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김해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김해박물관은 1997년 3월에 설치되어 1998년 7월에 개관한 박물관이다. 본관과 교육관인 가야누리를 중심으로, 선사시대와 가야시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층에는 낙동강 유역의 선사시대 유물과 가야 관련 유물을, 2층에는 가야시대의 장신구, 농경 관련 유물 등을 전시하며, 야외 전시장에는 고인돌,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등이 전시되어 있다. 부대시설로는 강당, 세미나실, 도서자료실, 기념품 판매대, 유아놀이방 등이 있다. 국립김해박물관은 관장과 기획운영과, 학예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기준 68,756건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해시 소재의 관공서 - 김해중부경찰서
    김해중부경찰서는 경상남도 김해시 중부 지역을 관할하는 경찰서로, 1945년 김해경찰서로 개소 후 2008년 김해 서부경찰서 개소에 따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4개의 지구대와 3개의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치안 활동을 수행한다.
  • 김해시 소재의 관공서 - 경상남도김해교육지원청
    경상남도김해교육지원청은 김해시의 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교육지원국과 행정지원국을 중심으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특수학교를 관할하며, 부속기관 및 소속기관을 운영하며 교육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 1998년 설립된 박물관 - 기타큐슈 시립 마쓰모토 세이초 기념관
    기타큐슈 시립 마쓰모토 세이초 기념관은 소설가 마쓰모토 세이초의 작품과 생애, 업적을 소개하고 자택 서재 등을 재현하며 연구 센터 역할도 수행하는 기념관이다.
  • 1998년 설립된 박물관 - 삼성화재교통박물관
    삼성화재교통박물관은 1998년에 개관하여 다양한 자동차 문화와 관련 정보를 소개하고, 비행기, 증기 기관차, 백남준 작품 등을 전시하며, 1월 1일, 매주 월요일, 추석 및 설 연휴에 휴관한다.
  •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속기관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은 1913년 경주고적보존회 진열관으로 시작하여 국보급 유물을 전시하고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곳이다.
  •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속기관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은 광주·전남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며 국보를 소장한 대한민국의 국립 박물관으로, 상설전시를 무료로 운영하면서 꾸준한 전시 개선과 기획전시를 통해 지역 문화 알리기에 기여하고 있다.
국립김해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김해 국립 박물관
원어 이름국립김해박물관
로마자 표기Gungnip Gimhae bangmulgwan
한자 표기國立金海博物館
개관일1998년 7월 29일
유형국립 박물관
위치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소장 작품 수104,071점
운영 주체문화체육관광부
관장윤형원
건축가장세양
방문객 수352,808명
홈페이지김해 국립 박물관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전시 내용가야 문화 관련 유물 및 자료
특별 전시다양한 주제의 특별 전시 개최
교육 프로그램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이미지
김해 국립 박물관
김해 국립 박물관 전경

2. 연혁


  • 1997년 3월: 국립김해박물관 설치[3]
  • 1998년 7월: 국립김해박물관 개관
  • 2006년 12월: 교육관 개관

2. 1. 설립 과정

1997년 3월 국립김해박물관이 설치되었다.[3]

2. 2. 개관 및 확장

1998년 7월, 가야의 문화유산을 집대성하기 위해 국립김해박물관이 개관하였다. 박물관은 가야의 건국신화가 깃든 김해시 구지봉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본관 건물은 철광석과 숯을 이미지화한 검은색 벽돌을 사용하여 철의 왕국 가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건축가 장세양(1947년 ~ 1996년)의 유작으로 알려져 있다.[3]

2006년 12월에는 교육관인 '가야누리'가 개관하였다. 가야누리는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비례를 사용하여 박물관 본관과의 이질감을 줄이고 배경같은 요소로서 설계되었으며, 건축가 공순구(1960년 ~ )의 작품이다.[3]

3. 시설

주요 시설로는 본관과 교육관인 가야누리가 있으며, 부대 시설로는 강당, 세미나실, 도서자료실, 기념품 판매대가 있다.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유아놀이방도 마련되어 있다.

상설 전시실은 1층과 2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선사시대와 가야시대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층에는 낙동강 유역의 선사시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수렵, 어로, 채집 관련 유물과 농경 유물, 홍도, 채도, 청동검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사천시 앞바다 늑도에서 출토된 유물과 금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의 유물, 함안 마갑총 출토 유물도 볼 수 있다.

2층 전시실에는 가야시대의 장신구와 농경 관련 유물, 가야 시대의 문자와 기호, 각종 전쟁 용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야외 전시장에는 내동 고인돌(지석묘)과 돌널무덤(석관묘), 창원시 다호리유적에서 발굴된 가야시대 돌덧널무덤(석관묘)이 전시되어 있다.

3. 1. 본관

본관은 철광석과 숯을 형상화한 검은색 벽돌을 사용하여 철의 왕국 가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건축가 장세양(1947년 ~ 1996년)의 유작이다.[3]

3. 2. 가야누리 (교육관)

가야누리는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비례를 사용하여 박물관 본관과의 이질감을 줄이고 하나의 배경 같은 요소로서 건물을 설계하였으며, 건축가 공순구(1960년 ~ )의 작품이다.[3]

3. 3. 기타 시설

주요 시설로는 본관과 교육관인 가야누리가 있다. 부대 시설에는 강당, 세미나실, 도서자료실, 기념품 판매대가 있다.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해 유아놀이방도 마련되어 있다.[1]

4. 전시 내용

국립김해박물관은 1층과 2층의 상설 전시실과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상설 전시실에는 선사시대와 가야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데, 1층에는 낙동강 유역의 선사시대 문화를 보여주는 수렵, 어로, 채집 도구, 농경 유물, 홍도, 채도, 청동검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사천시 앞바다 늑도에서 출토된 유물과 금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의 유물, 함안 마갑총 유물도 볼 수 있다. 2층에는 가야시대의 장신구, 농경 관련 유물, 문자 및 기호, 각종 전쟁 용품이 전시되어 있다. 야외 전시장에는 내동 고인돌(지석묘), 돌널무덤(석관묘), 창원시 다호리 유적에서 발굴된 돌덧널무덤(석관묘) 등이 전시되어 있다.[1]

4. 1. 상설 전시실 (1층)

낙동강 유역의 선사시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수렵, 어로, 채집 도구와 농경 유물, 홍도, 채도, 청동검이 전시되어 있다.[1] 사천시 앞바다 늑도에서 출토된 유물과 금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의 유물, 함안 마갑총 유물도 전시되어 있다.[1]

4. 2. 상설 전시실 (2층)

2층 전시실에는 가야시대의 장신구와 농경에 관한 유물, 그리고 가야 시대의 문자와 기호, 각종 전쟁 용품들을 전시하고 있다.[1]

4. 3. 야외 전시장

야외 전시장에는 내동 고인돌(지석묘)과 돌널무덤(석관묘), 창원시 다호리 유적에서 발굴된 가야 시대의 돌덧널무덤(석관묘)이 전시되어 있다.[1]

5. 조직

국립김해박물관은 관장 아래 기획운영과와 학예연구실을 두고 있다.

5. 1. 관장

국립김해박물관의 관장은 기획운영과와 학예연구실을 총괄하며 박물관 운영을 책임진다.[4][5]

5. 2. 하부 조직

국립김해박물관의 하부 조직은 기획운영과와 학예연구실로 구성된다. 기획운영과는 박물관 운영 전반을 담당하며,[4] 학예연구실은 유물 연구 및 전시 기획을 담당한다.[5]

6. 소장품

보석초제나무골각
패갑지피모사직종자기타계12,072건43,058건7,466건4,519건518건1건370건676건66건--4건6건68,756건20,599점56,931점10,423점5,251점9,098점1점439점1,204점105점--9점11점104,071점


참조

[1] 웹사이트 Prospectus for the Museum https://web.archive.[...] Gimhae National Museum 2008-04-11
[2] 텍스트
[3] 웹인용 박물관 건축 https://web.archive.[...] 2010-05-17
[4] 텍스트
[5]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