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인노첸시오 7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노첸시오 7세는 1404년 교황으로 선출된 인물이다. 그는 교황으로 선출된 후 서구 대분열을 종식시키기 위한 공의회 소집을 약속했으나, 대립 교황 베네딕토 13세와의 갈등으로 인해 실패했다. 또한, 조카를 교황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는 등 족벌주의적인 행보를 보였고, 이로 인해 로마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피신하기도 했다. 그의 치세 동안 나폴리 왕 라디슬라오와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었으며, 1406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코시모 데 미글리오라티는 아브루초 주 술모나의 평범한 가정 출신으로, 페루자와 파도바에서 민법과 교회법을 공부하고 가르치며 학문적 명성을 쌓았다. 스승 조반니 다 레냐노의 후원을 받아 로마로 진출한 그는 교황 우르바노 6세에 의해 교황청에 발탁되어 10년간 잉글랜드에서 교황 징세관으로 활동했다.[2] 이후 1386년 볼로냐 주교, 1387년 라벤나 대주교를 역임하며 교회 내에서 입지를 다졌다.
교황 보니파시오 9세가 선종하자, 아비뇽의 대립교황 측 대표들이 로마에 도착했다. 로마의 추기경들은 아비뇽 대표단에게 만일 콘클라베 소집을 보류한다면 대립교황이 먼저 자진 사임할 의사가 있는지 물었다. 그러나 아비뇽 대표단은 대립교황이 결코 사임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히 답했고, 이에 추기경들은 예정대로 콘클라베를 진행했다. 투표에 앞서 추기경단 전원은 누가 교황으로 선출되든 서구 대이교를 종식시키고 교회 일치를 이루기 위해 필요하다면 교황직에서 물러나기로 맹세했다.
인노첸시오 7세의 교황 재위 기간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들로 점철되었다. 1404년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로마에서는 기벨린파가 폭동을 일으켰으나, 나폴리 왕국의 라디슬라오 왕이 군대를 이끌고 와 진압하면서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이 사건은 라디슬라오가 교황에게 여러 양보를 얻어내고 로마 내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3]
2. 생애 초기와 경력
1389년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그를 산타 크로체 인 제루살레메의 추기경-사제로 서임했으며, 이후 롬바르디아와 토스카나 등지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교황 특사로 파견되기도 했다.[3] 보니파시오 9세 선종 후, 서방 교회 분열이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콘클라베가 소집되었다. 당시 아비뇽의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 측 대표단이 로마에 있었으나, 대립교황의 퇴위 의사가 없음을 확인한 추기경단은 선거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모든 추기경은 선거에 앞서 누가 교황으로 선출되든 교회 분열 종식을 위해 필요하다면 교황직을 내려놓겠다는 엄숙한 맹세를 했다.
2. 1. 출생과 교육
코시모 데 미글리오라티는 아브루초 주 술모나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민법과 교회법 양쪽 모두에 대한 학문적 깊이로 명성을 얻었으며, 페루자와 파도바에서 잠시 법학을 가르쳤다. 그의 스승인 조반니 다 레냐노는 로마에서 그의 활동을 후원했으며, 교황 우르바노 6세(재위 1378–1389)는 그를 교황청에 발탁하여 10년 동안 교황 징세관으로 잉글랜드에 파견했다. 또한, 그는 1386년 볼로냐 주교, 1387년 라벤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2]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1389년 그를 산타 크로체 인 제루살레메의 추기경-사제로 임명했고, 1390년에는 롬바르디아와 토스카나의 교황 특사로 파견했다.[3]
2. 2. 교황청 경력
코시모 데 미글리오라티는 아브루초 주 술모나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민법과 교회법 모두에 대한 학문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잠시 동안 페루자와 파도바에서 이를 가르쳤다. 그의 스승인 조반니 다 레냐노는 그를 로마에서 후원했고, 교황 우르바노 6세(재위 1378–1389)는 그를 교황청으로 받아들여 10년 동안 교황 징수관으로 잉글랜드에 파견했다.[2] 또한, 그는 1386년 볼로냐에서 분쟁이 일어났을 때 볼로냐의 주교로 임명되었고, 1387년에는 라벤나의 대주교가 되었다.
1389년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그를 산타 크로체 인 제루살레메 성당의 추기경-사제로 임명했고, 1390년에는 롬바르디아와 토스카나로 특사로 파견했다.[3] 보니파시오 9세가 선종했을 때, 아비뇽의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의 대표자들이 로마에 있었다. 로마의 추기경들은 이 대표자들에게 만일 콘클라베 소집을 보류한다면 그들의 대립교황이 퇴위할 의사가 있는지 물었다. 아비뇽 대표단이 베네딕토 13세는 절대 퇴위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하자, 추기경들은 선거를 진행했다. 하지만 그 전에 모든 추기경들은 누가 교황으로 선출되든지 간에 서방 교회 분열을 끝내기 위해 필요하다면 모든 노력을 다하고, 교황관을 내려놓겠다는 엄숙한 맹세를 했다.
3. 교황 선출
1404년 10월 17일, 코시모 데 미그리오라티 추기경이 8명의 추기경에 의해 만장일치로 선출되어 인노첸시오 7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그의 선출 소식이 전해지자 로마에서는 기벨린파가 폭동을 일으켰으나, 나폴리 왕국의 라디슬라오 왕이 군대를 이끌고 신속히 로마로 와서 이를 진압했다. 라디슬라오는 이 공로로 인노첸시오 7세로부터 여러 양보를 얻어냈는데, 특히 자신의 경쟁자인 앙주의 루이 2세를 지지하는 아비뇽의 대립교황과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았다.[3] 인노첸시오 7세 역시 교황령에 대한 권리를 침해할 수 있는 아비뇽 측과의 타협에 부정적이었기에 이 요구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인노첸시오 7세는 족벌주의적 행태로 비판을 받았다. 그는 과거 밀라노의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밑에서 콘도티에로로 활동했던 자신의 조카 루도비코 미그리오라티를 능력에 맞지 않게 교황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는 실수를 저질렀다.[4][9][10] 더 나아가 1405년 4월에는 그를 토디의 총독으로 임명했다.[4][11] 1405년 8월, 루도비코는 교황과의 회의를 마치고 돌아가던 중 로마의 반대파 인사 11명을 체포하여 자신의 집에서 살해하고, 그 시신들을 산토 스피리토 병원 창문 밖 길거리로 내던지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 사건으로 로마 전체가 들끓었고, 교황과 추기경들, 루도비코 일파는 비테르보로 급히 피신해야 했다. 피신 과정에서 루도비코가 길을 확보하기 위해 소 떼를 몰아내다 시민들에게 발각되었고, 성난 로마 시민들의 추격을 받아 교황이 보는 앞에서 페루자의 아빠스를 포함한 30여 명이 살해당하고 시신이 길에 버려지는 참극이 벌어졌다.
교황의 보호자를 자처했던 라디슬라오 왕은 다시 군대를 파견하여 폭동을 진압했다. 1406년 1월, 로마 시민들이 교황의 세속적 권위를 다시 인정하면서 인노첸시오 7세는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 하지만 라디슬라오는 이전의 약속에 만족하지 않고 로마와 교황령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려 했다. 그는 1405년 로마에서 일어난 기벨린파의 폭동을 지원했으며, 콜론나 가문을 돕기 위해 파견한 그의 군대는 표면적으로는 바티칸을 보호했지만 실제로는 산탄젤로 성을 점거하고 로마와 주변 지역을 자주 약탈했다. 라디슬라오는 인노첸시오 7세에게 파문을 당한 후에야 교황의 요구에 굴복하여 군대를 철수시켰다.[3]
한편, 인노첸시오 7세는 1404년 교황 선출 직후 서구 대이교를 극복하기 위한 공의회 소집을 선언하며 선거 전 맹세를 이행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프랑스 왕 샤를 6세, 파리 대학교의 신학자 피에르 다일리와 장 제르송, 그리고 독일의 왕 루프레히트 등 유럽의 주요 인사들도 공의회 개최를 촉구했다. 그러나 1405년 로마의 혼란 상황을 빌미로, 인노첸시오 7세는 경쟁자인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로마에서 열릴 공의회에 참석할 경우 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공의회 개최를 사실상 연기했다. 이는 베네딕토 13세에게 공의회 참여를 회피할 명분을 주었으며, 오히려 베네딕토는 교회 분열의 책임이 인노첸시오 7세의 소극적인 태도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결국 인노첸시오 7세는 평화를 위해 베네딕토 13세와 함께 사임하라는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4. 교황 재위 기간의 문제들
인노첸시오 7세는 족벌주의에 빠져 능력에 맞지 않는 조카 루도비코 미글리오라티를 교황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는 큰 실책을 저질렀다.[9][10][4] 루도비코는 1405년 로마의 반대파 인사들을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고, 이로 인해 로마 시민들이 분노하여 교황 일행은 비테르보로 피신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교황의 측근들이 살해당하는 등 큰 혼란을 겪었다.
1406년 로마로 돌아온 후에도 문제는 계속되었다. 초기 교황의 보호자 역할을 했던 라디슬라오 왕은 점차 로마와 교황령에 대한 자신의 야심을 드러내며 교황과 갈등을 빚었다. 그는 군대를 이용해 산탄젤로 성을 점거하고 로마 내정에 간섭하려 했으며, 결국 인노첸시오 7세에 의해 파문당한 후에야 군대를 철수시켰다.[3]
또한 당시 교회의 가장 큰 문제였던 서구 대분열을 해결하려는 노력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인노첸시오 7세는 공의회 소집을 선언했지만, 경쟁자인 아비뇽의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의 안전 보장 문제 등을 이유로 실제 개최는 지연되었다. 결국 양측 교황이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분열을 종식시킬 기회를 놓쳤고, 인노첸시오 7세는 분열 해결을 위해 동반 사임하자는 제안도 거부하였다. 이러한 로마 내부의 불안정과 외부 세력과의 갈등, 교회 분열 문제는 인노첸시오 7세 재위 기간 내내 지속된 주요 난제였다.
4. 1. 로마 내 분쟁과 피신
1404년 10월 17일 코시모 데 미그리오라티가 만장일치로 교황으로 선출되어 인노첸시오 7세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 그의 선출 소식이 전해지자 로마에서는 기벨린파가 폭동을 일으켰으나, 나폴리 왕국의 라디슬라오가 군대를 이끌고 와서 이를 진압하였다. 그 공로로 라디슬라오는 인노첸시오 7세로부터 여러 약속을 받았는데, 그중 하나는 자신의 경쟁자인 앙주의 루이 2세를 지지하는 아비뇽의 대립교황과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겠다는 것이었다.[3] 인노첸시오 7세 역시 교황령에 대한 권리를 타협할 생각이 없었기에 이 요청을 받아들였다.
인노첸시오 7세는 족벌주의에 따라, 과거 밀라노의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밑에서 콘도티에로로 일했던 조카 루도비코 미그리오라티를 능력에 맞지 않게 교황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는 실수를 저질렀다.[9][10][4] 또한 1405년 4월에는 그를 토디의 속죄회 총회장으로 임명했다.[11][4] 1405년 8월, 루도비코 미그리오라티는 교황과의 회의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로마의 반대파 인사 11명을 체포하여 자신의 집에서 살해하고, 그 시신을 산토 스피리토 병원 창문 밖 길거리로 내던졌다. 이 사건으로 로마 전체가 분노했고, 교황과 추기경들, 루도비코 지지자들은 비테르보로 급히 피신해야 했다. 피신 과정에서 루도비코가 길을 확보하기 위해 성 밖의 소 떼를 몰아내다가 시민들에게 발각되었고, 성난 로마 시민들의 추격을 받아 페루자 수도원장을 포함한 교황 일행 30명이 살해당하고 시신이 길가에 버려지는 참극이 벌어졌다.
교황의 보호자를 자처했던 라디슬라오 왕은 이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고, 1406년 1월 로마 시민들이 다시 교황의 주권을 인정하면서 인노첸시오 7세는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러나 라디슬라오는 이전의 약속에 만족하지 않고 로마와 교황령에서 자신의 권력을 더욱 확장하고자 했다. 그는 1405년 로마에서 일어난 기벨린파의 폭동을 지원했으며, 콜론나 가문을 돕기 위해 파견한 그의 군대는 표면상 바티칸을 보호했지만 실제로는 산탄젤로 성을 점거하고 로마와 인근 지역을 자주 공격했다. 라디슬라오는 파문을 당한 후에야 교황의 요구에 굴복하여 군대를 철수시켰다.[3]
4. 2. 라디슬라오와의 갈등
1404년 10월 17일 코스모 미글리오라티가 만장일치로 교황으로 선출되어 인노첸시오 7세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 그의 선출 소식이 전해지자 로마에서는 기벨린파가 폭동을 일으켰으나, 나폴리 왕 라디슬라오가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와서 이를 진압하였다. 라디슬라오는 이 공로를 인정받아 인노첸시오 7세로부터 여러 양보를 얻어냈는데, 특히 자신의 경쟁자인 앙주의 루이 2세를 지지하는 아비뇽의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와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3] 인노첸시오 7세 역시 교황령에 대한 권리를 타협할 생각이 없었기에 이 요청을 수락하였다.
그러나 인노첸시오 7세는 자신의 조카 루도비코 미글리오라티를 교황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는 실책을 저질렀다.[9][10][4] 루도비코는 과거 밀라노의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밑에서 일했던 콘도티에로였으나, 교황군 사령관 직책에는 부적합한 인물이었다. 1405년 8월, 루도비코는 교황과의 회의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로마의 반대파 인사 11명을 체포하여 자신의 집에서 살해하고, 그 시신을 산토 스피리토 병원 창문 밖으로 내던지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 사건으로 로마 전체가 분노했고, 교황과 추기경들, 루도비코 일파는 비테르보로 급히 피신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교황 일행은 성난 로마 시민들의 추격을 받았고, 교황이 보는 앞에서 페루자 수도원장을 포함한 30여 명이 살해당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교황의 보호자를 자처했던 라디슬라오는 이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다시 군대를 파견했고, 1406년 1월 로마 시민들이 교황의 주권을 다시 인정하면서 인노첸시오 7세는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 하지만 라디슬라오는 이전의 약속에 만족하지 않고 로마와 교황령에서 자신의 권력을 더욱 확장하려 하였다. 그는 1405년 로마에서 일어난 기벨린파의 폭동을 뒤에서 지원하였으며[3], 콜론나 가문을 돕는다는 명분으로 파견한 군대를 산탄젤로 성에 주둔시키며 사실상 성을 점거하고 로마와 주변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라디슬라오의 이러한 야심은 인노첸시오 7세가 그를 파문한 후에야 꺾였고, 결국 군대를 철수시켰다.[3]
4. 3. 서구 대분열 종식 노력의 실패
1404년 교황 선출 직후, 인노첸시오 7세는 서구 대분열을 해결하기 위한 공의회 소집을 선언하며 선출 전 약속을 이행하려는 조치를 취했다. 프랑스 왕 샤를 6세, 파리 대학교의 신학자들인 피에르 다일리와 장 제르송, 그리고 독일의 왕 루프레히트 등도 공의회의 조속한 소집을 촉구했다.
하지만 1405년 문제가 발생했는데, 인노첸시오 7세가 자신의 경쟁자인 아비뇽의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공의회가 열릴 로마에 오는 것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상대방에게 공의회 참여를 피할 명분을 제공한 것이다. 이로 인해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는 인노첸시오 7세의 소극적인 태도가 분열 종식의 유일한 장애물인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인노첸시오 7세는 평화를 위해 자신과 베네딕토 13세가 함께 사임해야 한다는 제안 역시 받아들이지 않았다.
5. 죽음
인노첸시오 7세는 1406년 11월 6일 로마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5] 그의 사망 직후 잠시 암살당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가 없어 곧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인노첸시오 7세는 로마 대학교의 재건을 계획했던 것으로 전해지지만, 그의 죽음으로 인해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그의 뒤를 이어 교황 그레고리오 12세가 선출되어 즉위하였다.
참조
[1]
서적
Zur Vorgeschichte Papst Innozenz VII.
Historisches Jahrbuch
1891
[2]
논문
Chauceriana II: Chaucer's 'Linian'
1917
[3]
웹사이트
Pope Innocent V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12-19
[4]
웹사이트
lodovico-migliorati
http://www.treccani.[...]
[5]
웹사이트
Pope Innocent VII
http://catholicsaint[...]
CatholicSaints.Info
2018-08-13
[6]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lodovico-migliorati
http://www.treccani.[...]
[10]
웹사이트
Migliorati, Ludovico
http://ilfermano.blo[...]
[11]
웹사이트
lodovico-migliorati
http://www.trecca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