괵국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괵국부인은 당나라 현종 시대의 인물로, 양귀비의 언니이다. 그녀는 빼어난 미모와 총명함으로 현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언니 한국부인, 여동생 진국부인과 함께 괵국부인으로 봉해졌다. 양씨 일족의 권세가 높아지면서 호사스러운 생활을 했으나, 안사의 난으로 인해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괵국부인은 그림과 시의 소재가 되었으며, 사후에는 배꽃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촉주 사호 양현염의 둘째 딸(셋째 딸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사촌 등을 포함한 항렬로 여겨짐). 아버지가 죽은 후 양국충이 집을 지키고 있을 때 사통했다고 한다. 이후 배씨에게 시집가 아들 배휘와 딸을 낳았다.
2. 가족 관계
3. 경력
양귀비가 수왕 이모의 비가 된 개원 23년(735년)부터 귀비로 책봉된 천보 4년(745년) 사이에 남편 배씨가 죽고 과부가 되어 사촌 양전·양기 자매와 함께 촉주에서 장안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괵국부인은 다른 자매들과 마찬가지로 빼어난 용모를 지녔고, 머리 회전도 빨라 궁중에 들어가 해가 질 때까지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양국충의 방문을 받고, 저택에 묵게 하며 현종에게 추천했다. 748년(천보 7년) 괵국부인에 봉해졌고, 언니 한국부인, 여동생 진국부인은 매년 을 화장 비용으로 지급받았다.
괵국부인은 미모에 자신감을 갖고 화장을 하지 않은 채 현종 앞에 나타났다. 궁정에 수시로 드나들며, 자매들과 함께 양귀비의 비파 제자가 되었다. 아들 배휘는 연광공주와 혼인했다. 이 시기 양국충과의 밀통 소문이 끊이지 않았으며, 한국부인과 셋이서 말을 타고, 뒤따르는 100명 이상의 궁녀에게 등불을 들게 하고, 웃고 떠들며 행차했다. 두보의 시 "괵국부인"과 "여인행"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 ("괵국부인"은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는 설도 있음).
장선의 『괵국부인유춘도』는 남장을 하고 말에 올라 행렬의 선두를 걷는 괵국부인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후세에는 민간에서 배꽃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양씨 일족 중에서 가장 호사스럽고 횡포하기로 알려져, 관료의 집에 들어가 집을 부수고 새 집을 지었으며, 구석진 땅만 돌려주었다는 이야기와, 개미나 도마뱀이 드나들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저택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753년(천보 12년) 경, 양국충이 자택에서 인사를 할 때, 이름을 불린 자의 용모가 좋지 않다고 발 너머에서 자매들과 함께 조롱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755년 (천보 14년) 안사의 난이 일어나고, 756년(지덕 원년) 현종이 장안을 탈출한 뒤, 먼저 진창으로 향했으나, 양국충·한국부인·양귀비의 죽음을 듣고, 체포하러 온 현령을 반란군으로 오인하여 도망쳤다. 배휘와 딸, 양국충의 아내 배유를 죽이고 자살을 시도했으나, 죽지 못하고 붙잡혔다. 이때, "나라의 사람이냐? 도적이냐?"라고 묻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있다"라는 답이 돌아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목에 피가 굳어 죽었다.
청대의 『백미신영도전』에서는 중국 역대 가장 유명한 미인 백인에 선정되었다.
3. 1. 세 자매의 등장
촉주 사호의 양현염의 둘째 딸로, 셋째 딸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사촌 등을 포함한 항렬로 여겨진다. 아버지가 죽고, 양국충이 집을 지키고 있을 때 사통했다고 한다. 그 후 배씨에게 시집가 아들 배휘와 딸을 낳았다.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지만, 양귀비가 수왕 이모의 비가 된 개원 23년(735년)부터 귀비로 책봉된 천보 4년(745년) 사이에 남편 배씨가 죽고 과부가 되어 사촌 양전·양기 자매와 함께 촉주에서 장안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괵국부인은 다른 자매들과 마찬가지로 빼어난 용모를 지녔고, 머리 회전도 빨라 궁중에 들어가 해가 질 때까지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 무렵, 사촌 양국충의 방문을 받고, 저택에 묵게 하며 현종에게 추천했다.
3. 2. 현종의 총애와 권세
748년(천보 7년), 괵국부인은 괵국부인, 언니 양옥패는 한국부인, 여동생 양옥차는 진국부인에 봉해졌다. 세 자매는 매년 을 화장 비용으로 지급받았다. 괵국부인은 자신의 미모에 자신이 있어 화장을 하지 않고도 현종 앞에 나타날 정도였다고 한다.
괵국부인은 수시로 궁궐을 드나들었으며, 자매들과 함께 양귀비의 비파 제자가 되었다. 괵국부인의 아들 배휘는 연광공주와 혼인하는 등, 양씨 가문은 황실과 인척 관계를 맺으며 권세를 강화했다. 이 시기 괵국부인은 양국충과의 밀통 소문이 끊이지 않았으며, 한국부인과 함께 셋이서 말을 타고, 뒤따르는 100명 이상의 궁녀들에게 등불을 들게 하고 웃고 떠들며 행차했다는 기록이 있다. 두보는 이러한 모습을 묘사한 "괵국부인"과 "여인행"이라는 시를 짓기도 했다 ("괵국부인"은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는 설도 있다).
장선의 『괵국부인유춘도』는 괵국부인을 소재로 한 그림으로, 남장을 하고 말에 올라 행렬의 선두를 걷는 그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괵국부인은 후세에 민간에서 신격화되어 배꽃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양씨 일족 중에서도 괵국부인은 가장 사치스럽고 횡포가 심했다고 알려져 있다. 관료의 집에 들어가 집을 부수고 새 집을 지었으며, 구석진 땅만 돌려주었다는 이야기, 개미나 도마뱀도 드나들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저택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753년(천보 12년) 경에는 양국충이 자택에서 인사를 할 때, 이름을 불린 사람의 용모가 좋지 않다고 발 너머에서 자매들과 함께 조롱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3. 3. 양씨 오가 (楊氏五家)
양선(楊銛), 양기(楊錡), 한국부인, 괵국부인, 진국부인의 다섯 가문을 묶어 양씨 오가(楊氏五家)라고 불렀다. 양국충을 포함하여 양씨 육가(楊氏六家)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들은 사방에서 뇌물을 받고 현종에게 선물을 받아 재산을 축적하며 사치를 일삼았다. 오가는 저택의 웅장함을 경쟁하며, 다른 집보다 더 훌륭한 저택을 짓기 위해 기존 건물을 부수기도 했다.
가문 | 설명 |
---|---|
양선(楊銛) | - |
양기(楊錡) | - |
한국부인 | 양현염의 장녀로 최순에게 시집갔다. 황자나 황손과 혼인하려면 한국부인이나 괵국부인에게 뇌물을 주어야 했다. |
괵국부인 | 사촌 양국충의 주선으로 현종에게 추천되었다. 천보 7년(748년) 괵국부인에 봉해졌다. |
진국부인 | 양귀비의 언니로, 유징과 사별 후 아들 유균을 두었다. |
현종을 따라 화청궁으로 행차할 때면 각 가문이 같은 의상을 입고 행렬을 이루었는데, 이를 '오가합대(五家合隊)'라고 불렀다. 행렬 뒤에는 비녀와 보석이 굴러다녔고 향기가 맴돌았다고 한다. 양씨 가문의 권세는 대단하여, 현종의 딸 광평공주조차도 그들의 하인에게 피해를 입을 정도였다.
4. 몰락과 최후
755년 안사의 난이 발발하고, 756년 현종이 장안을 탈출하면서 양씨 가문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虢國夫人|괵국부인중국어은 진창으로 피난 가던 중 양국충, 한국부인, 양귀비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 현령을 반란군으로 오인하고 도망쳤으나, 결국 체포되어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목에 피가 굳어 사망했다. 이때, "나라의 사람이냐? 도적이냐?"라고 묻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있다"라는 답이 돌아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국부인은 양국충이 살해된 후, 진현례가 이끄는 병사들에게 살해되었다.
진국부인은 747년경에 사망했다.
5. 평가 및 의의
양씨 자매들의 이야기는 당나라 시대 권력층의 부패와 사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들은 양귀비의 친척이라는 지위를 이용하여 막대한 부와 권력을 누렸으며, 백성들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욕망을 채우는 데 급급했다. 이러한 행태는 안사의 난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양씨 자매들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며, 권력 남용과 부정부패는 결국 국가를 쇠퇴시키고 백성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준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권력자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중요한 교훈으로 남아있다.
괵국부인을 비롯한 양씨 자매들의 이야기는 두보의 시 "여인행", "괵국부인" 및 장선의 "괵국부인유춘도", 청나라 시대의 "백미신영도전"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어, 당나라 시대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6. 기타
두보의 시에 괵국부인을 소재로 한 "괵국부인"과 "여인행"이 있다("괵국부인"은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는 설도 있음). 장선의 『괵국부인유춘도』는 그녀를 소재로 한 것으로, 남장을 하고 말에 올라 행렬의 선두를 걷는 그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청대의 『백미신영도전』에서는 중국 역대 가장 유명한 미인 백인에 선정되었다.
6. 1. 예술 작품
두보의 시에 괵국부인을 소재로 한 "괵국부인"과 "여인행"이 있다("괵국부인"은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는 설도 있음). 장선의 『괵국부인유춘도』는 그녀를 소재로 한 것으로, 남장을 하고 말에 올라 행렬의 선두를 걷는 그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후세에는 민간에서도 신격화되어 배꽃의 신으로 숭배받았다.청대의 『백미신영도전』에서는 중국 역대 가장 유명한 미인 백인에 선정되었다.
6. 2. 신격화
후세에 민간에서 괵국부인은 배꽃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