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다 간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로다 간이치는 일본의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주요 이론가이자 지도자였다. 그는 1927년 도쿄에서 태어나, 도쿄고등학교 재학 중 간 질환과 결핵으로 중퇴한 후 출판사를 운영하며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했다. 구로다는 일본 혁명적 공산주의 동맹(혁공동)을 결성하고, 이후 혁마르파의 최고 지도자로서 일본 신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미국, 소련, 중국, 북한의 스탈린주의를 비판했으며, 2006년 간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트로츠키주의자 - 오타 류
오타 류는 일본의 사상가, 운동가, 저술가로서 마르크스주의 운동 참여 후 트로츠키주의, 아이누 혁명론, 환경주의를 거쳐 말년에 음모론을 주창하며 일본 녹색당 창당, 아이누 해방 운동 참여, 반유대주의 음모론 확산 등 다양한 사회 활동과 급진적인 주장으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 일본의 트로츠키주의자 - 시오카와 요시노부
시오카와 요시노부는 일본의 사회 운동가로서, 도쿄 대학 재학 시절 전학련 위원장을 맡아 1960년대 안보 투쟁, 스나가와 투쟁, 전공투 운동 등 여러 사회 운동에 참여했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구로다 간이치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7년 10월 20일 |
출생지 | 도쿄도후추시 |
사망일 | 2006년 6월 26일 (향년 78세) |
사망지 | 사이타마현가스카베시 |
국적 | 일본 |
직업 | 정치 철학자 |
사상 및 학문 | |
학파 | 마르크스주의 트로츠키주의 |
주요 관심사 | 불명 |
영향 | 불명 |
영향을 받은 인물 | 불명 |
경력 | |
소속 | 불명 |
주요 활동 | 불명 |
참고 자료 | |
관련 인물 | 불명 |
2. 생애
구로다 간이치는 도쿄도 후추시 출신으로, 그의 집안은 대대로 지역 유지였다. 증조부 구로다 나오타케는 자유민권운동가였고, 조부 구로다 나오히로는 동경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의사였다. 아버지 구로다 가나메 역시 의사였으며 후추시의회 의장을 지냈다.[14]
구로다는 구제 도쿄고등학교에 다녔으나, 건강 문제로 중퇴하고 코부시서방이라는 출판사를 운영하며 마르크스주의 연구와 저술 활동을 했다. 오오타 류 등과 일본트로츠키스트연맹(트로련)을 결성했고, 이후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공동) 의장이 되었다(1957년).
1959년, '구로다-오오카와 스파이 문제'로 혁공동에서 제명되자, 혼다 노부요시와 함께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중핵파)를 결성했다. 1962년 제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63년에는 일본 혁명적 공산주의 동맹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파(혁마르파)를 결성하여 중핵파와 분열했다.
이후 혁마르파의 최고 지도자로 오랫동안 군림했다. 1996년 건강 문제로 의장직을 사임했지만, 사망할 때까지 최고 지도자 자리에 있었다. 2006년 간부전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묘비에는 "투(闘)"라는 한 글자만 새겨져 있다.[18]
구로다가 설립한 코부시서방에서는 그의 철학서들이 간행되어 혁마르파의 필독서로 여겨지고 있지만, 내용이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구로다 간이치는 1927년 도쿄도 후추시의 유복한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 구로다 나오타케는 자유민권운동가였고, 조부 구로다 나오히로는 동경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동경대학병원에서 근무한 의사였다. 아버지 구로다 가나메 역시 의사이자 후추시의회 의장을 역임했다.[14]구로다는 구제 도쿄고등학교 이과 을류(독일어 의학부 진학과정)에 진학하여 축구부원으로 활동했다. 아미노 요시히코, 시로츠카 노보루, 우지이에 세이이치로 등이 그의 동기였다. 그러나 간 질환과 피부 결핵으로 학교를 중퇴하고 자택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결핵이 눈으로 번져 시력이 매우 나빠졌다.[14]
학교를 중퇴한 구로다는 출판사 "코부시서방"을 운영하며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고 저술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연구 동아리 "변증법연구회"를 발전시켜 오오타 류 등과 함께 일본트로츠키스트연맹(트로련)을 결성하기도 했다.
2. 2. 정치 활동
1956년,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비판하는 "비밀 연설"을 하고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진압되자, 구로다 간이치는 반 스탈린주의 입장을 강화하고 일본 공산당과 대립하게 되었다.[1] 1957년, 구리하라 토이치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트로츠키주의 조직인 일본 혁명적 공산주의 동맹(혁공동)을 결성했다.[1]1959년, 구로다는 일본민주청년동맹 정보를 경시청에 팔려 했다는 의혹(구로다-오오카와 스파이 문제)으로 혁공동에서 제명되었다.[15] 이후 혼다 노부요시와 함께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중핵파)를 결성했다.
1962년 제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전국구 후보로 출마했으나 2만여 표를 얻는 데 그쳐 낙선했다. 아카오 빈이 12만여 표를 얻은 것과 비교하면 대참패였다.
1963년, 정세 인식과 당 건설 방침을 둘러싸고 혼다 파와 갈등을 빚어 일본 혁명적 공산주의 동맹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파(혁마르파)를 결성했다. 이후 혁마르파의 최고 지도자로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 1968-69년 일본 대학 시위, 1970년 안보 투쟁, 산리츠카 투쟁 등 다양한 시위 운동에 참여했다.
1996년 건강상의 문제로 의장직을 사임했으나,[17] 사망할 때까지 최고 지도자로 남아 있었다.
2. 3. 사망
2006년 6월 26일, 사이타마현 가스카베시의 병원에서 간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78세.[17]혁마르파는 한동안 구로다 간이치의 죽음을 은폐했다. 2006년 8월 10일 교도통신[17]과 산케이신문이 보도했고, 다음날인 8월 11일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등 주요 일간지에서 그의 죽음을 전했다. 이를 받아 8월 12일 혁마르파 의장 우에다 다쿠마가 기자회견을 열어 구로다 간이치의 죽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18]
구로다 간이치의 묘소는 도쿄도 하치오지시 미나미타마영원 23구에 있으며, 묘비에는 한자 “투(闘)” 한 글자만 새겨져 있다.[18]
3. 사상
구로다 간이치는 반제국주의·반스탈린주의를 주요 사상으로 내세웠다. 미국을 제국주의로, 소련,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스탈린주의로 규정하고 비판했다.
1947년 일본 패전과 미국의 일본 점령 이후 마르크스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 우메모토 가쓰미, 가케하시 아키히데, 우노 고조 등 일본 철학자들의 저작을 연구했다. 1956년 소련 수상 니키타 흐루쇼프의 "비밀 연설"과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이후, 반 스탈린주의 입장을 발전시켜 일본 공산당(JCP)에 반대했다.[1]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기계적 "유물론"을 비판하고, "유물론적 주체성"이라는 철학적 이론을 발전시켰다. 혁명적 마르크스주의를 주창하며 노동 계급의 주체적 역할을 강조했다. 1957년 구리하라 토이치 등과 일본 최초 트로츠키주의 조직인 일본 혁명적 공산주의 동맹을 결성, 혁마르파 최고지도자로 군림했다.[1]
3. 1. 평가
쿠로다 간이치는 일본 신좌파 운동, 특히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주요 이론가이자 지도자였다. 그의 사상은 일본 학생 운동과 사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강경한 노선과 조직 운영 방식은 비판받기도 했다.[1]- 긍정적 평가
- 반제국주의 투사: 쿠로다는 일본 제국주의와 미국의 제국주의에 맞서 싸운 반제국주의 투사로 평가받는다. 그의 반제국주의적 입장은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운 한국 민족의 투쟁 정신과 일맥상통한다.
- 사회 변혁 노력: 쿠로다는 일본 사회의 모순에 맞서 사회 변혁을 위해 노력한 혁명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일본 공산당의 스탈린주의를 비판하고, 트로츠키주의에 기반한 새로운 혁명 운동을 추구했다.[1]
- 사상적 영향력: 쿠로다는 혁마르파의 지도자로서 일본 신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상은 1968-69년 일본 대학 시위, 1970년 안보 투쟁, 산리츠카 투쟁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5]
- 비판적 평가
- 과격한 투쟁 방식: 쿠로다는 폭력 투쟁을 옹호하고, 중핵파와의 폭력적인 갈등을 일으키는 등 과격한 투쟁 방식을 추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5] 1970년대 중반에는 이 갈등으로 인해 연간 수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6]
- 분파주의: 쿠로다는 조직 내에서 자신의 의견에 반대하는 세력을 배제하고, 분파를 만들어내는 등 분파주의적인 행태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는다. 일본 혁명적 공산주의 동맹은 쿠로다의 주도로 여러 차례 분열을 겪었다.[3][5]
- 비민주적인 조직 운영: 쿠로다는 조직 내에서 민주적인 의사 결정을 무시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등 비민주적인 조직 운영 방식을 보였다는 비판을 받는다. 시미즈 이쿠타로, 코야마 켄이치, 모리타 미노루, 요시모토 타카아키 등은 쿠로다를 '광신적 종교단체의 교주'라고 비판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 스파이 의혹: 1959년, 쿠로다는 경시청 공안부에 일본민주청년동맹의 정보를 팔려고 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 의혹으로 인해 쿠로다는 혁공동 내부에서 일본공산당의 미야모토 켄지와 동류의 배신자로 간주되기도 했다.[15]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보자면, 쿠로다 간이치는 일본 사회의 모순에 맞서 싸운 혁명가로 평가할 수 있다. 그의 반제국주의적 입장은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운 한국 민족의 투쟁 정신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그의 과격한 투쟁 방식과 분파주의는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4. 저서
구로다 간이치는 철학, 경제학, 정치학, 조직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50권 이상의 저서를 출판했다.[14] 그의 저서는 혁마르파의 필독서로 여겨지며, 내용이 난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주요 저서로는 『헤겔과 마르크스』, 『경제학과 변증법』, 『스탈린주의 비판의 기초』, 『혁명적 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프락시스학』 등이 있다.
그의 저작은 코부시서방(こぶし書房)과 KK서방에서 출판되었다. 특히 코부시서방에서는 청년 시절 구로다에게 사상적 영향을 준 애독서들을 그가 직접 감수하여 『코부시문고』 전 60권으로 간행하기도 했다.
4. 1. 저작 목록
구로다 간이치는 마르크스주의 철학, 소련 사회 분석, 일본 문화사, 조직 건설 이론, 프락시스, 현대 정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일본 및 다른 국가에서 50권 이상의 저서를 집필했다.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52년 | 『헤겔과 마르크스: 기술론과 사적유물론 서설』(ヘーゲルとマルクス-技術論と史的唯物論序説일본어) | 理論社 | |
1956년 | 『경제학과 변증법』(経済学と弁証法일본어) | 人生社 | |
1956년 | 『사회관의 탐구: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기초』(社会観の探求-マルクス主義哲学の基礎일본어) | 理論社 | |
1956년 | 『스탈린주의 비판의 기초: “스탈린 비판”의 비판』(スターリン主義批判の基礎-<スターリン批判>の批判일본어) | 人生社 | |
1959년 | 『현대의 평화와 혁명』(現代における平和と革命일본어) | 現代思潮社 | |
1959년 | 『무엇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何を、どう読むべきか?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0년 | 『역류에 항거하여』(逆流に抗し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0년 | 『프롤레타리아적 인간의 논리: 「자본의 생산과정」의 기저에 있는 것』(プロレタリア的人間の論理-「資本の生産過程」の基底にあるもの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1년 | 『사회관의 탐구』(社会観の探求일본어) | 現代思潮社 | |
1961년 | 『조직론 서설』(組織論序説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1년 | 『마르크스주의 형성의 논리』(マルクス主義形成の論理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2년 | 『우노 경제학 방법론 비판』(宇野経済学方法論批判일본어) | 現代思潮社 | |
1963년 | 『휴머니즘과 마르크스주의』(ヒューマニズムとマルクス主義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7년 | 『자본론 이후 백년』(資本論以後百年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8년 | 『현대유물론의 탐구』(現代唯物論の探求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8년 | 『일본의 반스탈린주의 운동 2』(日本の反スターリン主義運動・2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8년 | 『헤겔과 마르크스』(ヘーゲルとマルクス일본어) | 現代思潮社 | |
1969년 | 『혁명적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革命的マルクス主義とは何か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69년 | 『스탈린 비판 이후』(スターリン批判以後일본어) | 現代思潮社 | |
1969년 | 『일본의 반스탈린주의 운동 1』(日本の反スターリン主義運動・1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0년 | 『현대 중국의 신화』(現代中国の神話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0년 | 『모택동 신화의 파괴』(毛沢東神話の破壊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0년 | 『독서의 방법』(読書のしかた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0년 | 『일본 우익사상의 회전』(日本左翼思想の転回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1년 | 『유물사관과 변혁의 이론』(唯物史観と変革の論理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3년 | 『유물사관과 경제학』(唯物史観と経済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75년 | 『변혁의 철학』(変革の哲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0년 | 『중소 대리전쟁』(中ソ代理戦争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1년 | 『20세기 문명의 초극』(二十世紀文明の超克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1년 | 『혁신의 환상』(革新の幻想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4년 | 『소련권 혁명론 노트』(ソ連圏革命論ノート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5년 | 『미소각축』(米ソ角逐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6년 | 『고르바초프 가공회담』(ゴルバチョフ架空会談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7년 | 『소련의 딜레마』(ソ連のジレンマ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9년 | 『현대세계의 움직임: 그것의 파악법』(現代世界の動き-その捉え方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9년 | 『자본론 입문』(資本論入門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89년 | 『크레믈린의 집안소동』(クレムリンのお家騒動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0년 | 『전후주체성론 노트』(戦後主体性論ノート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0년 | 『고르바초프의 악몽』(ゴルパチョフの悪夢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1년 | What is Revolutionary Marxism?영어 | 解放社 | |
1991년 | Gorbachev's Nightmare영어 | 解放社 | |
1991년 | Destruction of the Revolution영어 | 解放社 | |
1991년 | 『사멸하는 소연방』(死滅するソ連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1년 | 『각원식 안트로폴로기』(覺圓式アントロポロギー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2년 | 『각원: 현실을 읽다』(覺圓 現実を読む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3년 | 『우노 경제학 방법론 비판』(宇野経済学方法論批判일본어) 증보신판 | こぶし書房 | |
1993년 | 『평화의 창조란 무엇인가』(平和の創造とは何か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4년 | 『사회의 변증법』(社会の弁証法일본어) 「사회관의 탐구」증보개정판 | こぶし書房 | |
1994년 | 『노동운동의 진전을 위하여』(労働運動の前進のために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4년 | 『자금론 입문』(賃金論入門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6년 | STALINIST SOCIALISM영어 | こぶし書房 | |
1998년 | PRAXIOLOGY영어 | こぶし書房 | |
1998년 | 『우노학파의 경제학』(宇野学派の経済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8년 | 『조직론의 탐구』(組織論の探求일본어) | こぶし書房 | |
1999년 | 『장소의 철학을 위하여』(場所の哲学のために일본어) 상하권 | こぶし書房 | |
1999년 | 『쿠로다 칸이치 초기 선집』(黒田寛一初期セレクション일본어) 상중하권 | こぶし書房 | |
1999년 | 『정치판단과 인식』(政治判断と認識일본어) | あかね図書 | |
2000년 | 『실천과 장소: 제1권 실천의 장소』(実践と場所 第一巻 実践の場所일본어) | こぶし書房 | |
2000년 | Kuroda's Thought on Revolution영어 | あかね図書 | |
2000년 | 『실천과 장소: 제2권 장소에서의 실천』(実践と場所 第二巻 場所における実践일본어) | こぶし書房 | |
2000년 | Engels' Political Economy영어 | あかね図書 | |
2001년 | 『실천과 장소: 제3권 장소의 인식』(実践と場所 第三巻 場所の認識일본어) | こぶし書房 | |
2001년 | Dialectic of Praxis영어 | あかね図書 | |
2001년 | On Organizing Praxis영어 | あかね図書 | |
2002년 | Studies on Marxism in Postwar Japan영어 | あかね図書 | |
2002년 | 『마르크스 르네상스』(マルクス ルネッサンス일본어) | あかね図書 | |
2006년 | 『쿠로다 칸이치 가집: 일본이여!』(黒田寛一歌集 日本よ!일본어) | こぶし書房 | |
2007년 | 『변혁적 실천의 주체성』(変革的実践の主体性일본어) | こぶし書房 | |
2008년 | 『부시의 전쟁』(ブッシュの戦争일본어) | あかね図書 | |
2008년 | 『“다름”의 해석학』(〈異〉の解釈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2008년 | 『조직현실론의 개척: 제1권 실천과 조직의 변증법』(組織現実論の開拓 第一巻 実践と組織の弁証法일본어) | あかね図書 | |
2009년 | 『조직현실론의 개척: 제2권 운동=조직론의 개척』(組織現実論の開拓 第二巻 運動=組織論の開拓일본어) | あかね図書 | |
2009년 | 『쿠로다 칸이치 초기 논고집: 제2권 유물변증법・논리학』(黒田寛一初期論稿集 第二巻 唯物弁証法・論理学일본어) | こぶし書房 |
; 저작집
- 『구로다 간이치 저작집(黒田寛一著作集)』(전 40권) (KK 서방(KK書房), 2020년 - )
권 | 제목 |
---|---|
1 | 물질의 변증법 |
2 | 사회의 변증법 |
3 | 프롤레타리아 인간의 논리 |
4 | 스탈린주의 철학과의 대결 |
5 | 마르크스주의 형성의 논리 |
6 | 변혁의 철학 |
7 | 장소의 철학 탐구 |
8 | 실천과 장소・제1권 실천의 장소(상) |
9 | 실천과 장소・제1권 실천의 장소(하) |
10 | 실천과 장소・제2권 장소에서의 실천(상) |
11 | 실천과 장소・제2권 장소에서의 실천(하) |
12 | 실천과 장소・제3권 장소의 인식(상) |
13 | 실천과 장소・제3권 장소의 인식(하) |
; 공저
- (요시모토 다카아키・하니야 유타카・우메모토 가쓰미) 『민주주의의 신화』(民主主義の神話일본어) 現代思潮社, 1960年
- (요시모토 다카아키・쓰시마 다다유키) 『주박으로부터의 해방』(呪縛からの解放일본어) 코부시 서방, 1976年
4. 2. 저작집
구로다 간이치는 마르크스주의 철학, 소련 사회 분석, 일본 문화사, 조직 건설 이론, 프락시스, 현대 정치 등 다양한 주제로 50권 이상의 저서를 일본 및 다른 국가에서 출판했다.권 | 제목 |
---|---|
1 | 물질의 변증법 |
2 | 사회의 변증법 |
3 | 프롤레타리아 인간의 논리 |
4 | 스탈린주의 철학과의 대결 |
5 | 마르크스주의 형성의 논리 |
6 | 변혁의 철학 |
7 | 장소의 철학 탐구 |
8 | 실천과 장소・제1권 실천의 장소(상) |
9 | 실천과 장소・제1권 실천의 장소(하) |
10 | 실천과 장소・제2권 장소에서의 실천(상) |
11 | 실천과 장소・제2권 장소에서의 실천(하) |
12 | 실천과 장소・제3권 장소의 인식(상) |
13 | 실천과 장소・제3권 장소의 인식(하) |
4. 3. 공저
참조
[1]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Japan Revolutionary Communist League
http://www.zenshin.o[...]
[3]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Japan Revolutionary Communist League-National Committee (JRCL-NC)
http://www.zenshin.o[...]
2009-11-28
[4]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Japanese Law: An Economic Approach
[7]
서적
Dissenting Japan: A History of Japanese Radicalism and Counterculture from 1945 to Fukushima
https://books.google[...]
Hurst
2016-08-15
[8]
서적
ニッポンの「黒幕」
宝島社
[9]
웹사이트
黒寛・大川スパイ事件
http://www.marino.ne[...]
[10]
뉴스
革マル派の最高指導者死亡 黒田寛一・元議長
https://web.archive.[...]
47NEWS
2006-08-10
[11]
문서
[12]
트윗
原武史twitter2013年10月15日 - 23:34
https://twitter.com/[...]
2013-10-15
[13]
웹사이트
川口事件と現在 2.内ゲバの背景|外山恒一|note
https://note.com/toy[...]
[14]
서적
ニッポンの「黒幕」
宝島社
[15]
웹인용
黒寛・大川スパイ事件
http://www.marino.ne[...]
2023-01-07
[16]
웹사이트
川口事件と現在 2.内ゲバの背景|外山恒一|note
https://note.com/toy[...]
[17]
뉴스
革マル派の最高指導者死亡 黒田寛一・元議長
http://www.47news.jp[...]
47NEWS
2006-08-10
[18]
트윗
原武史twitter2013年10月15日 - 23:34
https://twitter.com/[...]
2013-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