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 해군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괌 해군기지는 1944년 미군이 괌을 일본군으로부터 탈환한 후 건설된 해군 기지이다. 제7함대가 주둔하며, 괌은 서울에서 3200km, 항해 거리로 3400km 떨어져 있다. 주요 시설로는 캠프 코빙턴이 있으며, 다양한 부대가 배치되어 있다. 2024년에는 버지니아급 잠수함인 USS 미네소타가 모항으로 배치되었다. 기지 내에는 편의 시설과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군 - 미국 국방대학교
미국 국방대학교는 국가 안보 전략 개발 및 고위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교육, 연구,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미국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 미국 해군 - 인트레피드 해양항공우주박물관
인트레피드 해양항공우주박물관은 퇴역 항공모함 인트레피드를 활용하여 1982년 뉴욕에 개관했으며, 항공기, 우주선, 잠수함 등 다양한 해양 및 항공 관련 전시물을 보유하고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괌 해군기지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아프라 항, 괌 |
좌표 | 13°26′24″N 144°39′9″E |
유형 | 해군 기지 |
관리 | 미국 해군 |
![]() | |
현재 사령관 | CAPT Hans E. Sholley |
소속 | |
소속 부대 | 마리아나 제도 합동 기지 |
시설 | |
주요 시설 | |
기타 정보 | |
기타 | 괌 선박 수리 시설 소유권 협상 실패 |
2. 역사
1944년 7월 21일, 미군은 일본군으로부터 섬이 안전하다고 선언했으며, 이날은 광복절이라고 불린다. 미국 해군은 라이온 식스(Lion Six)라는 이름으로 해군기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군사기지의 크기, 목적 등을 고려한 코드네임 중 하나로 함대의 주요 기지를 의미한다. 제5 해군 건설 여단의 시비즈는 수마이, 아프라 항구에 있는 파괴된 미 해병대 막사 부지에 기지를 건설했다.[3] 괌 해군 기지는 최초로 명명된 해군 작전 기지였으며, 나중에는 태평양 슈퍼마켓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대한민국 서울에서 괌까지는 직선거리로 3200km 떨어져 있으며, 미국 해군 제7함대가 괌에 배치되어 있다. 괌 현지인들 다수는 기지 확장에 반대하고 있다.[4]
2. 1. 설립과 초기 역사
1944년 7월 21일, 미군은 일본군으로부터 섬이 안전하다고 선언했다. 이날은 광복절이라고 부른다.[2]미국 해군은 라이온 식스(Lion Six)라는 이름으로 해군기지를 건설했다. 미국 해군의 코드네임은 군사기지의 크기, 목적 등을 고려해서 정하며, 오크(Oak), 아콘(Acorn), 라이온(Lion), 컵(Cub) 등이 있다. 라이온은 함대의 주요 기지를 의미한다.
제5 해군 건설 여단의 시비즈는 수마이, 아프라 항구에 있는 파괴된 미 해병대 막사 부지에 기지를 건설했다.[3] 괌 해군 기지는 최초로 명명된 해군 작전 기지였으며, 나중에는 태평양 슈퍼마켓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2. 2. 한국과의 관계
괌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직선거리로 3200km, 항해 거리로는 약 3400km 떨어져 있다. 괌 해군기지에는 미국 해군 제7함대가 배치되어 있는데, 7함대 사령부는 일본 요코스카 해군 시설에 있으며 괌에는 일부 전력만 배치되어 있다.최근 몇 년 동안 괌의 많은 현지인들은 기지 확장에 반대하고 있다.
2. 3. 최근 동향
최근 몇 년 동안 괌의 많은 현지인들은 기지 확장에 반대하고 있다.[1] 괌에서 서울까지 직선거리로 3200km, 항해 거리로 대략 3400km 떨어져 있다.[4] 제7함대 (미국)이 배치되어 있으며,[5] 7함대 사령관은 해군 중장으로, 일본 요코스카 해군 시설에 사령부가 있고, 괌에는 일부만 배치되어 있다.[5] 괌 해군기지의 사령관은 해군 대령이다.[6]3. 배치 부대
2024년 11월 26일, USS 미네소타가 괌 해군기지에 도착하면서,[5] 버지니아급 잠수함의 최초 전진 배치가 이루어졌다.
괌 해군기지에는 해군 시비(Seabees)의 주요 배치 장소 중 하나인 캠프 코빙턴이 있으며, 제30 해군 건설 연대를 구성하는 3개의 시비 대대가 순환 배치된다. 제7함대 태평양 해군 원정군 사령부도 이곳에 본부를 두고 있다.[6]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부대들이 괌 해군기지에 배치되어 있다.
- 군수 수송 사령부 함정 지원 부대 괌
- 해군 폭발물 처리 (EOD) 제5 이동 부대
- 해군 탄약 사령부 동아시아 사단 괌 부대
- 해군 항공 무기 정비 부대 1
- 해군 컴퓨터 및 통신 기지 괌
- 제30 해군 건설 연대
3. 1. 잠수함 부대

2024년 11월 26일, USS 미네소타가 괌 해군기지에 도착하여,[5] 버지니아급 잠수함의 최초 전진 배치 사례가 되었다. 괌 해군기지에 배치된 잠수함은 다음과 같다.
- USS 애나폴리스 (SSN-760)
- USS 애쉬빌 (SSN-758)
- USS 제퍼슨 시티 (SSN-759)
- USS 미네소타 (SSN-783)
- USS 스프링필드 (SSN-761)
3. 2. 기타 부대

괌 해군기지 내 부속 시설에는 캠프 코빙턴이 있다. 캠프 코빙턴은 해군 시비(Seabees)의 주요 배치 장소 3곳 중 하나로, 제30 해군 건설 연대를 구성하는 3개의 시비 대대가 순환 배치되는 곳이다. 제7함대 태평양 해군 원정군 사령부도 이곳에 본부를 두고 있다.[6]
캠프에는 체육관, 유산소 운동실, 미니 마트, 장교, 부사관, 선임 부사관을 위한 병영, 갤리, 무기고, 치과 진료소, 다양한 본부 건물 및 창고가 있다.
- 군수 수송 사령부 함정 지원 부대 괌
- 해군 폭발물 처리 (EOD) 제5 이동 부대
- 해군 탄약 사령부 동아시아 사단 괌 부대
- 해군 항공 무기 정비 부대 1
- 해군 컴퓨터 및 통신 기지 괌
- 제30 해군 건설 연대
4. 부속 시설
4. 1. 캠프 코빙턴
캠프 코빙턴은 해군 시비(Seabees)의 주요 배치 장소 3곳 중 하나이다. 현재 제30 해군 건설 연대를 구성하는 3개의 시비 대대가 순환 배치되는 곳이다. 제7함대 소속 태평양 해군 원정군 사령부도 이곳에 본부를 두고 있다.[6]
캠프에는 체육관, 유산소 운동실, 미니 마트가 있다. 장교, 부사관, 선임 부사관을 위한 병영, 갤리, 무기고, 치과 진료소, 다양한 본부 건물 및 창고도 갖추어져 있다.
5. 편의 시설 및 서비스
괌 해군기지에는 도서관, 군목, 방문객 숙소, 극장, 볼링장 등의 편의 시설이 있다.
5. 1. 교육 시설

미국 국방부 교육 활동국(DoDEA)과 관련하여, 괌 해군기지는 맥쿨 초등학교 및 맥쿨 중학교의 통학 구역에 속하며, 괌 고등학교는 섬의 유일한 DoDEA 고등학교이다.[7]
DoDEA가 아닌 공립 학교는 괌 교육부에서 운영한다.
참조
[1]
뉴스
Guam Ship Repair Facility Ownership Negotiations Fail
https://web.archive.[...]
2013-07-13
[2]
웹사이트
Naval Base Guam
https://www.cnic.nav[...]
2019-04-05
[3]
웹사이트
Naval Base Guam
https://www.cnic.nav[...]
2019-04-05
[4]
웹사이트
Proposed US military buildup on Guam angers locals who liken it to colonization
https://www.theguard[...]
2016-08-01
[5]
웹사이트
First Forward-Deployed Virginia-Class Submarine Arrives in Guam
https://www.navy.mil[...]
2024-11-26
[6]
뉴스
NMCB 74 Turns Over Camp Covington to Army's 84th Engineer Battalion
http://www.navy.mil/[...]
2013-07-13
[7]
웹사이트
DoDEA Guam School Boundaries and Bus Transportation Zones
https://www.military[...]
Military Morale, Welfare and Recreation Guam
202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