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 이어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든 이어링은 1961년 결성된 네덜란드의 록 밴드이다. 1960년대에 네덜란드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1970년대 "레이더 러브"와 "트와일라잇 존" 등의 곡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2021년 기타리스트 조지 쿠이만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진단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팝 록에서 하드 록으로 음악 스타일을 변화시키며, 록 음악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레이더 러브"는 대표곡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비치 보이스
비치 보이스는 1958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로, 서핑 문화를 주제로 한 음악으로 시작하여 실험적인 작품을 통해 음악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브라이언 윌슨의 건강 문제 등 어려움 속에서도 활동을 이어갔다. - 1961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피터, 폴 앤 메리
피터, 폴 앤 메리는 1960년대 포크 리바이벌을 이끌며 시민권 운동에도 참여한 미국의 포크, 포크 록 그룹으로, "레몬 트리", "500마일"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1970년 해체 후 1981년 재결합하여 활동하다 메리 트래버스의 사망으로 활동을 마무리했다. - 네덜란드의 음악 그룹 - 랭크 1
네덜란드 출신 트랜스 음악 듀오 랭크 1은 "Airwave" 데뷔 후 "Such Is Life" 등으로 인기를 얻고 다양한 협업 및 리믹스, 여러 이름으로 활동하며 Trance Energy 앤섬 제작 등 트랜스 음악계에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음악 그룹 - O'G3NE
리사 볼, 에이미 볼, 셸리 볼 세 자매로 구성된 네덜란드 그룹 오지네는 2014년 《더 보이스 오브 홀란드》 우승과 201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네덜란드 대표 참가로 인기를 얻었으며, 이전에는 Lisa, Amy & Shelley로 활동하며 2007년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다.
골든 이어링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네덜란드 |
결성지 | 덴하흐 |
활동 기간 | 1961년 ~ 2021년 |
장르 |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
다른 이름 | 더 토네이도스 |
레이블 | 폴리도르 레코드 MCA 레코드 트랙 유니버설 컬럼비아 레코드 캐피틀 레코드 21 폴리그램 애틀랜틱 레코드 아토코 First Quake Red Bullet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이전 멤버 | 리아누 헤리트선 조지 쿠이만스 배리 헤이 세사르 자위더베이크 프레트 반 데르 힐스트 한스 반 헤르베르던 페터 데 론트 프랑스 크라센뷔르흐 야프 에허몬트 시프 바르너 베르튀스 보르허르스 엘코 헬링 로베르트 얀 스팁스 욘 라흐란트 필립 반 붐 |
2. 역사
1961년, 조지 쿠이만스와 리누스 헤리첸을 중심으로 골든 이어링이 결성되었다.[17] 1965년 첫 앨범 『Just Ear-rings』를 발매했고, 1968년 "Please Go"가 네덜란드에서 1위를 기록하며 여러 히트곡을 냈다.
1974년 "레이더 러브(Radar Love)"가 영국 7위, 미국 13위를 기록하며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다.[17] 1983년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은 미국에서 10위를 기록했다.
2021년, 쿠이만스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으로 은퇴하면서 밴드는 해산되었다.[17]
2. 1. 초기 (1961–1969)
1961년 헤이그에서 13세의 조지 코이만스와 그의 이웃인 15세 리누스 헤리첸에 의해 결성되었다. 원래 이름은 "더 토네이도스"였으나, 이미 더 토네이도스라는 이름을 쓰는 그룹이 있어 '''더 골든 이어링스'''로 이름을 바꾸었다.[7] 이 이름은 영국 그룹 더 헌터스가 연주한 "골든 이어링스"라는 기악곡에서 따온 것이다.[4] 이들은 더 헌터스의 오프닝 및 클로징 공연을 맡았다.초창기에는 프란스 크라센부르크가 리드 보컬, 야프 에거몬트가 드럼을 맡은 팝 록 밴드였다. 1965년 데뷔 싱글 "Please Go"를 녹음하여 히트했다.[5][7] 이 곡은 네덜란드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밴드의 매니저이자 공동 발견자인 프레드 하옌은 네덜란드 녹음 스튜디오에 불만을 느껴, 다음 싱글을 Pye Records 런던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도록 주선했다. Pye에서 녹음된 "That Day"는 네덜란드 차트에서 2위에 올랐다.
1967년에는 밴드 이름에서 정관사 'The'가 삭제되었고, 1969년에는 복수형 's'가 삭제되었다.[5] 1968년에는 배리 헤이가 합류하여 크라센부르크를 대신하여 프론트맨이 되었다.
2. 2. 국제적인 성공 (1970년대–1980년대)
1969년 드러머 세자르 자이더베이크(Cesar Zuiderwijk)가 밴드에 합류하면서 골든 이어링의 대표적인 라인업이 완성되었다.[7] 1970년대에 골든 이어링은 "레이더 러브(Radar Love)"(1973년)의 성공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7] 이 곡은 골드 인증을 받은 앨범 ''문탄(Moontan)''에 수록된 곡으로,[7] 유럽과 미국에서 모두 히트했다.[5]1969~1970년에 첫 미국 주요 투어를 시작했으며, 미국의 영향으로 하드 록 사운드로 변화했다.[7]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 레드 제플린(Led Zeppelin) 등 유명 밴드들과 함께 공연했으며, 1969년부터 1984년까지 13번의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 이 기간 동안 산타나(Santana), 킹 크림슨(King Crimson) 등의 오프닝 무대를 맡았다. 1973~74년 "레이더 러브"가 히트했을 때는 키스(Kiss)와 에어로스미스(Aerosmith)가 그들의 오프닝 무대를 맡았다.
1977년에는 런던 레인보우 극장에서 녹음한 라이브 앨범 ''라이브(Live)''를 발매했다.[7]
1982년에는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7]의 뮤직비디오가 MTV에서 인기를 얻으며 미국 시장에서 다시 한번 성공을 거두었다. 이 곡은 빌보드 차트에서 27주 동안 머물렀다.[8] 1984년에는 "웬 더 레이디 스마일즈(When the Lady Smiles)"가 캐나다에서 3위를 기록하고 네덜란드에서 5번째 1위 히트곡이 되었지만, 미국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 곡의 뮤직비디오는 내용 때문에 MTV에서 방송 금지되기도 했다.[9]
1984년 미국 투어 중, 뉴저지 주 식스 플래그스 그레이트 어드벤처(Six Flags Great Adventure)에서 공연하던 중 화재 사고로 8명의 10대가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 유럽으로 돌아가 활동을 이어갔으며, 1986년 ''더 홀(The Hole)'' 앨범 발매 후 잠시 휴식기를 가졌다. 1989년에는 ''키퍼 오브 더 플레임(Keeper of the Flame)''을 발매했다.[7]
2. 3. 후기 (1990년대–2021년)
1991년, 골든 이어링은 밴드의 친구였고 사고로 사망한 헬스 엔젤스 오토바이 갱 멤버에 대한 록 발라드 "Going to the Run"으로 네덜란드에서 또 다른 히트를 기록했다. 러시아 록 밴드 아리아는 "Going to the Run"을 Беспечный ангел|베스페치니 안겔ru("Careless Angel")로 커버하여 성공을 거두었다.[17] 1992년과 2004년 사이에는 3개의 어쿠스틱 라이브 언플러그드 앨범을 발매했고, 이 앨범들은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다.2011년, 골든 이어링은 결성 50주년을 기념했으며, 네덜란드 우편 서비스는 음악 링크가 포함된 우표로 이를 기념했다. 특별 앱이 있는 스마트폰을 음악 우표에 대면 골든 이어링의 "Radar Love"가 재생된다.
2012년 5월 11일, 밴드는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이 될 ''Tits 'n Ass''를 발매했다.
2021년 2월 5일, 밴드의 매니저는 네덜란드 언론에 조지 쿠이만스(George Kooymans)의 심각한 질병으로 인해 밴드의 활동이 종료되었다고 발표했다. 쿠이만스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을 앓아 은퇴했고, 같은 해 밴드는 해산을 발표했다.[17]
3. 멤버
골든 이어링은 1961년 결성 당시부터 리누스 헤리첸과 조지 코이만스가 멤버로 활동했으며, 1967년에는 배리 헤이가, 1970년에는 세자르 자이더웨이크가 합류하여[1] 2021년까지 멤버 변동 없이 활동했다.
3. 1. 최종 멤버
멤버 | 악기 | 활동 기간 |
---|---|---|
리누스 헤리첸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1961–2021 |
조지 코이만스 | 기타, 보컬 | 1961–2021 |
배리 헤이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1967–2021 |
세자르 자이더웨이크 | 드럼, 타악기 | 1970–2021 |
3. 2. 이전 멤버
이름 | 악기 | 활동 기간 |
---|---|---|
프레드 판 데르 힐스트 | 드럼, 타악기 | 1962년–1965년 |
한스 판 헤르워르던 | 기타 | 1962년–1963년 |
피터 데 론데 | 기타 | 1963년–1966년 |
프란스 크라센버그 | 보컬 | 1964년–1967년 |
자프 에헤르몬트 | 드럼, 타악기 | 1965년–1969년 |
십 바르너 | 드럼, 타악기 | 1969년–1970년 |
베르투스 보르허르스 | 색소폰 | 1973년–1976년 |
엘코 헬링 | 기타 | 1973년–1975년, 1976년–1978년 |
로베르트 얀 스팁스 | 키보드, 신시사이저 | 1974년–1976년, 1977년–1978년, 1980년, 1982년, 1986년 |
존 라그랑 | 하모니카 | 1979년 |
3. 3. 멤버 변천사
1961–1962 | 1962–1963 | 1963–1964 | 1964–1965 |
---|---|---|---|
1965–1966 | 1966–1967 | 1967–1969 | 1969–1970 |
1970–1973 | 1973–1974 | 1974–1975 | 1975–1976 |
1976 | 1976–1977 | 1977–1978 | 1978–2021 |
3. 4. 타임라인
멤버 | 1961–1962 | 1962–1963 | 1963–1964 | 1964–1965 |
---|---|---|---|---|
리누스 헤리트센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
조지 쿠이만스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
프레드 판 데르 힐스트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
한스 판 헤르워르던 | 기타 | |||
피터 데 론데 | 기타 | |||
프란스 크라센버그 | 보컬 | |||
멤버 | 1965–1966 | 1966–1967 | 1967–1969 | 1969–1970 |
리누스 헤리트센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조지 쿠이만스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
프란스 크라센버그 | 보컬 | 보컬 | ||
자프 에헤르몬트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
피터 데 론데 | 기타 | |||
배리 헤이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
십 바르너 | 드럼, 타악기 | |||
멤버 | 1970–1973 | 1973–1974 | 1974–1975 | 1975–1976 |
리누스 헤리트센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조지 쿠이만스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
배리 헤이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
세자르 자우더르위크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
베르투스 보르허르스 | 색소폰 | 색소폰 | 색소폰 | |
엘코 헬링 | 기타 | 기타 | ||
로베르트 얀 스팁스 | 키보드, 신시사이저 | 키보드, 신시사이저 | ||
멤버 | 1976 | 1976–1977 | 1977–1978 | 1978–2021 |
리누스 헤리트센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
조지 쿠이만스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기타, 보컬 | |
배리 헤이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 |
세자르 자우더르위크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드럼, 타악기 | |
로베르트 얀 스팁스 | 키보드, 신시사이저 | 키보드, 신시사이저 | ||
엘코 헬링 | 기타 | 기타 | 기타 |
- 리누스 헤리트센 – 베이스, 키보드, 기타, 하모니카 (1961–2021)
- 조지 쿠이만스 – 기타, 보컬 (1961–2021)
- 프레드 판 데르 힐스트 - 드럼, 타악기 (1962–1965)
- 한스 판 헤르워르던 - 기타 (1962–1963)
- 피터 데 론데 - 기타 (1963–1966)
- 프란스 크라센버그 - 보컬 (1964–1967)
- 자프 에헤르몬트 - 드럼, 타악기 (1965–1969)
- 배리 헤이 - 보컬, 기타, 플루트, 색소폰 (1967–2021)
- 십 바르너 - 드럼, 타악기 (1969–1970)
- 세자르 자우더르위크 - 드럼, 타악기 (1970–2021)
- 베르투스 보르허르스 - 색소폰 (1973–1976)
- 엘코 헬링 - 기타 (1973–1975, 1976–1978)
- 로베르트 얀 스팁스 - 키보드, 신시사이저 (1974–1976, 1977–1978, 1980, 1982, 1986)
- 존 라그랑 - 하모니카 (1979)
4. 음악 스타일
골든 이어링은 처음에 프란스 크라센부르크가 리드 보컬, 야프 에거몬트가 드럼을 맡은 팝 록 밴드로 시작하여, 1965년 데뷔 싱글 〈Please Go〉로 히트를 쳤다.[5][7] 1968년 배리 헤이가 합류하면서 밴드는 더욱 다채로운 음악을 선보였다.[7] 1969년 드러머 세자르 자이더베이크가 합류하여 골든 이어링의 대표적인 라인업이 완성되었다.[7]
1970년대에 밴드는 〈레이더 러브(Radar Love)〉(1973년)가 수록된 앨범 《문탄(Moontan)》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5][7] 이 시기 미국의 영향으로 지미 헨드릭스, 레드 제플린 등과 함께 공연하며 하드 록으로 음악 스타일이 변화했다.[7] 1982년에는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이 MTV에 방영되며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7][8] 1984년 〈웬 더 레이디 스마일즈(When the Lady Smiles)〉는 캐나다에서 3위를 기록하고 네덜란드에서 5번째 1위 히트곡이 되었지만, 뮤직비디오는 논란으로 인해 MTV에서 방송 금지되었다.[9]
5. 음반 목록
골든 이어링은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으며, 크게 스튜디오 앨범, 라이브 앨범,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나눌 수 있다.
스튜디오 앨범
앨범명 | 발매 연도 | 비고 |
---|---|---|
Just Ear-rings | 1965 | |
Winter-Harvest | 1967 | |
Miracle Mirror | 1968 | |
On the Double | 1969 | 2LP |
Eight Miles High | 1969 | |
Golden Earring | 1970 | |
Seven Tears | 1971 | |
Together | 1972 | |
Moontan | 1973 | |
Switch | 1975 | |
To the Hilt | 1976 | |
Contraband | 1976 | 미국에서는 Mad Love |
Grab It for a Second | 1978 | |
No Promises...No Debts | 1979 | |
Prisoner of the Night | 1980 | |
Cut | 1982 | |
N.E.W.S. | 1984 | |
The Hole | 1986 | |
Keeper of the Flame | 1989 | |
Bloody Buccaneers | 1991 | |
Face It | 1994 | |
Love Sweat | 1995 | 커버 앨범 |
Paradise in Distress | 1999 | |
Millbrook U.S.A. | 2003 | |
Tits 'n Ass | 2012 | |
The Hague | 2015 | EP |
라이브 앨범
앨범명 | 발매 연도 | 비고 |
---|---|---|
Live | 1977 | |
2nd Live | 1981 | 2LP |
Something Heavy Going Down | 1984 | |
The Naked Truth | 1992 | 어쿠스틱 |
Naked II | 1997 | 어쿠스틱 |
Last Blast of the Century | 2000 | |
Naked III, Live at the Panama | 2005 | 어쿠스틱 |
Live In Ahoy | 2006 |
컴필레이션 앨범
앨범명 | 발매 연도 | 비고 |
---|---|---|
Greatest Hits | 1968 | Polydor |
The Best of Golden Earring | 1970 | 미국 발매 |
Hearing Earring | 1973 | |
Story | 1977 | |
Greatest Hits, Vol. 3 | 1981 | |
The Very Best, Vol. 1 | 1988 | |
The Very Best, Vol. 2 | 1988 | |
The Continuing Story of Radar Love | 1989 | |
Radar Love | 1992 | |
Best of Golden Earring | 1994 | 유럽 발매 |
The Complete Naked Truth | 1998 | 어쿠스틱 |
70s & 80s, Vol. 35 | 1998 | |
Greatest Hits | 2000 | |
The Devil Made Us Do It: 35 Years | 2000 | |
Singles 1965-1967 | 2002 | |
Bloody Buccaneers/Face It | 2002 | |
3 Originals | 2003 |
5. 1. 주요 싱글
골든 이어링의 대표적인 싱글은 레이더 러브(Radar Love)(1973년),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1982년), 웬 더 레이디 스마일즈(When the Lady Smiles)(1984년)이다. 레이더 러브(Radar Love)는 유럽과 미국에서 모두 히트를 기록했다.[5][7]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은 딕 마스(Dick Maas)가 연출한 뮤직비디오로 유명하며, 미국 빌보드 차트에 27주 동안 머물렀다.[8] 웬 더 레이디 스마일즈(When the Lady Smiles)는 캐나다 3위, 네덜란드 1위를 기록했으나, 미국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9]싱글 | 발매 연도 | 설명 |
---|---|---|
레이더 러브(Radar Love) | 1973년 | 유럽과 미국에서 히트 |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 | 1982년 | 미국 빌보드 차트 27주 동안 기록 |
웬 더 레이디 스마일즈(When the Lady Smiles) | 1984년 | 캐나다 3위, 네덜란드 1위 기록 |
6.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GOLDEN EARRING
https://www.progarch[...]
2023-01-31
[2]
웹사이트
It's Prog Jim, But Not As We Know It: Golden Earring
https://www.louderso[...]
2014-10-28
[3]
서적
US-Singles: Joel Whitburn's Top Pop Singles 1955–2006
Billboard Books
[4]
웹사이트
Biography ! Golden Earring
https://golden-earri[...]
2023-05-05
[5]
웹사이트
Golden Earring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7-28
[6]
서적
Made in the Low Countries: Studies in Popular Mus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Heavy Rock
Virgin Books
1999
[8]
뉴스
Het internationale succes van Golden Earring: van nummer 1 tot gebande clip
https://www.nu.nl/mu[...]
2021-02-05
[9]
뉴스
Nothing to smile about in this truly odd Golden Earring video
https://www.tampabay[...]
2015-06-12
[10]
웹사이트
Postzegel voor de Golden Earring
http://www.westonlin[...]
2011-10-10
[11]
웹사이트
Ziekte George Kooymans betekent het einde van Golden Earring
https://nos.nl/l/236[...]
2021-07-18
[12]
웹사이트
Golden Earring guitarist George Kooymans seriously ill | Show
https://netherlandsn[...]
2021-07-18
[13]
AllMusic
Golden Earring – Artist Details
2023-04-04
[14]
AllMusic
Golden Earring Biography, Songs, & Albums
2023-04-04
[15]
웹사이트
It's Prog Jim, But Not As We Know It: Golden Earring
https://www.louderso[...]
Future Publishing
2023-04-05
[16]
문서
"'''ゴールデン・イアリング'''」の表記もある"
[17]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イヤリング、ジョージ・クーイマンのALS発症により60年のキャリアに幕
https://www.musiclif[...]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メント
2023-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