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과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과대학교는 공학 및 응용 과학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 산업화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 중요성이 커졌다. 세계 최초의 공과대학교는 1735년 헝가리에 설립되었으며,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과대학교가 등장했다. 국가별로 공과대학교와 폴리테크닉의 위상과 의미는 다르며, 독일, 스위스 등에서는 학위 수여 권한을 가진 고등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는 반면, 영국 등에서는 폴리테크닉이 대학교로 전환되면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는 기술 인력 부족, 교육의 질 저하 등과 같은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학 관련 기관 - SAE International
    SAE International은 자동차, 항공우주 등 모빌리티 기술 분야의 표준 제정, 전문 교육, 컨퍼런스 개최, 출판, STEM 교육 지원 등을 수행하는 비영리 교육 과학 기술 조직이다.
  • 공학 관련 기관 - 과학기술원
  • 공학 교육 - 고등전문학교
    고등전문학교는 일본의 5년제 기술 교육 기관으로, 중학교 졸업 후 입학하여 준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이론과 실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산업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 직업에 필요한 능력 육성을 목표로 한다.
  • 공학 교육 - 공학박사
    공학박사는 공학 분야에서 전문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인정받아 수여되는 학위로, 연구 중심의 철학박사(Ph.D. in Engineering)와 실무 중심의 공학박사(Eng.D.)로 나뉘며 국가별로 다양한 명칭과 특징을 가진다.
  • 유형별 대학 - 의과대학
    의과대학은 의사를 양성하는 고등 교육기관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교육 시스템과 기간을 가지며, 기초 및 임상 의학 교육을 포함한 과정을 거쳐 졸업 후 국가 의료 면허 시험을 통해 의사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 유형별 대학 - 대학원대학
    대학원대학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만 운영하는 대학으로, 일본 「학교교육법」에 따라 설립되며, 2003년 전문직대학원 설치 인정 이후 일본에서 증가하는 추세이고, 일본 외 프랑스,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교육 시스템에 맞춰 운영되며, 설립과 운영은 각국의 교육 정책 및 사회적 요구와 관련이 있다.
공과대학교

2. 역사

공과대학교와 폴리테크닉은 적어도 18세기부터 존재해 왔다. 산업화로 인해 새롭게 생겨난 필요에 따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학 및 응용 과학 교육이 확장되면서 인기를 얻었다.[1]

세계 최초의 공과대학교는 1735년 헝가리 왕국 Banská Štiavnica(반스카슈티아브니차)에서 비엔나 궁정청에 의해 설립된 Berg-Schola이다. 이는 헝가리의 산업 혁명 요구에 따라 귀금속 및 구리 채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가장 오래된 독일 공과대학교는 1745년 "Collegium Carolinum"으로 설립된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이다. 프랑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École Polytechnique)는 1794년에 설립되었다.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터키, 대만과 같은 여러 국가에서 공과대학교는 고등 교육 기관이며 학위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인가를 받았다. 유명한 예로는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 델프트 공과대학교, 아헨 공과대학교(RWTH Aachen), 국립 대만 과학 기술 대학교가 있다.

이란, 핀란드, 말레이시아, 포르투갈, 싱가포르 또는 영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폴리테크닉과 대학교 사이에 상당하고 혼란스러운 구분이 있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고등 교육 기관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지만, 여러 국가의 폴리테크닉과 공과대학교는 서로 다른 법규, 교육 능력 및 조직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일본의 경우, 과거의 공업대학, 공과대학은 주로 공학에 특화된 분과대학·단과대학이었으나, 현재는 이공계 종합대학으로 발전한 경우가 적지 않다. 가장 오래된 "공과대학" 명칭은 도쿄 제국대학 도쿄 제국대학 공과대학(현재의 도쿄 대학 공학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대에는 주로 '''Institute of Technology'''로 영어 표기되지만, 과거에는 단과대학·분과대학의 관점에서 '''College of Engineering''' 등으로 표기되었다.

2. 1. 대한민국

금오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카이스트영어, 1981년)

포항공과대학교(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포스텍영어, 1986년)

3. 유형 및 특징

공과대학교와 폴리테크닉산업화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학 및 응용 과학 교육이 확장되면서 인기를 얻었다.[1] 세계 최초의 공과대학교는 1735년 헝가리 왕국 Selmecbánya(현재 슬로바키아 Banská Štiavnica)에서 설립된 Berg-Schola(미슈콜츠 대학교가 법적 후계자)였다.[1]

프랑스에콜 폴리테크니크는 1794년에 설립되었다.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터키, 대만 등 여러 국가에서 공과대학교는 고등 교육 기관이며 학위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 델프트 공과대학교, 아헨 공과대학교(RWTH Aachen), 국립 대만 과학 기술 대학교 등이 대표적이다.

이란, 핀란드, 말레이시아, 포르투갈, 싱가포르, 영국 등에서는 폴리테크닉과 대학교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영국은 대학교(연구 중심)와 폴리테크닉(실무 중심)으로 이원화되었으나, 1992년 폴리테크닉이 대학교로 지정되어 자체 학위를 수여하게 되었다.[3] 아일랜드에서는 "공과대학교"가 "지역 기술 대학"의 동의어로 쓰이지만, 더블린 공과대학교는 학위 수여 권한이 있다.[2] 2018년 아일랜드는 기술 대학교법을 통해 공과대학교의 기술 대학교 전환을 허용했다.[3]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공과대학교와 폴리테크닉은 고등 교육 기관으로 간주되지만, 법규, 교육 능력, 조직 역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4][5] "폴리테크닉"은 응용 과학 및 공학에 집중하는 엘리트 기술 대학교를 의미하기도 하고, 학위 수여 권한을 얻기 전에는 직업 교육 기관을 지칭하기도 했다. 많은 폴리테크닉은 중간 기술 교육 학교에서 승격되었으며, 행정 법규 변경으로 "공과대학교", "폴리테크닉 대학교", "응용 과학 대학교", "기술 대학교" 등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4][5]

이러한 변화는 전문 기술 인력 부족, 대학원생 실업률 증가 등의 우려를 낳았으며, 교육 시스템이 국가 통제를 받지 않고 모든 기관이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국가에서 주로 발생한다. 기술 기관의 고등 교육 기관 전환 가속화로 교육의 질 저하 및 졸업생의 직장 준비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6][7]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폴리테크닉"은 1970년대~1990년대 초 직업 교육과 고등 교육을 모두 제공하는 주립 기술 학교를 지칭했다. 1990년대에 이들 대부분은 대학교와 합병되거나 자체적으로 대학교를 설립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이 용어는 기술 중심 기술 및 추가 교육 (TAFE) 기관에 적용되었으며, 주로 직업 교육을 제공하지만 일부는 응용 학사 학위도 제공한다.

2009년 태즈매니아의 옛 대학 시스템과 TAFE 태즈매니아는 태즈매니아 폴리텍 등으로 개편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7개의 지정된 기술 대학교가 있다.



;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에는 국립 및 사립 공과대학교, 공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일반/기술/특수 대학교, 사립 폴리텍 연구소 등이 있다.
국립 공과대학교

  • 방글라데시 공과대학교(BUET)
  • 치타공 공과대학교(CUET)
  • 쿨나 공과대학교(KUET)
  • 라지샤히 공과대학교(RUET)
  • 다카 공과대학교(DUET)

공학 프로그램 제공 대학교
사립 공과대학교

  • 아산울라 과학 기술 대학교(AUST)
  • 군사 과학 기술 연구소(MIST)

국제 공과대학교

  • 이슬람 기술 대학교(IUT)

기타 공학 교육 제공 대학교

  • 미국 국제 대학교-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비즈니스 기술 대학교
  • 노스 사우스 대학교
  • 국제 이슬람 대학교 치타공
  • 이스트 웨스트 대학교
  • BRAC 대학교
  • 독립 대학교, 방글라데시
  • 유럽 방글라데시 대학교

정부 지원 및 사립 폴리텍 연구소 등

  • 방글라데시 유리 및 세라믹 연구소
  • 다카 폴리텍 연구소
  • 치타공 폴리텍 연구소
  • 방글라데시 측량 연구소
  • 정부 예술 그래픽 연구소
  • 방글라데시 해양 기술 연구소
  • 마이멘싱 공학 대학
  • 나라양곤지 기술 학교 및 대학


; 캄보디아

캄보디아에는 기술/폴리텍 연구소와 대학교가 있으며, 이들은 독립적인 기관이다.
기술/폴리텍 연구소

  • 캄보디아 기술 연구소(ITC)
  • 프놈펜 기술 연구소(PPIT)

대학교

  • 프놈펜 왕립 대학교(RUPP)


; 캐나다

캐나다에는 칼리지, 기술/폴리테크닉 전문대학이 있으며, 이들은 독립 기관이다. 부속 학교는 국립 대학교에 부설된 폴리테크닉 부서이다.

에콜 드 테크놀로지 수페리에르(École de technologie supérieure) 및 에콜 폴리테크니크 드 몽레알(École Polytechnique de Montréal) 등 대학 부속 학교는 대학원 및 박사후 과정도 제공한다.

일부 칼리지 및 폴리테크닉 전문대학은 Polytechnics Canada를 통해 산학 협력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부속 학교

  • 에콜 드 테크놀로지 수페리에르(ETS) (퀘벡 대학교 시스템)
  • 에콜 폴리테크니크 드 몽레알 (몬트리올 대학교 부속)

칼리지

  • 알곤퀸 칼리지
  • 코네스토가 칼리지
  • 조지 브라운 칼리지
  • 험버 칼리지
  • 레드 리버 칼리지
  • 세네카 폴리테크닉
  • 세인트 클레어 칼리지

기술/폴리테크닉 전문대학

  • 브리티시 컬럼비아 공과대학교 (BCIT)
  • 콴틀렌 폴리테크닉 대학교
  • 노던 앨버타 공과대학교 (NAIT)
  •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 서스캐처원 폴리테크닉
  • 셰리던 칼리지
  • 서던 앨버타 공과대학교 (SAIT)
  • 레드 디어 폴리테크닉 (RDP)
  • 온타리오 공과대학교 (UOIT)

3. 1. 교육 과정 및 연구 분야

공과대학교는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실무 중심 교육과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연구 중심 대학으로서 연구소 운영, 기술 개발, 산학 협력 등에도 힘쓰고 있다.

공과대학교는 교수 자격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으며 연구에 중점을 둔다. 대표적인 공과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 그라츠 공과대학교 (1811년 설립, 1975년부터 종합 대학교)
  • 빈 공과대학교 (1815년 설립, 1975년부터 종합 대학교)
  • 빈 국립자원생명과학대학교 (농업에 중점, 1975년부터 종합 대학교)
  • 레오벤 대학교 (광업, 야금, 재료 분야 특화, 1975년부터 종합 대학교)


여러 종합 대학교에는 교수 자격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으며 연구에 중점을 두는 기술 학부가 있다. 대표적인 기술 학부는 다음과 같다.

  • 요하네스 케플러 린츠 대학교 (1965년 공학 및 자연 과학 학부 설립, 1975년 종합 대학교)
  • 인스브루크 대학교 (1969년 토목 공학 학부 설립)
  • 알펜-아드리아 클라겐푸르트 대학교 (2007년 기술 과학 학부 설립)


응용과학대학교는 독일식 고등 교육 기관 유형으로, 학사 학위 및 석사 학위를 수여하며, 연구보다 교육에, 과학보다는 특정 직업에 더 중점을 둔다.

3. 2. 국가별 유형

; 일본

일본의 공업대학과 공과대학은 과거 공학에 특화된 분과대학 또는 단과대학이었으나, 현재는 이공계 종합대학으로 발전한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 "공과대학"이라는 명칭은 도쿄 제국대학의 분과대학이었던 도쿄 제국대학 공과대학(현재의 도쿄 대학 공학부)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교토 제국대학 공과대학(현재의 교토 대학 공학부), 규슈 제국대학 공과대학(현재의 규슈 대학 공학부), 만주국의 뤼순 공과대학 등이 있었다.

"공업대학"이라는 명칭은 단과대학으로 설립된 도쿄 공업대학(현재의 도쿄 과학대학 공학원)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구제 대학으로는 오사카 공업대학(현재의 오사카 대학 공학부), 후지와라 공업대학(현재의 게이오기주쿠 대학 이공학부), 흥아 공업대학(현재의 지바 공업대학)이 있었다.

현대에는 주로 '''Institute of Technology'''로 영어 표기되지만, 과거에는 단과대학·분과대학의 관점에서 '''College of Engineering''' 등으로 표기되었다. 예를 들어, 도쿄 공업대학의 과거 영어 표기는 관습적으로 '''Tokyo College of Engineering'''이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재의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로 정식으로 정해졌다.

특수한 예로,

  • 교토 공예섬유대학은 Kyoto '''Institute of Technology'''
  • 과학기술대학원대학(호쿠리쿠 첨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 나라 첨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원대학)은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기술과학대학(도요하시 기술과학대학, 나가오카 기술과학대학)은 '''University of Technology'''

로 표기된다.

아래는 명칭에 공업대학, 공과대학 (및 이에 상당하는 외국어)을 포함하거나, 공학 계열 학부만으로 구성되었거나, 과거에 공학 계열 학부만으로 구성되었던 대학들이다. 단, 일부는 이학, 농학, 의학 계열 학부를 포함하며, 인문 계열 또는 문·이과 융합 학부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표기한다.

대학명영어 표기설립 연도비고
마에바시공과대학Maebashi Institute of Technology영어1997년
고치공과대학Kochi University of Technology영어1997년매니지먼트 학부 있음
공립 스와 도쿄 이과대학Suwa University of Science영어2002년2018년부터 공립대학법인
산요오노다 시립 야마구치 도쿄 이과대학Sanyo-Onoda City University영어
과거 Tokyo University of Science, Yamaguchi영어
1995년2016년부터 공립대학법인
산업기술대학원대학Advanced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영어2006년
공립 치토세 과학 기술 대학Chitos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영어1997년


4. 한국의 공과대학교

한국에는 금오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가 있다.[1]

4. 1. 개요

공과대학교는 과학 기술 연구와 교육에 특화된 고등 교육 기관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과학기술 중심 국정 운영을 강조하며 공과대학교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한국의 공과대학교는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에 따라 공과대학교는 인재 양성과 연구 개발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4. 2. 주요 대학

국가기관명설립 연도비고
대한민국금오공과대학교
대한민국포항공과대학교
아르헨티나국립 기술 대학교
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 기술 연구소
아르헨티나발세이로 연구소
벨라루스벨라루스 국립 기술 대학교 (BNTU)민스크 |
벨라루스 국립 기술 대학교 (BSTU)민스크 |
벨라루스 국립 정보 및 무선 전자 공과 대학교민스크 |
브레스트 국립 기술 대학교브레스트 |
고멜 파벨 수호이 국립 기술 대학교고멜 |
비테프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비테프스크 |
네덜란드델프트 공과대학교
아인트호벤 공과대학교
트웬테 대학교
바헤닝언 대학교
브라질연방 기술 교육 센터
미나스제라이스 연방 기술 교육 센터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기술 교육 센터
연방 교육 과학 기술 연구소
바이아 연방 연구소
상파울루 연방 연구소
파라나 연방 기술 대학교
군사 공학 연구소
브라질항공 기술 연구소
브라질Inatel
브라질상파울루 주립 기술 대학
일본기타미 공업대학1966년
일본무로란 공업대학1949년
일본나고야 공업대학1949년
일본큐슈 공업대학1949년
일본나가오카 기술과학대학1976년
일본도요하시 기술과학대학1976년
일본호쿠리쿠 첨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1990년
일본나라 첨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1991년
일본도쿄과학대학 (구 도쿄공업대학)1929년
일본교토공예섬유대학1949년
일본전기통신대학1949년
일본도쿄농공대학1949년
일본하치노헤 공업대학1972년
일본도호쿠 공업대학1964년
일본아시카가 공업대학1967년
일본사이타마 공업대학 (구 세이쿄 공업고등전문학교)1976년인간사회학부 있음
일본일본공업대학1967년
일본지바 공업대학1942년
일본시바우라 공업대학1949년
일본아이치 공업대학1959년경영학부 있음
일본도요타 공업대학1981년
일본가나자와 공업대학1965년
일본후쿠이 공업대학1965년
일본오사카 공업대학1949년지적재산학부 있음
일본히로시마 공업대학1963년
일본후쿠오카 공업대학1963년사회환경학부 있음
일본서일본 공업대학1967년
일본구루메 공업대학1976년
일본제1공과대학1968년
일본도호쿠예술공과대학1991년
일본도쿄공과대학1986년문·이과 융합의 미디어학부, 디자인학부가 있음
일본가나가와공과대학 (구칭 이쿠토쿠공업대학, 구 이쿠토쿠공업고전)1975년
일본쇼난공과대학 (구칭 사가미공업대학)1963년
일본니가타공과대학1995년
일본시즈오카이과기술대학1991년
일본아이치공과대학2000년
일본고베예술공과대학1989년
일본도쿄 이과대학1949년경영학부 있음
일본오카야마 이과대학1964년종합 정보 학부 사회 정보 학과 있음
일본오키나와 과학 기술 대학원 대학2011년
일본도쿄공예대학 (구 도쿄사진대학)1950년이공계의 공학부에 더해 1994년에 문과계의 예술학부를 갖춰 종합대학화했지만, 공예 융합을 목표로 한다
일본도쿄도시대학 (구 무사시공업대학)1949년문과계 학부의 인간과학부와 문리 융합의 환경학부, 미디어정보학부, 도시생활학부
일본도쿄전기대학1949년
일본공학원대학1949년
일본홋카이도과학대학 (구 홋카이도공업대학)1967년
일본오사카전기통신대학1967년
일본도쿄정보대학1988년문리 융합
일본모노즈쿠리대학2001년
일본도인요코하마대학 (구 도인공업고등전문학교)1988년종합대학화
일본주부대학1964년종합대학화
일본다이도대학문리 융합의 정보학부가 있음
일본세쓰난대학 (구 오사카공업고전)1975년종합대학화
일본히로시마전기대학종합대학화


4. 3. 역할 및 과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공과대학교는 핵심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 과학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과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연구 개발: 첨단 기술 분야의 연구 개발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고, 이를 산업 현장에 적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
  • 지역 사회 기여: 산학 협력, 창업 지원 등을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한다.
  • 글로벌 인재 양성: 국제적인 감각과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지속 가능한 발전: 환경, 에너지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에 힘쓰고, 미래 세대를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한다.
  • 윤리적 문제 인식 제고: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첨단 기술 발전에 따라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인재를 양성한다.

5. 세계의 공과대학교

세계의 공과대학교는 산업화로 인한 필요에 따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학 및 응용 과학 교육이 확장되면서 인기를 얻었다. 세계 최초의 공과대학교는 1735년 헝가리 왕국 Selmecbánya(현재 슬로바키아 Banská Štiavnica)에 설립된 Berg-Schola이다.[1] 가장 오래된 독일 공과대학교는 1745년 설립된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이며, 프랑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는 1794년에 설립되었다.

여러 국가에서 공과대학교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 학위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 델프트 공과대학교, 아헨 공과대학교(RWTH Aachen), 국립 대만 과학 기술 대학교 등이 그 예이다.

영국에서는 대학교(연구 중심)와 폴리테크닉(공학, 응용 과학 및 전문 실무 중심)으로 구성된 이원화된 고등 교육 시스템이 있었다. 1992년, 영국의 폴리테크닉은 대학교로 지정되어 자체 학위를 수여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더블린 공과대학교가 법에 따라 학위를 수여할 수 있으며,[2] 코크 공과대학교[2] 등은 석사 및 박사 학위 수여 권한을 위임받았다. 2018년, 아일랜드는 기술 대학교법을 통과시켜 여러 공과대학교가 기술 대학교로 전환될 수 있도록 했다.[3]

5. 1. 개요

아르헨티나의 국립 기술 대학교는 전국에 지역 학부를 둔 주요 기술 연구 고등 교육 기관이다. 부에노스 아이레스 기술 연구소(ITBA)와 발세이로 연구소도 인정받는 기술 연구소이다.[9]

호주에서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주립 기술 학교들이 직업 교육과 고등 교육을 모두 제공했다. 1990년대에 이들 대부분은 기존 대학교와 합병되거나 새로운 대학교를 설립하면서 '기술 대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일부 기술 및 추가 교육(TAFE) 기관에도 이 용어가 적용되었으며, 이들은 주로 직업 교육을 제공하지만 일부는 응용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고등 교육으로 확장하고 있다. 2009년에는 태즈매니아에서 TAFE 태즈매니아 등이 3년간의 구조 조정을 거쳐 태즈매니아 폴리텍 등으로 발전했다.

호주에는 7개의 지정된 기술 대학교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대학교이다.

대학교명위치
커틴 대학교서호주
퀸즐랜드 기술 대학교퀸즐랜드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빅토리아
스윈번 기술 대학교빅토리아
캔버라 대학교호주 수도 특별구
남호주 대학교남호주
시드니 기술 대학교뉴사우스웨일스



캄보디아에는 자격증, 디플로마 및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술/폴리텍 연구소와 대학교가 있다. 캄보디아 기술 연구소(ITC)와 프놈펜 기술 연구소(PPIT)는 폴리텍 연구소이며, 프놈펜 왕립 대학교(RUPP)는 폴리텍 대학교이다.

캐나다에는 칼리지, 기술/폴리테크닉 전문대학, 대학교가 있으며, 견습, 인증서, 학위증명서, 전문학사 및 준학사 학위를 제공한다. 일부 대학 부속 학교는 대학원 및 박사후 과정도 제공한다. 캐나다의 고등 교육 기관들은 공공 자금, 사모 펀드, 산업 자원 등을 통해 연구를 수행한다. Polytechnics Canada는 11개의 주요 연구 중심 칼리지 및 기술 연구소의 연합으로, 협력 기관-산업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캐나다의 주요 칼리지 및 폴리테크닉 전문대학은 다음과 같다.

종류기관명위치
부속 학교에콜 드 테크놀로지 수페리에르(ETS)퀘벡주 몬트리올
에콜 폴리테크니크 드 몽레알퀘벡주 몬트리올
칼리지알곤퀸 칼리지온타리오주 오타와
코네스토가 칼리지온타리오주 키치너
조지 브라운 칼리지온타리오주 토론토
험버 칼리지온타리오주 토론토
레드 리버 칼리지매니토바주 위니펙
세네카 폴리테크닉온타리오주 토론토
기술/폴리테크닉 전문대학브리티시 컬럼비아 공과대학교 (BCIT)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나비
콴틀렌 폴리테크닉 대학교브리티시컬럼비아주 서리
노던 앨버타 공과대학교 (NAIT)앨버타주 에드먼턴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교온타리오주 토론토
서스캐처원 폴리테크닉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
셰리던 칼리지온타리오주 오크빌
서던 앨버타 공과대학교 (SAIT)앨버타주 캘거리


5. 2. 아시아

טכניון - מכון טכנולוג|테크니온 - 이스라엘 공과대학교he(, 1924년)

دانشگاه صنعتی امیرکبیر|아미르카비르 공과대학교fa(, 1958년)

인도 공과대학교(Indian Institutes of Technology, IIT, 1951년)

인도 정보 기술 대학교(Inter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1년)

반둥 공과대학교(, '''ITB''', 1920년)

한국과학기술원(, '''KAIST''', 1981년)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1986년)

국립 타이완 과학기술대학(, 1997년)

국립 타이베이 과학기술대학(, 1997년)

국립 윈린 과학기술대학(, 1997년)

국립 핑둥 과학기술대학(, 1997년)

국립 후웨이 과학기술대학(, 2004년)

국립 펑후 과학기술대학(, 2005년)

국립 친이 과학기술대학(, 2007년)

국립 타이중 과학기술대학(, 2011년)

국립 가오슝 과학기술대학(, 2018년)

브루나이 공과대학교(Institut Teknologi Bruneims, 1982년)

홍콩 이공대학(, 1937년)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1991년)

마카오 이공대학(Macao Polytechnic University, 1981년)

마카오 과학기술대학(Maca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0년)

Polsko-Japońska Wyższa Szkoła Technik Komputerowych|폴란드-일본 정보 기술 대학교pl(1994년)

우랄 공과대학교(Ур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ru, Ural State Technical University영어, 1920년)

이스탄불 공과대학교(İstanbul Teknik Üniversitesi, İTÜ)

중국의 현대 고등 교육은 1895년 톈진 대학에서 시작되었으며, 공과 및 법학부를 갖추고 있었다. 인문학은 3년 뒤 수도 대학에서 처음 개설되었다. 오늘날 중국 엘리트 대학의 약 절반은 공과 대학이다. 하얼빈 공업 대학은 중국과 세계 최고의 공과 대학 중 하나이다.[11][12][13]

5. 3. 유럽



유럽의 공과대학교는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독일독일의 공과대학교 연합인 '''TU9'''는 2003년에 비공식 협회로 시작하여 2006년 1월 26일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에서 공식 출범하였다.[53] TU9에 소속된 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프랑스프랑스의 공학 교육은 주로 기술 계열 그랑제콜에 속하는 공과대학 (École d'ingénieur)에서 이루어진다. 주요 공과대학은 다음과 같다.

  •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É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ées, École des Ponts ParisTech) (1747년 설립)
  • 파리테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ts et métiers, Arts et Métiers ParisTech) (1780년 설립)
  • 파리 국립광업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mines de Paris, MINES ParisTech) (1783년 설립)
  • 에콜 폴리테크닉(École polytechnique) (1794년 설립)
  • 에콜 센트랄 파리(École centrale des arts et manufactures de Paris) (1829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릴(École des arts industriels et des mines de Lille) (1854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리옹( École centrale Lyonnaise pour l'industrie et le commerce) (1857년 설립)
  • 국립고등정보통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télécommunications, Télécom Paris, Télécom ParisTech) (1878년 설립)
  • 고등상업학교(École des hautes études commerciales de Paris, HEC Paris) (1881년 설립)
  • 고등물리화학산업학교(École supérieure de physique et de chimie industrielles de la ville de Paris, ESPCI ParisTech) (1882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마르세유(École centrale de Marseille) (1890년 설립)
  • 수펠레크(École Supérieure d'Electricité) (1894년 설립)
  • 국립고등화학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 chimie de Paris, Chimie ParisTech) (1896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낭트(École centrale de Nantes) (1919년 설립)
  • 고등광학학교(Institut d'Optique Graduate School) (1920년 설립)
  • 국립고등통계경제행정학교(École nationale de la statistique et de l'administration économique, ENSAE ParisTech) (1942년 설립)
  • 국립고등선진기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 techniques avancées, ENSTA ParisTech) (1970년 설립)
  • 파리테크 생명과학 연구소(Institut des sciences et industries du vivant et de l'environnement, AgroParisTech) (2007년 설립)

스위스스위스의 대표적인 공과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네덜란드네덜란드의 주요 공과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 델프트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TU Delft)
  • 아인트호벤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기타 국가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Kungliga Tekniska högskolan,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1827년 설립)
  • 찰머스 공과대학교(Chalmers tekniska högskolan,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1829년 설립)
  • 카우나스 공과대학교(Kauno Technologijos Universitetas, Kaunas University of Technology) (1949년 설립)
  • 토리노 공과대학교(Politecnico di Torino) (1859년 설립)
  • 밀라노 공과대학교(Politecnico di Milano) (2003년 설립)

5. 4. 북미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는 1861년에 설립된 사립 대학으로,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렌셀러 공과대학교(RPI)는 1824년에 설립된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공업 대학이다.

다음은 미국의 주요 공과대학교 목록이다.

5. 5. 오세아니아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호주에서 '공과대학교'라는 용어는 직업 교육과 고등 교육을 모두 제공하는 주립 기술 학교를 지칭했다. 이들은 고등 교육 대학 시스템의 일부였으나, 1990년대에 대부분 기존 대학교와 합병되거나 자체적으로 새로운 대학교가 되었다. 이들 새로운 대학교는 법적인 목적보다는 마케팅을 위해 '기술 대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호주 기술 네트워크는 각 주에서 가장 두드러진 이러한 대학교들이 몇 년 후 설립한 단체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공과대학교'라는 용어는 기술 중심적인 일부 기술 및 추가 교육(TAFE) 기관에 적용되었다. 2014년 노던 멜버른 TAFE 연구소가 멜버른 폴리텍으로 브랜드 변경 및 재포지셔닝한 것이 최근 사례이다.[9] 이들은 주로 직업 교육을 제공하지만, 멜버른 폴리텍과 같이 일부 기관은 직업 지향적인 응용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고등 교육으로 확장하고 있다. 뉴사우스웨일스주와 호주 수도 특별구에서 이 용어가 역사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2009년, 태즈매니아의 옛 대학 시스템과 TAFE 태즈매니아는 3년간의 구조 조정을 통해 태즈매니아 폴리텍, 태즈매니아 기술 연구소, 태즈매니아 아카데미로 발전했다.

호주 고등 교육 부문에는 7개의 지정된 기술 대학교가 있다. (단, 캔버라 대학교 및 남호주 대학교와 같이 "기술 대학교"라는 문구를 모두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대학교로 전환되기 전에는 고등 교육 대학이었다.

이들 기관은 교수 자격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으며 연구에 중점을 둔다.

6. 논란 및 쟁점

여러 국가에서 폴리테크닉과 공과대학교는 서로 다른 법규, 교육 능력 및 조직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많은 경우, "폴리테크닉"은 응용 과학 및 공학에 집중하는 엘리트 기술 대학교였으며, 학위를 수여할 독점적인 권한을 부여받기 전에는 직업 교육 기관을 지칭하는 용어였을 수도 있다.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많은 폴리테크닉은 중간 기술 교육 학교로서의 원래 역할에서 공식적으로 업그레이드된 결과이다. 어떤 경우에는 이전의 폴리테크닉 또는 기타 비대학교 기관이 행정상의 법규 변경을 통해 "공과대학교", "폴리테크닉 대학교", "응용 과학 대학교" 또는 "기술 대학교"와 같은 새로운 명칭을 도입하기도 했다.[4][5]

이러한 폴리테크닉, 직업 교육 및 기술 학교의 대학교 전환은 전문 중간 기술 전문가 부족으로 인한 산업 기술 부족, 대학원생 실업률 증가와 같은 우려를 낳았다. 이는 교육 시스템이 국가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모든 기관이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국가에서 주로 발생한다. 또한 기술 기관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교육의 전반적인 질과 졸업생의 직장 준비도가 감소했다는 증거도 나타났다.[6][7] Mentz, Kotze 및 Van der Merwe는 기술이 고등 교육, 특히 기술 대학교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논쟁을 촉진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논쟁을 위한 몇 가지 질문을 제기한다고 주장한다.[8]

6. 1. 공과대학 명칭 논쟁

산업화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학 및 응용 과학 교육이 확장되면서 "공과대학교"와 "폴리테크닉"이라는 명칭은 18세기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그 의미와 사용 방식은 국가별, 시대별로 차이를 보인다.

세계 최초의 공과대학교는 1735년 헝가리 왕국 Selmecbánya(현재 슬로바키아 Banská Štiavnica)에서 설립된 Berg-Schola이다.[1] 이는 산업 혁명의 요구에 따라 광산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공과대학교는 1745년 설립된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이며, 프랑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는 1794년에 설립되었다.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터키, 대만 등에서는 공과대학교가 고등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아 학위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 델프트 공과대학교, 아헨 공과대학교(RWTH Aachen), 국립 대만 과학 기술 대학교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반면, 이란, 핀란드, 말레이시아, 포르투갈, 싱가포르, 영국 등에서는 폴리테크닉과 대학교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영국에서는 1992년까지 대학교(연구 중심)와 폴리테크닉(공학, 응용 과학 및 전문 실무 중심)으로 이원화된 고등 교육 시스템이 존재했으나, 이후 폴리테크닉도 대학교로 지정되어 자체 학위를 수여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공과대학교"라는 용어가 "지역 기술 대학"의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더블린 공과대학교와 같이 학위 수여 권한을 가진 예외도 있다.[2] 2018년에는 기술 대학교법이 통과되어 여러 공과대학교가 기술 대학교로 전환될 수 있게 되었다.[3]

이처럼 많은 수의 폴리테크닉이 대학교와 유사한 기관으로 전환되면서, 전문 기술 인력 부족 및 대학원생 실업률 증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4][5]

과거 일본의 공업대학, 공과대학은 주로 공학에 특화된 분과대학·단과대학이었으나, 현재는 이공계 종합대학으로 발전한 경우가 적지 않다. 도쿄 제국대학 공과대학(현재의 도쿄 대학 공학부)이 대표적인 예시다. 현대 일본에서는 '''Institute of Technology'''로 영어 표기되지만, 과거에는 단과대학·분과대학의 관점에서 '''College of Engineering''' 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6. 2. 산학 협력의 윤리적 문제

공과대학의 연구 개발은 산업계의 이익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 윤리, 지적 재산권, 기술 이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정책 기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산학 협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Misckolc and the University http://www.uni-misko[...] Miskolci Egyetem (University of Miskolci) 2017-10-29
[2] 간행물 Report of the Delegated Authority Evaluation Group on the Cork Institute of Technology http://www.hetac.ie/[...]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 Awards Council 2005-06
[3] 웹사이트 electronic Irish Statute Book (eISB) https://www.irishsta[...] 2023-05-06
[4] 뉴스 Status of Polytechnic still pending http://www.economist[...] 2005-01-14
[5] 뉴스 Name change on the cards for APU http://www.apu.ac.uk[...] Anglia Ruskin University, United Kingdom 2006
[6] 논문 Producing New Workers: quality, equality and employability in higher education http://www.qualityre[...] 2006-06-15
[7] 간행물 First destination graduate employment as key performance indicator: outcomes assessment perspectives http://www.aair.org.[...] Unit for Institutional Planning and Research, Cape Technikon, South Africa 2006-06-15
[8] 논문 Searching for the Technology in University of Technology 2008-12
[9] 뉴스 Northern Melbourne Institute of TAFE to be rebranded as Melbourne Polytechnic http://www.heraldsun[...] Herald Sun 2014-10-03
[10] 웹사이트 Bundesministerium für Wissenschaft und Forschung: Fachhochschulen http://www.bmwf.gv.a[...] Bmwf.gv.at 2014-01-28
[11] 웹사이트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http://www.shanghair[...] 2020-09-21
[12] 웹사이트 Harbin-institute-of-technology_Best Global Universities Ranking https://www.usnews.c[...] 2020-09-21
[13]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0 - Mechanical Engineering http://www.shanghair[...] 2020-09-21
[14] 웹사이트 Instituto Geofísico - EPN - Home http://www.igepn.edu[...]
[15] Youtube YouTube Channel for the Geophysics Institute at EPN https://www.youtube.[...]
[16] 웹사이트 NASA Creating a Virtual Telescope with Two Small Spacecraft http://www.nasa.gov/[...] 2015-07-21
[17] 웹사이트 HOME http://oaq.epn.edu.e[...]
[18] 웹사이트 Startseite - Statistisches Bundesamt (Destatis) http://www.destatis.[...]
[19] 웹사이트 Τα Πολυτεχνεία και οι πολυτεχνικές σχολές https://www.anavasis[...]
[20] 웹사이트 Ξεκινάει η διαδικασία ισοτίμησης των Σχολών Μηχανικών με τις αντίστοιχες πολυτεχνικές https://www.foititik[...] 2021-04-20
[21] 웹사이트 Τι συμβαίνει με τα Tμήματα Μηχανικών https://www.alfavita[...]
[22] 문서 Historický časopis Bratislava 2002
[23] 웹사이트 Mining maps and plans of the Main Chamber - Count Office in Banská Štiavnica http://www.unesco.or[...] UNESCO 2014-01-28
[24] 웹사이트 K.k. Bergakademie http://oldwww.uni-mi[...] 2014-01-28
[25] 문서 KAMENICKÝ, M.: Samuel Mikovini and Mining Academy in Banská Štiavnica.
[26] 웹사이트 Miskolc and the University http://oldwww.uni-mi[...] Oldwww.uni-miskolc.hu 2014-01-28
[27] 웹사이트 Miskolc and the University http://oldwww.uni-mi[...] 2014-01-28
[28] 웹사이트 SEFI and IGIP Joint Annual Conference http://www.sefi-igip[...] Sefi-igip2007.com 2014-01-28
[29] 웹사이트 k.k. Bergschule http://www.uni-misko[...] Uni-miskolc.hu 2014-01-28
[30] 웹사이트 k.k. Bergakademie http://oldwww.uni-mi[...] Oldwww.uni-miskolc.hu 2014-01-28
[31] 웹사이트 Brief History – Budapest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conomics http://www.bme.hu/hi[...] 2016-09-27
[32] 웹사이트 About National Institutes of Technology http://nitcouncil.or[...] 2020-11-15
[33] 웹사이트 About IIT https://www.iitsyste[...] 2020-11-15
[34] 웹사이트 Announcement by An Taoiseach https://www.facebook[...]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2018-07-17
[35] 웹사이트 Application for designation as Ireland's first Technological University has been successful! https://www.facebook[...]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2018-07-17
[36] 웹사이트 Technological University Dublin https://hea.ie/highe[...] 2023-05-06
[37] 웹사이트 Munster Technological University https://hea.ie/highe[...] 2023-05-06
[38] 웹사이트 Technological University of the Shannon: Midlands Midwest https://hea.ie/polic[...] 2023-05-06
[39] 웹사이트 Atlantic Technological University https://hea.ie/highe[...] 2023-05-06
[40] 웹사이트 South East Technological University https://hea.ie/highe[...] 2023-05-06
[41] 웹사이트 List of publicly-fund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colleges) https://www.gov.ie/e[...] 2019-08
[42] 웹사이트 THEA - The Technological Higher Education Association http://www.thea.ie
[43] 웹사이트 TECNICO - Dizionario Italiano online Hoepli - Parola, significato e traduzione http://www.grandidiz[...]
[44] 웹사이트 Stuff https://www.stuff.co[...]
[45] 간행물 Searching for the Technology in University of Technology. http://www.sabinet.c[...] South African Computer Journal 2008-12
[46] 웹사이트 Schools will face action over student brawls http://www.nationmul[...] 2011-08-19
[47] 뉴스 Tech students' brawl shuts concert http://www.bangkokpo[...] 2014-12-15
[48] 웹사이트 Institutes of Technology https://www.gov.uk/g[...] 2023-09-25
[49] 웹사이트 About Institutes of Technology https://www.gov.uk/g[...] 2023-09-25
[50] 웹사이트 ISCED mapping - France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13
[51] 문서 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 웹사이트 http://www.ntua.gr/
[52] 문서 크레테 공과대학교 웹사이트 http://www.tuc.gr/
[53] 문서 TU9 웹사이트 http://www.tu9.de/
[54] 문서 Lebenslauf Professor Dr. Horst Hippler https://www.hrk.de/h[...]
[55] 뉴스 Professor Dr. Ernst Schmachtenberg wird neuer TU9 Präsident http://idw-online.de[...] 2009-10-08
[5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tu9.de/pr[...] 2016-10-27
[57] 웹인용 국립 밀라노 공과대학 웹사이트 http://www.polimi.it[...] 2016-10-27
[58] 문서 국립 토리노 공과대학 웹사이트 http://www.polito.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