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국방홍보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국방홍보원은 국방일보, KFN TV, KFN 라디오 등 군 홍보물 제작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1950년 국방부 촬영대로 창설되어 국군방송실, 국군홍보관리소를 거쳐 2000년 국방홍보원으로 개편되었다. 미디어전략실, 국방일보부, 국방TV·라디오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송 제작 인력의 비정규직 문제, 갑질 의혹, 잦은 방송 사고 등과 같은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 2000년 설립된 단체 - 아름다운재단
    아름다운재단은 1% 나눔 운동, 아름다운Day, 공감 운영, 희망가게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캠페인과 사업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기부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한국의 공익재단이다.
  • 2000년 설립된 단체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책임운영기관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국립 미술관으로, 서울, 과천, 덕수궁, 청주 4곳에서 다양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방대한 소장품을 통해 한국 미술의 발전과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 책임운영기관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범죄 수사와 관련된 법의학, 법과학, 법공학 분야의 감정과 연구를 수행하는 행정안전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1955년 설립되어 강원도 원주시에 본원을 두고 전국에 걸쳐 과학수사 업무를 수행하며 전문 인력 양성에도 기여한다.
국방홍보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방홍보원 마크
국방홍보원 마크
로마자 표기Gukbang Hongbowon
영문 명칭Defense Media Agency, DMA
설립일2000년 8월 28일
전신국군홍보관리소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두텁바위로 54-99
직원158명(군인 제외)
상급 기관대한민국 국방부
웹사이트국방홍보원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 1950년 7월 4일: 국방부 촬영대 창설.
  • 1963년 12월 16일: 국방부 정훈부 방송실 설치 및 촬영대를 국군영화제작소로 개편.
  • 1964년 11월 16일: 방송실을 국군방송실로 개편.
  • 1979년 8월 29일: 국군신문제작소로 통합.
  • 1981년 11월 2일: 국군홍보관리소로 개편.
  • 2000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
  • 2000년 8월 28일: 국방홍보원으로 개편.
  • 2022년 8월 16일: 윤석열 정부, 유료 방송 사업 허가

3. 직무

국방홍보원은 국방일보와 국군방송인 KFN TVKFN 라디오 등 군 홍보물 제작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4. 조직

국방홍보원의 조직은 미디어전략실, 국방일보부, 국방TV·라디오부, 경영지원부, 감사심의팀으로 구성되어 있다.[2][3][4][5]

5. 논란

국방홍보원은 방송제작 인원의 3분의 2가 비정규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받는다.[6] 공공기관으로서 국방홍보원의 갑질 의혹도 추가로 제기되었다.[7] 이와 관련하여, 국방홍보원 비정규직 근무자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차별 대우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6]

5. 1. 비정규직 문제

국방홍보원은 방송제작 인원의 3분의 2가 비정규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받는다.[6] 공공기관으로서 국방홍보원의 갑질 의혹도 추가로 제기되었다.[7] 이와 관련하여, 국방홍보원 비정규직 근무자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차별 대우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6]

5. 2. 갑질 의혹

5. 3. 방송 사고

국방홍보원은 잦은 방송사고로 질타를 받았다.[8]

5. 4. 윤석열 정부의 유료방송 사업 허가

참조

[1] 문서 군인 제외
[2] 문서 부이사관·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3] 문서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4]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5] 문서 행정주사·전산주사·시설주사·공업주사·방송통신주사 또는 방송무대주사로 보한다
[6] 웹인용 국방홍보원, 방송제작 인원 3분의2가 '비정규직' https://news.naver.c[...] 2019-04-06
[7] 웹인용 공공기관의 '민낯'..국방홍보원, 추가 갑질 의혹 제기 https://news.naver.c[...] 2019-04-06
[8] 웹인용 국방홍보원, 생방송 사고 한 달도 안돼 또 방송사고 https://news.naver.c[...] 2019-04-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