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스타브 1세 바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브 1세 바사는 스웨덴을 통일하고 주권 국가로 만든 인물로, 스웨덴의 국왕(1523~1560)이었다. 그는 1520년 스톡홀름 피바다 사건으로 부친을 잃고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주도, 1523년 스웨덴의 섭정이 되었다. 이후 스웨덴의 독립을 쟁취하고, 루터교를 도입하여 스웨덴 교회를 설립했으며, 세습 군주제를 확립했다. 그는 "국가의 아버지"로 존경받지만, 강압적인 통치로 여러 차례 반란을 겪었으며, 스웨덴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반란자 - 엥엘브렉트 엥엘브렉트손
    엥엘브렉트 엥엘브렉트손은 15세기 스웨덴의 정치 지도자이자 덴마크 통치에 맞선 반란을 이끌어 스웨덴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 칼마르 동맹 약화에 기여한 인물로, 스웨덴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종교 개혁가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종교 개혁가 - 요하네스 부겐하겐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마르틴 루터의 동료로서 북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16세기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다.
구스타브 1세 바사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전체 이름구스타브 에릭손 바사
국왕 칭호스웨덴 국왕
이미지 파일Gustav Vasa.jpg
이미지 설명야코프 빈크가 그린 초상화, 1542년
재위 기간1523년 6월 6일 – 1560년 9월 29일
대관식1528년 1월 12일
대관식 유형스웨덴 군주 대관식
선임 국왕크리스티안 2세
후임 국왕에리크 14세
배우자작센라우엔부르크의 카타리나 (1531년 결혼, 1535년 사망)
마르가레타 레이온후부드 (1536년 결혼, 1551년 사망)
카타리나 스텐보크 (1552년 결혼)
자녀에리크 14세
요한 3세
카타리나, 동프리시아 백작 부인
세실리아, 바덴로데마흐른 변경백 부인
마그누스,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안나 마리아, 벨덴츠 백작 부인
소피아,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부인
엘리자베트, 메클렌부르크-가데부시 공작 부인
칼 9세
왕가바사 왕가
종교루터교 (1523년–1560년), 이전 로마 가톨릭교회 (1496년–1523년)
아버지에리크 요한손 바사
어머니세실리아 몬스도테르
출생일1496년 5월 12일
출생지리드홀름 성, 웁란드 또는 린드홀멘, 웁란드, 스웨덴
사망일1560년 9월 29일
사망지트레 크로노르, 스톡홀름, 스웨덴
매장일1560년 12월 21일
매장지웁살라 대성당, 웁살라, 스웨덴
서명Gustav I signature.svg
기타 정보
웹사이트스웨덴 왕가 - 구스타브 바사

2. 어린 시절

구스타브 에릭손은 세실리아 몬스도테르 에카와 에리크 요한손 바사의 아들로, 1496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출생지는 스톡홀름 북동쪽에 위치한 아버지 에릭의 영지인 리드보홀름 성일 가능성이 높다. 그는 아버지 에릭의 할아버지인 구스타브 아눈드손의 이름을 따 구스타브라는 이름을 받았다.[8]

에리크 요한손의 부모는 요한 크리스테르손과 고귀한 가문인 바사 가문과 스투레 가문 출신인 비르기타 구스타프스도테르였다. 비르기타 구스타프스도테르는 스웨덴의 섭정이었던 스텐 스투레 (장로)의 여동생이었으며, 그들의 어머니는 스웨덴의 칼 8세의 이복자매였다. 삼촌 스텐 스투레의 친척이자 동맹이었던 에릭은 1503년 스텐 스투레가 사망했을 때 그의 우플란드쇠데르만란드의 영지를 상속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상당한 재산을 가진 가문의 일원이었지만, 구스타브 에릭손은 나중에 훨씬 더 큰 규모의 재산을 소유하게 된다.[9]

구스타브의 부모는 모두 비르예르 야를의 사생아인 그레게르스 비르게르손의 후손이었다. 구스타브의 아버지는 외할머니인 마르가레타 칼스도테르를 통해, 어머니는 아버지인 마그누스 칼손 에카를 통해 그레게르스의 후손이었다. 또한 비르기타 구스타프스도테르와 스텐 스투레(그리고 결과적으로 구스타브도)는 스베르케르 2세의 손녀인 베네딕테 수네스도테르(레발 공작의 아들인 스반테폴크 크누트손과 결혼)를 통해 스베르케르 2세의 후손이었다.

14세기 말부터 스웨덴덴마크, 노르웨이와 함께 칼마르 동맹의 일원이었다. 이 동맹에서 덴마크의 지배는 때때로 스웨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구스타브의 어린 시절, 스웨덴 귀족의 일부는 스웨덴의 독립을 시도했다. 구스타브와 그의 아버지 에릭은 1512년부터 스웨덴의 섭정이었던 스텐 스투레의 당파와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2세에 대한 그들의 투쟁을 지지했다. 1518년 스텐 스투레의 군대가 덴마크군을 물리친 브뢴퀴르카 전투 이후, 스텐 스투레와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은 외스테르하닌게에서 협상을 하기로 결정되었다. 국왕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스웨덴 측은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덴마크인들이 구금할 인질 6명을 보냈다. 그러나 크리스티안은 협상에 나타나지 않았고, 스웨덴 측과의 합의를 위반하고 인질들을 배에 태워 코펜하겐으로 데려갔다. 납치된 인질 6명은 헤밍 가드, 라스 시그세손 (스파레), 예란 시그세손 (스파레), 올로프 라이닝, 벵트 닐손 (페를라) 그리고 구스타브 에릭손이었다. 구스타브는 칼뢰 성에 감금되었는데, 탈출을 시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 매우 잘 대우받았다. 이러한 온화한 대우의 이유는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이 6명의 인질을 설득하여 스텐 스투레를 배신하게 하려는 희망 때문이었다. 이 전략은 구스타브를 제외한 모든 인질에게 효과가 있었고, 구스타브는 스투레 당파에 충실했다.[10]

크리스티안 2세, 구스타브 바사의 주요 적


1519년, 구스타브 에릭손은 칼뢰에서 탈출했다. 그는 한자 도시 뤼베크로 도망쳤고 9월 30일에 도착했다. 그가 어떻게 탈출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신빙성 있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소몰이꾼으로 변장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구스타브 에릭손은 "소꼬리 왕"과 "구스타브 소 엉덩이"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그는 이를 매우 싫어했다. 1547년 칼마르에서 한 검객이 폐하 "구스타브 소 엉덩이"에게 건배를 했을 때, 그 검객은 죽임을 당했다.[11]

뤼베크에 머무는 동안, 구스타브는 그의 고향 스웨덴의 발전 상황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그가 거기에 있는 동안, 크리스티안 2세는 스텐 스투레와 그의 지지자들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스웨덴을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했다. 1520년, 크리스티안 국왕의 군대가 승리했다. 스텐 스투레는 3월에 죽었지만,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을 포함한 일부 거점은 여전히 덴마크군에 저항할 수 있었다. 구스타브는 뤼베크를 떠나 배를 타고 5월 31일칼마르 남쪽 해안에 상륙했다.[12]

구스타브는 스웨덴 땅으로 돌아온 후 첫 몇 달 동안 대체로 활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구스타브는 크리스티안의 대관식 초대를 받았다. 이것은 새로 점령한 스톡홀름에서 11월에 열릴 예정이었다.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이 구스타브 에릭손을 포함한 스투레 당파의 적들에게 사면을 약속했지만, 그는 초대를 거절했다. 대관식은 11월 4일에 열렸고,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축제가 며칠 동안 계속되었다. 축제가 며칠 동안 지속된 후, 성이 봉쇄되었고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의 전 적들이 투옥되었다. 스텐 스투레의 옛 지지자들에 대한 이단 혐의가 제기되었다. 다음 날 판결이 선고되었다. 스톡홀름 학살에서 약 100명이 스토르토르겟에서 처형되었는데, 그중에는 구스타브 에릭손의 아버지 에릭 요한손과 삼촌 요아킴 브라헤가 포함되었다. 구스타브 자신은 당시 그립스홀름 성 근처 라프스네스에 머물고 있었다.[13]

1509년부터 151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수학했고, 1518년부터 이듬해까지 스웨덴 독립파 귀족으로서 덴마크군과 싸우다 포로가 되었다.

3. 반란의 지도자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2세가 스웨덴을 통치하던 시기에 봉기는 더욱 강해졌다. 1520년 크리스티안 2세는 협상을 위해 반란 지도자들을 초청했으나, 이들을 이단으로 처형했다. 이른바 스톡홀름 피바다 사건으로 사망한 사람 중에는 구스타브의 아버지 에리크도 있었다.[13]

1520년 반란은 약화되었으나, 구스타브는 반란을 계속 이끌기로 결심했다. 그는 달라르나뤼베크 사람들을 설득하여 자신의 반란에 가담하게 했다. 크리스티안 2세의 강압적인 정책은 스웨덴 부유층에게 큰 불만을 샀고, 독일 도시 뤼베크는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14]

구스타브는 400명의 군대를 조직하여 브룬베크의 나룻배에서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그의 군대는 베스테로스를 점령하여 구리 광산을 확보했고, 구스타브의 세력은 더욱 강해졌다. 더 많은 지지자들이 합류하면서 전국적으로 반란이 확산되었고, 구스타브는 1520년 8월 스웨덴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5]

섭정 임명 소식이 퍼지면서 이전에 크리스티안 2세에게 충성하던 많은 스웨덴 귀족들이 구스타브 측으로 돌아섰다. 크리스티안 2세에게 충성을 유지하던 많은 이들은 살해되거나 강제로 추방되었다. 구스타브의 지지자들로 구성된 새로운 스웨덴 추밀원이 설립되었다. 구스타브의 반란군은 많은 작은 성과 요새를 점령했다.[16]

1523년 덴마크의 통치가 무너지고 스웨덴은 독립을 되찾았다. 크리스티안 2세는 덴마크에서도 폐위되었고, 프레데리크 1세가 덴마크 왕위에 올랐다.[16]

4. 스웨덴의 국왕

1523년 6월 6일 스트랭네스에서 구스타브는 스웨덴의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1521년 2월, 실랸 호 주변 지역 출신 400명으로 구성된 반군을 이끌고 칼마르 동맹 해체의 첫 분쟁인 브룬바크의 나루터 전투에서 왕에게 충성하는 군대를 물리쳤다. 베스테로스 시를 점령하고 구리와 은 광산을 장악하여 자원을 확보하고 지지자들을 모았다. 예틀란드의 주요 귀족들이 합류하면서 8월 바드스테나에서 구스타브는 스웨덴의 섭정으로 선포되었다.[15] 섭정 선출로 많은 귀족들이 편을 바꾸었고, 일부는 스웨덴을 떠나거나 살해되었다. 스웨덴 비밀원수회는 구스타브 지지자들로 대체되었다. 1522년 뤼베크와의 협상으로 한자 도시는 덴마크와의 전쟁에 참여했다. 1523년 겨울, 연합군은 스코네, 할란드, 블레킹예, 보후슬렌의 덴마크와 노르웨이 지역을 공격했다. 크리스티안 2세는 폐위되고 프리드리히 1세가 왕이 되었다. 뤼베크는 독립적인 스웨덴을 선호하여 반군에 압력을 가했고, 미래 무역 특권과 대출 보장을 원했다. 비밀원수회는 뤼베크의 지원이 중요함을 알고 구스타브를 왕으로 임명했다.[16]

스트랭네스 대성당에서 구스타브는 왕의 맹세를 하고 스웨덴 국왕으로 선포되었다. 1983년 이 날은 스웨덴의 국경일로 선포되었다.[18] 스트랭네스 사건 직후, 뤼베크와 동맹을 맺은 한자 도시들은 스웨덴에서 무역할 때 통행세 면제 특허장을 받았다. 미드서머에 구스타브 국왕은 스톡홀름에 성대하게 입성했다.[19] 당시 스웨덴의 일부였던 핀란드의 성들은 1523년 여름과 가을에 모두 항복했다.[20] 1524년 8월 24일, 구스타브는 말뫼 조약을 통해 덴마크-노르웨이 및 프리드리히 왕과 합의했다. 이 조약으로 덴마크-노르웨이는 스웨덴의 독립을 인정했지만, 고틀란드와 블레킹예를 얻으려는 구스타브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이 조약은 스웨덴 해방 전쟁의 종식을 알렸다.[21]

구스타브 1세는 덴마크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때 적이었던 프레데리크 1세와 협력하기도 했지만, 이는 스웨덴 귀족들에게 비판받았다. 초기 통치는 여러 사회적, 종교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고, 일부 세력은 구스타브 1세를 국민의 지도자가 아닌 강력한 통치자로만 여겼다.

구스타브 1세는 뤼베크로부터 빌린 부채와 왕실 재정 고갈 문제에 직면하여 세금을 인상하고, 종교 개혁을 추진하여 교회의 재산을 몰수했다. 루터교를 도입하고 스웨덴 교회를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독립시킨 것은 정치적 목적이 강했다.

1544년 구스타브 1세는 선출 군주제를 폐지하고 세습 군주제를 도입하여 바사 왕조의 통치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음악 애호가였으며, 스웨덴 왕립 오페라의 전신을 창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종교 개혁

1527년 스웨덴은 구스타브 1세에 의해 종교 개혁 시대를 맞았다. 구스타브 1세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재산을 활용하고자 했으며, 교회의 재산은 그의 소유가 되었다. 구스타브 1세는 종교적 신념보다는 자신에게 도전할 수 있는 다른 통치 권한을 축소하고자 했다. 이러한 정치적 목적에서 스웨덴의 루터교가 설립되었다.

구스타브 1세의 개신교 도입은 전국적으로 널리 미움을 받았다. 이는 구스타브 1세 통치 초기 10년 동안 세 차례의 달라르나 반란을 야기했다. 구스타브 1세는 반란을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반란 지도자들을 처형하여 폭군으로서의 평판을 강화했다.

구스타브 바사 성경으로 알려진 성경의 첫 완성 스웨덴어 번역본의 첫 면


구스타브가 권력을 장악한 후, 전 대주교 구스타프 트롤레(Gustav Trolle)는 추방되었다. 구스타브는 클레멘스 7세(Pope Clement VII)에게 자신이 선택한 새 대주교 요하네스 마그누스(Johannes Magnus)를 승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교황은 구스타프 트롤레의 추방을 철회하고 대주교를 복직시키라고 결정했다. 스웨덴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구스타프는 크리스티안과 동맹을 맺은 것으로 여겨지는 트롤레를 복직시키는 것이 불가능했다.

구스타프는 교황에게 요청의 불가능성과 교황이 고집할 경우의 결과를 알렸지만, 교황은 고집을 꺾지 않고 왕의 대주교 후보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당시 4개의 주교직이 공석이었는데, 왕은 교황에게 후보를 제안했지만 교황은 한 명만 받아들였다. 교황이 구스타프 트롤레 문제에 굽히지 않자, 루터파 학자 올라우스 페트리(Olaus Petri)의 영향을 받은 왕은 1531년에 올라우스의 형제 라우렌티우스 페트리(Laurentius Petri)를 대주교로 임명했다. 이로써 교황은 스웨덴 교회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했다.

미카엘 아그리콜라(Mikael Agricola)가 제시한 핀란드어로 번역된 신약성서를 검토하는 구스타프 바사


1520년대에 페트리 형제는 루터교(Lutheranism) 도입 운동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프로테스탄티즘(Protestantism)의 점진적인 도입을 보여주는 여러 사건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성직자였던 올라우스 페트리의 결혼과 루터파 교리를 옹호하는 여러 텍스트 출판, 1526년 신약성서(New Testament) 번역본 출판 등이 있다. 종교 개혁 이후 1540년-1541년에는 구스타프 바사 성서(Gustav Vasa Bible)라는 완전한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스웨덴 성직자들의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지식 부족으로 1534년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독일어 번역본을 따랐다.

구스타프 바사가 가톨릭 교회와 결별한 것은 헨리 8세가 잉글랜드에서 같은 일을 한 것과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 두 왕은 교황과의 장기간의 대립이 절정에 달하여 로마와 무관하게 자신의 결정을 내리기로 했다는 점에서 유사하게 행동했다.

1527년 베스테로스(Västerås) 국회에서 "이 나라에서는 간소하고 진실된 하나님의 말씀만을 전파해야 한다"는 법률을 제정하여 루터파 교리를 인정하고 스웨덴 교회가 로마로부터 분리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어서 국토의 26%를 차지하는 가톨릭 교회 토지를 몰수하고, 국토의 5%에 불과했던 왕실 토지를 확장하여 재정 기반을 개선했다.

구스타프 1세는 궁정이 대륙풍의 화려한 스타일을 갖는 것을 중요시했고, 이 시대에 성서의 스웨덴어 번역이 완성되었으며, 종교 개혁가 올라우스 페트리에 의해 시와 신학 서적이 나타났다.

4. 2. 내치와 외교

구스타브 1세는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만들고 귀족과 성직자들의 특권을 제한했다.[4] 이전에는 모든 문제를 강력한 귀족들과 협상해야 했지만, 스톡홀름 학살로 다른 권력 엘리트들이 사라지면서 구스타브와 의회는 스웨덴에서 유일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9] 그 결과, 구스타브 1세는 왕의 집정관(bailiffs)과 스웨덴 교회성직자를 통해 직접 소통하는 방식으로, 귀족을 거치지 않고 국정을 운영했다.[9]

구스타브 1세는 스웨덴 해방 전쟁 동안 덴마크, 로마 가톨릭 교회, 그리고 뤼베크의 한자 동맹과 같은 외세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으로부터 스웨덴을 해방시키는 과정을 이끌었다.[9]

1527년 스웨덴은 종교 개혁의 시대를 밟았다. 구스타브 1세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를 활용하려는 의도와 함께 종교 개혁을 시작했다. 교회의 재산은 그의 것이 되었다. 구스타브 1세는 자신 소유의 거대한 종교적 혹은 이론적 믿음들이 없었으나 그는 자신에 도전할 수 있던 스웨덴에서 다른 모든 통치 권한을 축소하기를 원했다. 그러므로 본격적인 정치적 운동에 스웨덴의 루터교회가 설립되었다.[4]

1554년에서 1557년 사이에는 러시아의 이반 4세와 러시아-스웨덴 전쟁 (1554년-1557년)을 치렀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22]

5. 가족

구스타브 1세는 세 번 결혼했다.

1531년 9월 24일,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카타리나(1513~1535)와 첫 번째 결혼을 하였고, 슬하에 아들 하나를 두었다.



1536년 10월 1일, 마르가레타 레이온후부드(1514~1551)와 두 번째 결혼을 하였고, 슬하에 다음과 같은 자녀를 두었다.

  • 요한 3세(1537~1592): 핀란드 공작
  • 카타리나 바사(1539~1610): 동프리슬란트 백작 에드자르트 2세와 결혼.
  • 세실리아 바사(1540~1627): 바덴-로데마허른 변경백 크리스토퍼 2세와 결혼
  • 망누스 바사(1542~1595):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 칼(1544)
  • 안나 마리아 바사(1545~1610): 펠덴츠 선제후궁중백작 게오르크 요한 1세와 결혼
  • 스텐(1546~1547)
  • 소피아 바사(1547~1611):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마그누스 2세와 결혼
  • 엘리사베트 바사(1549~1598): 메클렌부르크-가데부시 공작 크리스토퍼와 결혼
  • 칼 9세(1550~1611): 쇠데르만란드 공작


1552년 8월 22일, 바스타나 성에서 카타리나 스텐보크(1535~1621)와 세 번째 결혼을 하였으나, 슬하에 자녀는 없었다.

웁살라 대성당에 있는 구스타브 1세 에릭손 바사의 석관

6. 사망

1550년대 후반, 구스타브 1세는 건강이 악화되었다. 그는 다리와 턱에 만성 감염으로 고통받았다. 1945년 그의 묘를 열었을 때, 시신 검사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1550년경의 구스타브 에릭손 바사


구스타브 1세는 1560년 대총재, 자녀들, 그리고 다른 귀족들에게 단결을 유지할 것을 격려하는 "마지막 연설"을 했다. 1560년 9월 29일, 구스타브 1세는 6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웁살라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7. 평가

구스타브 1세는 스웨덴을 통합하고 주권 국가로 만든 인물로, 스웨덴에서 "국가의 아버지"로 존경받는다.[4] 그는 자신을 모세와 비교하기도 했다.[4] 그러나 잔혹하고 의심 많은 통치자였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달라르나에서 세 차례, 베스트예탈란드에서 한 차례, 스몰란드에서 한 차례 등 여러 차례의 반란이 일어났고, 그는 이를 강경하게 진압했다.[4]

긍정적, 부정적 평가와는 별개로, 그의 유산이 크고 지속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는 스웨덴 종교 개혁을 통해 루터교인 스웨덴 교회를 설립하고, 선거 군주제를 폐지하고 바사 왕가 하의 세습 군주제를 확립했다.[4] 또한, 스웨덴 왕립 오페라의 전신인 ''Kungliga Hovkapellet''(왕립 궁정 오케스트라)를 설립했다.[5][6][7]

많은 스웨덴 사람들은 구스타브 바사를 국부로 여기며 그를 기리고 있다. 핀란드의 바사 도시는 그의 가문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23] 바사로펫이라는 스키 행사도 개최된다. 그는 2016년까지 1,000 크로나 지폐에 등장하기도 했다.[24]

일부에서는 그를 권력욕에 가득 찬 인물로 보기도 하지만, 그는 표준 언어가 없고 개별 주가 강력한 지역 권력을 가지고 있던 스웨덴을 통일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17세기에 스웨덴을 지역 강국으로 만든 스웨덴 전문 군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참조

[1] 문서 Gustav's birth year and date discrepancies
[2] 웹사이트 Sweden http://www.worldstat[...] World Statesmen 2015-01-19
[3] 웹사이트 Swedish Monarchy – Gustav Vasa https://web.archive.[...] sweden.org.za 2018-08-01
[4] 웹사이트 Gustav 1 Vasa https://snl.no/Gusta[...] Store norske leksikon 2018-08-01
[5] 웹사이트 From the History of the Royal Court Orchestra 1526–2007 https://web.archive.[...] 2008-09-30
[6] 웹사이트 Gustav Vasa – Uppslagsverk – NE.se http://www.ne.se/lan[...]
[7] 서적 Brev av Gustav Vasa (Letters of Gustav Vasa) Norstedts 1917
[8]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9]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0]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1]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2]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3]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4]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5]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6]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7]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3-07-06
[18]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19]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20]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21]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2005
[22] 서적 Dackeland/Gustav Vasa – Landsfader eller tyrann?
[23] 웹사이트 Olaudah Equiano (c. 1745–1797) https://www.bbc.co.u[...] BBC 2022-09-19
[24] 웹사이트 The Official Swedish National Bank entry on the new 1000 SEK note http://www.riksbank.[...]
[25] 학술지 Gripsholmstavlorna och den svenska renässansen https://ojs.abo.f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