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원예 및 특작 분야의 연구 개발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소속 기관이다. 1955년 중앙원예기술원 소속 서울지원 설치를 시작으로, 원예시험장, 과수연구소 등의 통합 및 확장을 거쳐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직무는 품종 육성, 재배 기술 개발, 유전자원 관리, 수확 후 관리 기술 개발 등이며, 현재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연구소 -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기아와 영양실조 없는 세상을 목표로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한 식단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해결책을 연구하는 국제 연구기관으로서, 식량 가격, 성별, 기후변화, 농업 혁신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정책 입안자 등에게 연구 결과를 제공하지만, 연구 주제 선정 우선순위, 역량 강화 활동 부족, 특정 재단 자금 지원에 대한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농업 연구소 -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준정부기관으로, 연구개발사업 기획·관리·평가, 기술역량 진단 및 인력 육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09년 설립되어 2019년 나주로 이전했다. - 완주군 소재의 관공서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은 1965년 설립된 지방 정부 공무원 교육 훈련 기관으로,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국제 협력을 수행한다. - 완주군 소재의 관공서 -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라 전기 안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1974년 한국전기보안협회로 설립되어 197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특수법인이다.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장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장은 농촌진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직위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1962년 초대 청장 임명 이후 여러 인물이 역임하여 2024년 7월 8일 권재한 32대 청장이 임명되어 현재 재임 중이다.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 차장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 차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청장을 보좌하며 소관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청장 유고 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현지어 이름 | 해당 없음 |
개요 | |
설립일 | 2008년 10월 8일 |
전신 | 원예연구소, 인삼약초연구소 |
해산일 | 해당 없음 |
후신 | 해당 없음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농생명로 100 |
직원 | 330명 |
예산 | 해당 없음 |
기관장 | 원장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산하 기관 | 소속 기관 6 |
웹사이트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공식 웹사이트 |
영어 이름 |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2. 연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55년 4월 1일: 중앙원예기술원 소속 서울지원이 설치되었다.[2]
- 1957년 5월 28일: 농사원 소속 원예시험장이 설치되고 김해지장이 소속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중앙원예기술원 서울지원은 원예시험장 서울지장으로 개편되었다.[3]
- 1961년 5월 1일: 서울지원이 폐지되었다.[4]
- 1961년 10월 2일: 농사원 시험국 작물원예부로 개편되었다.[5]
- 1962년 4월 1일: 농사원 작물원예부가 농촌진흥청 소속 원예시험장으로 개편되었다.[6]
- 1965년 4월 21일: 중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7]
- 1967년 9월 8일: 중부출장소가 폐지되었다.[8]
- 1967년 12월 9일: 예산출장소가 설치되었다.[9]
- 1969년 5월 30일: 중원출장소가 설치되었다.[10]
- 1970년 4월 8일: 김해지장이 폐지되었다.[11]
- 1972년 2월 15일: 김해지장이 설치되었다.[12]
- 1972년 11월 29일: 예산·중원출장소가 폐지되었다.[13]
- 1973년 7월 14일: 남해출장소가 설치되었다.[14]
- 1977년 5월 6일: 맥류연구소가 설치되었다.[15]
- 1978년 4월 24일: 김해지장이 폐지되었다.[16]
- 1991년 11월 15일: 맥류연구소가 과수연구소로 개편되었다.[17]
- 1994년 12월 23일: 원예시험장과 과수연구소가 원예연구소로 통합되었다.[18]
- 1995년 4월 1일: 남해출장소가 폐지되었다.[19]
- 1998년 2월 28일: 남해출장소가 설치되었다.[20]
- 2006년 1월 1일: 원예연구소가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다.[21]
- 2007년 6월 4일: 작물과학원 소속 인삼약초연구소가 설치되었다.[22]
- 2008년 10월 8일: 난지농업연구소로부터 원예작물·감귤 및 식물환경분야의 시험·연구 사무를 이관받아 원예연구소와 인삼약초연구소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통합되고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다.[23][24]
- 2015년 2월 27일: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25]
2. 1. 설립 초기 (1955년 ~ 1962년)
1955년 4월 1일 중앙원예기술원 소속 서울지원이 설치되었다.[2] 1957년 5월 28일 농사원 소속 원예시험장이 설치되었고, 소속기관으로 김해지장을 두었으며, 중앙원예기술원 서울지원은 원예시험장 서울지장으로 개편되었다.[3]1961년 5월 1일 서울지장이 폐지되었다.[4] 같은 해 10월 2일 농사원 시험국 하부조직인 작물원예부로 개편되었다.[5] 1962년 4월 1일, 농사원 작물원예부는 농촌진흥청 소속 원예시험장으로 개편되었다.[6]
2. 2. 발전기 (1965년 ~ 1994년)
- 1965년 4월 21일: 중부출장소를 설치하였다.[7]
- 1967년 9월 8일: 중부출장소를 폐지하였다.[8]
- 1967년 12월 9일: 예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9]
- 1969년 5월 30일: 중원출장소를 설치하였다.[10]
- 1970년 4월 8일: 김해지장을 폐지하였다.[11]
- 1972년 2월 15일: 김해지장을 설치하였다.[12]
- 1972년 11월 29일: 예산출장소와 중원출장소를 폐지하였다.[13]
- 1973년 7월 14일: 남해출장소를 설치하였다.[14]
- 1977년 5월 6일: 맥류연구소를 설치하였다.[15]
- 1978년 4월 24일: 김해지장을 폐지하였다.[16]
- 1991년 11월 15일: 맥류연구소를 과수연구소로 개편하였다.[17]
2. 3. 통합 및 확장기 (1994년 ~ 현재)
1994년 12월 23일 원예시험장과 과수연구소가 원예연구소로 통합되었다.[18] 1995년 4월 1일 남해출장소가 폐지되었으나,[19] 1998년 2월 28일 다시 설치되었다.[20] 2006년 1월 1일 원예연구소는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고,[21] 2007년 6월 4일 작물과학원 소속으로 인삼약초연구소가 설치되었다.[22]2008년 10월 8일 난지농업연구소로부터 원예작물·감귤 및 식물환경분야의 시험·연구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원예연구소와 인삼약초연구소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통합되었고,[23]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다.[24] 2015년 2월 27일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25]
3. 조직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원장과 소속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원장
3. 2. 소속기관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29]시설원예연구소[29]
사과연구소[29]
배연구소[29]
감귤연구소[29]
남해출장소[29]
4. 직무
- 원예 및 특용 작물의 품종 육성, 육종 기술 개발, 그리고 분자 육종을 수행한다.
- 원예 및 특용 작물 유전자원을 수집, 평가하고 보존한다.
- 원예 및 특용 작물의 재배법을 개선하고, 토양, 병해충, 기상 등 환경 관리와 재해 경감 기술을 개발한다.
- 원예 및 특용 작물 재배 시설의 구조, 자재, 기구 등을 개발한다.
- 원예 및 특용 작물 수확 후 관리, 품질 보전, 기능성 이용, 그리고 부가가치 증대에 관한 기술을 개발한다.
- 원예 및 특용 작물 관련 연구 개발 어젠다 사업을 지원한다.
- 원예 및 특용 작물 기술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 도시 농업 기술 개발 업무를 수행한다.
참조
[1]
간행물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8
[2]
간행물
농림부령 제38호
[3]
간행물
대통령령 제1274호
[4]
간행물
국무원령 제247호
[5]
간행물
각령 제183호
[6]
간행물
각령 제615호
[7]
간행물
대통령령 제2856호
[8]
간행물
대통령령 제3211호
[9]
간행물
농림부령 제268호
[10]
간행물
농림부령 제320호
[11]
간행물
대통령령 제4873호
[12]
간행물
대통령령 제6034호
[13]
간행물
농림부령 제514호
[14]
간행물
농수산부령 제536호
[15]
간행물
대통령령 제8564호
[16]
간행물
대통령령 제8966호
[17]
간행물
대통령령 제13506호
[18]
간행물
대통령령 제14455호
[19]
간행물
농림수산부령 제1174호
[20]
간행물
농림부령 제1281호
[21]
간행물
대통령령 제19230호
[22]
간행물
대통령령 제20079호
[23]
간행물
대통령령 제21078호
[24]
간행물
대통령령 제21074호
[25]
뉴스
농업관련기관 전북혁신도시 속속 이전
http://www.ajunews.c[...]
2015-03-02
[26]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
[27]
문서
부이사관·서기관·기술서기관·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
[28]
문서
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
[29]
문서
농업연구관으로 보한다.
[30]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농업연구관·보건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
[31]
문서
농업연구관 또는 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