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체 레이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체 레이저는 기체 레이저에 비해 활성 중심의 농도가 높아 소형으로도 높은 증폭 이득과 출력을 얻을 수 있는 레이저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결정질 모재에 네오디뮴, 크로뮴, 에르븀, 툴륨, 이터븀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작하며, Nd:YAG 레이저가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고체 레이저는 램프 여기, 반도체 레이저 여기, 초단 펄스, 파이버 레이저, 마이크로칩 레이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연구, 의료,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대한민국 국방부는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레이저 기반 요격 체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체 레이저 - 루비 레이저
    루비 레이저는 1960년 테오도어 마이먼이 최초로 작동시킨 레이저로, 합성 루비 막대를 사용하여 694.3nm의 붉은색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초기에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미용 등 특정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체 레이저 - 파이버 레이저
    파이버 레이저는 유연한 광섬유를 매질로 레이저 광선을 발생 및 전달하며, 높은 출력, 효율적인 냉각, 우수한 빔 품질, 소형화, 낮은 유지 비용, 높은 신뢰성 및 안정성 등의 특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된다.
고체 레이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레이저
작동 매질고체
펌핑 방법광학 펌핑
전기 펌핑
작동 매질
종류결정
유리
반도체
활성 이온크롬
네오디뮴
에르븀
티타늄
툴륨
이터븀
특징
장점높은 출력
좋은 빔 품질
다양한 파장
다양한 응용
단점크기가 클 수 있음
냉각 시스템 필요
초기 비용이 높을 수 있음
응용 분야
산업절단
용접
마킹
미세 가공
의료수술
미용
치과
과학 연구분광학
비선형 광학
레이저 핵융합
군사레이저 유도 무기
거리 측정
통신광섬유 통신
자유 공간 광통신
역사
최초의 고체 레이저1960년 시오도어 메이먼이 개발한 루비 레이저
주요 발전네오디뮴 야그 레이저 개발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 개발
페이토초 레이저 개발
기타
관련 용어반도체 레이저
섬유 레이저
기체 레이저
참고 자료SAE Media Group - 고체 레이저 개요

2. 역사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3. 특징

기체 레이저에 비해 활성 중심의 농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높은 증폭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발진 출력도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발광 준위의 수명이 10-5에서 10-3초로 길기 때문에 Q 스위칭이 매우 효과적이며, 이 방법으로 시간폭이 좁은(~10-8초), 피크 출력이 매우 큰(106~108W) 펄스 발진을 얻을 수 있는 점이 고체 레이저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더욱 증폭함으로써 109~1012W와 같은 큰 피크 출력의 펄스도 얻을 수 있으며, 레이저 핵융합 실험 등 큰 피크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자주 사용된다.

4. 종류

고체 레이저는 여기 방식과 사용되는 매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램프 여기 고체 레이저''': 1960년 5월 시어도어 메이먼이 최초로 발진한 레이저로, 플래시 램프를 이용해 루비를 여기시키는 방식이다.[1] 비교적 저렴하여 연구용으로 쓰인다.[1]
  • '''반도체 레이저 여기 고체 레이저''': 램프 여기 방식보다 발열이 적고 빔 품질이 우수하지만, 광학계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1] 레이저 가공기에서는 YAG 레이저 대신 파이버 레이저가 주로 사용되지만, 펄스 발진에서는 여전히 고체 레이저가 유리하다.[1]
  • '''초단 펄스 고체 레이저''': 펨토초(fs, 10-15초)에서 피코초(ps, 10-12초) 단위의 매우 짧은 펄스폭을 가지는 레이저로,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피크 강도의 빛을 얻을 수 있다.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나 커 렌즈 모드 동기 Yb 고체 레이저 등이 있다.
  • '''파이버 레이저''': 희토류 원소가 첨가된 광섬유를 게인 매질로 사용하는 레이저로, 넓은 표면적 덕분에 평균 출력을 높이기 쉽다.[1]
  • '''마이크로칩 레이저''': 고체 레이저 공진기를 일체화하여 안정성과 경제성을 높인 레이저이다. 수동 Q스위치 마이크로칩 레이저의 경우, 간단한 광학계로도 높은 펄스 에너지와 짧은 펄스폭을 얻을 수 있다.

4. 1. 램프 여기 고체 레이저

세계 최초의 레이저 발진은 1960년 5월 시어도어 메이먼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때의 레이저는 플래시 램프 여기 루비 레이저였다.[1] 현재에도 램프 여기 Q스위치 고체 레이저는 비교적 저렴한 mJ급 펄스 레이저로서 연구 용도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1]

4. 2. 반도체 레이저 여기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여기 고체 레이저는 램프 여기에 비해 발열량이 적고 빔 품질도 우수하다. 그러나 여기 광학계가 복잡하고 램프 여기보다 고비용이 되기 쉬운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레이저 가공기에서 고체 레이저(YAG 레이저) 대신 파이버 레이저가 주류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CW(연속파) 평균 출력에서는 파이버 레이저가 더 우수하지만, 펄스 발진에서는 고체 레이저가 더 유리한 점이 많다. 특히 피크 강도, 펄스 에너지는 여전히 고체 레이저가 유리하다.[1]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게인 매질을 얇은 디스크 형태로 만들어 방열기에 붙인 thin disk laser도 있다.[1]

4. 3. 초단 펄스 고체 레이저

펄스 시간폭이 펨토초(fs, 10-15초)~피코초(ps, 10-12초)로 극단적으로 짧은 펄스 레이저이다. 펄스폭이 짧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피크 강도의 빛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나 커 렌즈 모드 동기 Yb 고체 레이저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파이버 레이저에서도 초단 펄스광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예: 비선형 편파 회전, 비선형 루프 미러, 반도체 포화 흡수 미러).

4. 4. 파이버 레이저

게인 매질이 희토류 원소를 첨가한 광섬유(유리)이기 때문에 광의의 고체 레이저에 포함된다.[1] 단위 체적당 표면적이 크고 평균 출력을 높이기 쉽다.[1] 한편 펄스 발진에서는 파이버 도파 중에 비선형 광학 효과가 발생하여 펄스 형태 변화나 파장 변환, 브릴루앙 산란에 의한 되돌아오는 빛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1] 현재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포토닉 결정에 의한 대형 모드 영역 파이버 등의 신기술이 연구되고 있다.[1]

4. 5. 마이크로칩 레이저

종래의 고체 레이저 공진기를 완전히 일체화하여 안정성과 경제성을 높인 고체 레이저이다. 특히 포화 흡수체를 일체화한 수동 Q스위치 마이크로칩 레이저에서는 1MW급의 고펄스 에너지와 펄스폭은 sub-ns(서브 나노초 10-10초)급의 펄스 레이저가 비교적 간단한 광학계로 실현 가능하다.

5. 작동 원리

고체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광 펌핑을 사용하여 플래시 램프, 아크 램프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펌핑된다.[1]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는 훨씬 더 효율적이며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의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훨씬 더 일반화되었다.[7]

여기에는 광 조사가 일반적인 방법이며, 펄스 동작에는 제논 플래시 램프가, 연속 동작에는 수은등이나 할로겐이 들어간 텅스텐 램프가 자주 사용된다. 최근에는 램프보다 광-광 변환 효율이 높은 반도체 레이저가 여기 광원으로 사용된다.

플래시 램프 여기 YAG 레이저에서는 최대 수십 Hz의 펄스 반복 주파수가 방열의 한계이지만, 반도체 레이저는 파장 순도가 높고 여기에 기여하는 여기광 파장 성분이 많기 때문에 더욱 높은 반복 동작이 가능하다.

5. 1. 레이저 매질

일반적으로 고체 레이저의 활성 매질은 유리 또는 결정질 "모재"로 구성되며, 여기에 네오디뮴, 크로뮴, 에르븀,[2] 툴륨[3] 또는 이터븀[4]과 같은 "첨가제"가 첨가된다. 많은 일반적인 첨가제는 희토류 원소이며, 이러한 이온의 여기 상태는 결정 격자의 열 진동(포논)과 강하게 결합되지 않고, 작동 임계값은 비교적 낮은 레이저 펌핑 강도에서 도달할 수 있다.

5. 2. 펌핑(Pumping)

고체 레이저 매질은 일반적으로 광 펌핑을 사용하여 플래시 램프, 아크 램프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펌핑된다.[1]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는 훨씬 더 효율적이며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의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훨씬 더 일반화되었다.[7]

고체 레이저의 여기 방법으로는 광 조사가 일반적이며, 펄스 동작에는 제논 플래시 램프가, 연속 동작에는 수은등이나 할로겐이 들어간 텅스텐 램프가 자주 사용된다. 최근에는 램프보다 광-광 변환 효율이 높은 여기 광원으로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된다.

플래시 램프 여기 YAG 레이저에서는 최대 수십 Hz의 펄스 반복 주파수가 방열의 한계이지만, 반도체 레이저는 파장 순도가 높고 여기에 기여하는 여기광 파장 성분이 많기 때문에 더욱 높은 반복 동작이 가능하다.

5. 3. 모드 동기(Mode locking)

고체 레이저와 광섬유 레이저의 모드 동기는 고에너지 초단펄스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1] 모드 동기 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종류의 포화 흡수체가 있다. 하나는 SESAM[8][9][10]이고 다른 하나는 SWCNT이다. 그래핀도 사용되어 왔다.[11][12][13] 이러한 재료들은 포화 흡수라고 하는 비선형 광학적 거동을 이용하여 레이저가 짧은 펄스를 생성하도록 한다.

6. 활용 분야

고체 레이저는 연구, 의료, 산업,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기체 레이저에 비해 활성 중심의 농도가 높아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높은 증폭 이득과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발광 준위의 수명이 길어 Q 스위칭이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시간폭이 좁고 피크 출력이 매우 큰 펄스 발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레이저 핵융합 실험 등 큰 피크 출력이 필요한 분야에 자주 사용된다.

6. 1. 군사적 활용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방부는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레이저 기반 요격 체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6. 1. 1. 미사일 방어

미사일 방어국은 고체 레이저 연구 2곳을 지원하고 있다.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는 DPAL(diode-pumped alkali laser)을 개발 중이며, 1MW 이상의 출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MIT 링컨 연구소는 FCL(fiber-combining laser)을 개발 중이다.

6. 1. 2. 대포 방어

미국 해군은 대포 방어 시스템(Counter-RAM)인 레이저 무기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300kW 출력의 고체 레이저를 개발 목표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레이저 기반 요격 체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

6. 2. 레이저 조정(Tuning)

일부 고체 레이저는 공진기 내부 에탈론, 프리즘, 회절격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가변으로 만들 수 있다.[6] 티타늄-첨가 사파이어는 660~1080 나노미터의 넓은 조정 범위로 널리 사용된다. 알렉산드라이트 레이저는 700~820 nm에서 조정 가능하며, 이득 매질의 더 긴 에너지 저장 시간과 더 높은 손상 임계값 때문에 티타늄-사파이어 레이저보다 더 높은 에너지 펄스를 생성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 Primer on Solid-State Lasers https://www.techbrie[...] SAE Media Group 2022-03-01
[2] 논문 Resonant pumped erbium-doped waveguide lasers us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cavities
[3] 논문 Ultra-compact and low-threshold thulium microcavity laser monolithically integrated on silicon
[4] 간행물 Ultra-Compact CMOS-Compatible Ytterbium Microlaser https://www.osapubli[...]
[5] 간행물 Continuous solid-state laser operation revealed by BTL http://www.gravityas[...] 1962-03-01
[6] 서적 Transition metal solid-state lasers Academic
[7] 웹사이트 Diode-Pumped Lasers: Performance, Reliability Enhance Applications https://www.photonic[...]
[8] 논문 Induced solitons formed by cross polarization coupling in a birefringent cavity fiber laser http://www.sciencene[...]
[9] 논문 Observation of high-order polarization-locked vector solitons in a fiber laser http://www3.ntu.edu.[...]
[10] 논문 Polarization rotation locking of vector solitons in a fiber ring laser http://www.sciencene[...]
[11] 논문 Large energy mode locking of an erbium-doped fiber laser with atomic layer graphene http://www3.ntu.edu.[...]
[12] 논문 Large energy soliton erbium-doped fiber laser with a graphene-polymer composite mode locker http://www3.ntu.edu.[...]
[13] 논문 Graphene: Mode-locked lasers 2009-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