되었다.

2. 3. 동위의 섭정

547년 고환이 죽자 고징은 승상이 되었다. 그 직후 하남태수였던 후경이 배신하고 하남의 영지를 갖고 남조 양나라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고징은 모용소종(慕容紹宗)에게 후경을 공격하게 했고, 동위에 남아있던 후경의 처자식들을 모두 살해했다. 이후 양나라 군대와 싸워 격파하고 하남을 되찾았으며, 양나라와 수호관계를 맺어 후경을 고립 상태로 몰아넣었다. 이후 후경은 양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549년 고징은 제왕으로 봉해졌으나,[1] 주벽으로 인해 포악한 행동을 자주 하여 난경(蘭京)에게 살해당했다.[1]

2. 4. 최후

547년 아버지 고환이 죽은 후, 후경이 배신하여 남조 양나라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고징은 모용소종에게 후경을 공격하게 하고, 동위에 남아있던 후경의 처자식을 모두 살해했다.[2] 그리고 양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하남을 되찾았으며, 양나라와 수호관계를 맺어 후경을 고립시켰다. 이후 후경은 양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549년, 고징은 제왕으로 봉해졌다.[3] 그러나 주벽으로 인해 포악한 행동을 자주 보여 난경(蘭京)에게 살해당했다. 난경은 양나라 장군 난흠(蘭欽)의 아들로, 고징이 포로로 잡힌 아버지 난흠을 풀어주지 않아 원한을 품고 있었다.[2] 란경이 식사를 가져다준 후 방을 나가자, 고징은 "어젯밤, 이 노예가 칼로 나를 치는 꿈을 꿨어. 죽여야겠어."라고 말했고, 이 말을 엿들은 란경은 방으로 돌아와 고징을 칼로 찔러 죽였다.[3]

고징 사후, 동생 고양이 상국과 제왕을 물려받아 혼란을 수습하고, 550년 동위 효정제로부터 제위를 선양받아 북제를 건국했다.

3. 가족 관계

고징의 조부는 문목황제 고수생, 조모는 문목황후 한기희이다. 아버지는 신무황제 고환, 어머니는 무명황후 누소군이다.

고징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정실은 문양황후 원씨로 동위 효정제의 누이였다. 여루공주 우구려씨는 아나가이 칸의 딸로, 원래 고환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4] 그 외에도 낭야공주 원옥의와 원정의 자매, 송씨, 왕씨, 진씨, 연씨 등의 부인이 있었다. 원옥의와 원정의는 원용의 딸들이다. 궁인 이씨의 이름은 창의이다.

고징은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아들로는 하남강숙왕 고효유[5], 광녕왕 고효형, 안덕왕 고연종, 어양왕 고소신, 고장공 등이 있었다. 딸로는 낙안공주와 두 명의 공주가 있었다. 낙안공주는 최달나와 결혼했는데, 최달나는 최현의 아들이었다.

3. 1. 처첩

봉호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별칭비고
제왕비
(齊王妃)
양경황후
(襄敬皇后)
원씨(元氏)[7]
연연공주
(蠕蠕公主)
욱구려씨(郁久閭氏)530년 ~ 548년[8]
송씨(宋氏)
왕씨(王氏)
진씨(陳氏)
연씨(燕氏)


3. 2. 자녀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하남왕(河南王)강헌(康獻)고효유537년 ~ 563년송씨[9]
2광녕왕(廣寧王)고효형? ~ 577년왕씨
3난릉왕(蘭陵王)충무(忠武)고장공? ~ 573년
4하간왕(河間王)고효완541년 ~ 566년양경황후 원씨
5안덕왕(安德王)고연종544년 ~ 577년진씨
6어양왕(漁陽王)고소신(高紹信)연씨



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1낙안공주? ~ 577년양경황후 원씨최달라(崔達拏)
2공주양경황후 원씨
3공주여루공주



고징의 아들 여섯은 "문양육왕"으로 불렸다.


  • 하남왕 고효유 (어머니는 송씨)
  • 광녕왕 고효형 (어머니는 왕씨)
  • 난릉왕 고장공 (생모 불명)
  • 하간왕 고효완 (어머니는 양경황후 원씨)
  • 안덕왕 고연종 (어머니는 진씨)
  • 어양왕 고소신 (어머니는 연씨)


고징의 딸로는 낙안공주(양경황후 원씨 소생),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공주(양경황후 원씨 소생), 여루공주 소생의 공주가 있었다.

고효유의 아들은 고홍절, 고효완의 아들은 고정례, 고장공의 아들은 고모(이름과 자는 불명)이다.

고원간은 고장공의 손자로, 어머니 이름은 조경이다. 기록상 유일한 증손이다.

참조

[1] 서적 Gao Cheng's biography in Bei Qi Shu
[2] 서적 Lan Qin's biographies in Book of Liang and Nan Shi
[3] 서적 In Chen Yuankang's biography in Book of Northern Qi
[4] 문서 Gao Huan, as demanded by Yujiulü Anagui as one of the peace terms between Eastern Wei and Rouran, married the Princess Ruru in 545, and had her take the place of Princess Lou as his wife, but never formally divorced Princess Lou. After Gao Huan's death, pursuant to Rouran customs, the Princess Ruru became married to Gao Huan's son Gao Cheng, who also, however, did not formally divorce his wife Princess Yuan.
[5] 문서 killed by Emperor Wucheng of Northern Qi 563
[6] 문서 Poisoned by Gao Wei in 573
[7] 문서 풍익공주(馮翊公主)/발해왕비(勃海王妃)/문양황후(文襄皇后)
[8] 문서 유연(柔然) 가한 욱구려 아나괴(郁久閭 阿那瓌)의 딸. 재가 전에는 고환 (북위)|고환]]의 첩.
[9] 문서 하남군공(河南郡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