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AIM, Africa Inland Mission International)는 스코틀랜드 출신 피터 카메론 스콧에 의해 시작된 선교 단체이다. 1895년 미국 필라델피아의 후원으로 시작되어, 스콧을 포함한 첫 선교사들이 케냐 몸바사에 도착하여 사역을 시작했다. AIM은 케냐를 시작으로 탄자니아,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인도양 군도 등 아프리카 전역으로 사역을 확장했다. AIM은 복음 전파, 제자 훈련, 의료, 교육, 출판, 방송 등의 다양한 사역을 수행하며, 아프리카내지교회와 협력하여 아프리카 지도자와 목회자를 양성하고 있다. AIM Korea는 1985년 설립되어 AIM 아시아-태평양 동원지역 산하에서 활동하다가 2015년 독립된 동원 지역으로 승인되었다. AIM은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를 세우고 아프리카 교회가 하나님의 빛을 선포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교 단체 -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선교 행정가, 저술가로서, 미국 장로교 선교회 비서로 해외 선교에 헌신하고 '예수의 네 가지 원칙'을 제시하여 도덕 재무장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 신앙과 관련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 선교 단체 - 한국외항선교회
한국외항선교회는 1974년 설립된 초교파적 선교기관으로, 국제 항구에 입항하는 외항 선원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복음의 역수출과 타문화권 선교, 민간 외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국내 주요 항만에서 다양한 사역을 펼치고 있다.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선교 기관 |
설립 | 1895년 |
설립자 | 찰스 카우만 레테 카우만 |
본부 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 테메큘라 |
봉사 지역 | 아프리카 전역 및 그 외 지역 |
웹사이트 | AIM 국제 |
역사 | |
초기 역사 | 1895년 찰스 카우만과 레테 카우만에 의해 설립됨 |
주요 활동 | 아프리카 내지에서 선교 활동 다양한 프로젝트 및 사역 수행 |
조직 | |
주요 인물 | 찰스 카우만 (설립자) 레테 카우만 (설립자) |
회원 | 다양한 국적의 선교사 및 스태프 |
구조 | 국제 이사회 및 각 지역별 지부 |
신념 | |
핵심 가치 | 복음 전파 제자 양육 지역 교회 협력 필요에 따른 봉사 |
특징 | 초교파적 선교 기관 |
활동 | |
주요 사역 | 교회 개척 의료 사역 교육 사역 개발 사역 |
프로젝트 | 식수 개발 농업 지원 긴급 구호 |
추가 정보 | |
관련 단체 | 다양한 기독교 선교 단체 및 교회와 협력 관계 유지 |
2. AIM의 역사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AIM)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피터 카메론 스콧(1867–1896)이 세웠다. 스콧은 국제선교사협회 소속으로 콩고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중 병에 걸려 고향에서 요양하고 있었다. 그는 요양하면서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서 내륙의 차드 호수까지 선교 기지를 연결하는 계획을 세웠다. 스콧이 속한 선교부와 교회는 이 계획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미국 필라델피아의 몇몇 친구들이 후원하여 1895년에 AIM이 시작되었다.
2. 1. 설립 배경과 초기 역사 (1895-1900)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AIM)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피터 카메론 스콧(1867–1896)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국제선교사협회 소속으로 콩고에서 사역하던 중 병으로 고향에서 요양하고 있었다. 요양 중, 그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선에서 내륙의 차드 호수에 이르는 선교 기지 네트워크를 세우는 계획을 구상하게 되었다. 그가 속한 선교부와 교회는 이 계획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미국 필라델피아의 몇몇 친구들의 후원을 받아 1895년에 AIM이 시작되었다.스콧은 1896년 12월 바이러스성 출혈열과 과로로 순교했다. 이후 몇 년 동안 다른 선교사들도 질병과 과로로 순교하거나 AIM을 사임하면서 선교부는 거의 해체될 위기에 처했다. 이 상황에서 미국 선교위원회는 허버트 (https://dacb.org/stories/kenya/hurlburt-charles/ Rev. Charles Hurlburt)를 선교회 디렉터로 임명하였고, 그는 아프리카 답사를 마친 후 가족과 함께 케냐로 들어왔다. 이후 20년 동안 그는 케냐 키자베에 선교 본부를 짓고, AIM 선교회의 수장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했다.
2. 1. 1. 첫 선교사들
1895년 8월,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AIM)의 첫 선교사로 피터 카메론 스콧과 그의 누이 마가렛, 프레드릭 크리거, 윌리스 호치키스, 미니 린드버그, 레클링, 레스터 세번, 월터 윌슨이 출발하였다. 이들은 같은 해 10월 케냐 몸바사에 도착하여 사역을 시작했다.1년 만에 케냐 자우이, 사카이, 키룬구, 캉군도에 4개의 선교 기지가 세워졌다. 곧이어 스콧의 부모를 포함한 미국 선교사들이 추가로 합류하여 15명의 선교사 그룹이 되었다.
2. 1. 2. 초기 사역 정책
스콧은 아프리카로 갈 사람들을 모집하면서, 다른 어떤 훈련보다도 '''그리스도인으로서의 헌신과 개인의 경건'''을 우선시하는 것을 주요 요건으로 요구하였다. 선교부는 전적으로 자율적이고 자치적으로 운영되었다.2. 2. 시련과 헐버트의 리더십 (1896-1920년대)
1896년 12월, 스콧은 바이러스성 출혈열과 과로로 순교했다. 불과 몇 년 이내에 다른 선교사들도 질병과 과로로 순교하거나 AIM을 사임함으로써 선교부는 거의 해체될 위기에 처했다. 이 상황에서 미국 선교위원회는 허버트([https://dacb.org/stories/kenya/hurlburt-charles/ Rev. Charles Hurlburt])를 선교회 디렉터로 임명하였고, 그는 아프리카 답사를 마친 후 가족을 데리고 케냐로 들어왔다. 그 후 20년 동안 그는 케냐 키자베에 선교 본부를 짓고, AIM 선교회의 수장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했다.2. 3. 사역의 확장 (1909-현재)
AIM은 케냐에서 시작되어 점차 주변 지역으로 사역을 확장하였다.[3][4] 1909년에는 독일령이던 동부아프리카 탕가니카(현재의 탄자니아)에 선교기지를 추가로 세웠다. 1912년, 루스벨트 대통령은 친구인 허버트를 위해 벨기에 정부로부터 콩고에 선교기지를 세울 수 있도록 도왔다. 1918년에는 우간다에서 사역이 시작되었고, 1924년부터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사역이 시작되었다. 1949년에는 수단에서, 1975년부터는 인도양 군도에서 사역을 시작하였다.AIM은 복음 전도와 제자 훈련 사역을 기본으로 진료소, 병원, 나병 치료 기관, 학교, 출판, 라디오 방송 등의 사역을 펼쳤다. 선교사 자녀를 위한 학교인 리프트밸리 아카데미(Rift Valley Academy)가 키자베에 세워졌고, 스콧 신학교를 비롯한 다른 신학교들과 성경학교들이 아프리카 지도자와 목회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곳곳에 세워졌다. AIM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교회들은 아프리카내지교회(Africa Inland Church)라는 교단을 조직하게 되었고, 전도와 선교 사역에 있어 AIM 선교부와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다. 20여 년 전부터는 북부 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도 사역을 시작하였으며, 아직 복음을 듣지 못한 미전도 종족들을 위해 아프리카 교회와 협력하여 사역을 수행하고 있다.[5]
3.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 한국본부 (AIM Korea)
AIM Korea영어는 1985년 1월 8일에 AIM 아시아-태평양 동원지역 산하 커미티로 설립되었으며(초대 대표: 손영준),[1] 2009년에 독립된 카운슬을 구성하였다.[1] 2015년에는 국제 이사회(International Council)에서 AIM의 독립된 동원지역(Korea Mobilizing Region)으로 승인되었다.[1]
3. 1. 주요 활동
AIM은 케냐에서 시작되어 점차 주변 지역으로 사역을 확장하였다.[3][4] 1909년에는 독일령이던 동부아프리카 탕가니카(현재의 탄자니아)에도 선교기지를 추가로 세웠다. 1912년, 루스벨트 대통령은 친구인 허버트를 위해 벨기에 정부로부터 콩고에 선교기지를 세울 수 있도록 도왔다. 1918년에는 우간다에서 사역이 시작되었고, 1924년부터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사역이 시작되었다. 1949년에는 수단에서, 1975년부터는 인도양 군도에서 사역을 시작하였다.AIM은 복음 전도와 제자 훈련 사역을 기본으로 진료소, 병원, 나병 치료 기관, 학교, 출판, 라디오 방송 등의 사역을 펼쳤다. 선교사 자녀를 위한 학교인 리프트밸리 아카데미(Rift Valley Academy)가 키자베에 세워졌고, 스콧 신학교를 비롯한 다른 신학교들과 성경학교들이 아프리카 지도자와 목회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곳곳에 세워졌다. AIM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교회들은 아프리카내지교회(Africa Inland Church)라는 교단을 조직하게 되었고, 전도와 선교 사역에 있어 AIM 선교부와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다. 20여 년 전부터는 북부 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도 사역을 시작하였으며, 아직 복음을 듣지 못한 미전도 종족들을 위해 아프리카 교회와 협력하여 사역을 수행하고 있다.[5]
3. 2. 연표
- 1985년 1월 8일: AIM Korea가 AIM 아시아-태평양 동원지역 산하 커미티로 설립되었다. (초대 대표: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44 손영준 박사)[1]
- 2009년: AIM Korea는 독립된 카운슬을 구성하였다.[1]
- 2015년: 국제 이사회(International Council)에서 AIM의 독립된 동원지역(Korea Mobilizing Region)으로 승인되었다.[1]
4. 사역 원칙과 신학적 입장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는 주 예수님의 선교 명령에 순종하여 아프리카 모든 종족 안에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를 세우고, 아프리카 교회가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빛을 선포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2]
4. 1. 핵심 가치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는 아프리카 모든 종족 안에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2] 이를 위해 아프리카 교회가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빛을 선포하도록 돕는다.[2] 선교회는 선교사 지원자들에게 신앙적 헌신과 개인의 경건을 가장 중요한 자격 요건으로 요구했다.4. 2. 신학적 입장
주 예수의 선교 명령에 순종하여 아프리카 모든 종족 안에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 교회가 어두운 세상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스런 빛을 선포하도록 한다.[2]참조
[1]
웹인용
AIM INTL 2025
https://aimint.org/
2024-12-13
[2]
간행물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
http://www.kwma.org
(사)한국세계선교협의회
2013-01-07
[3]
간행물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Africa Inland Mission and Africa Inland Church in Marakwet, Kenya
http://biblicalstudi[...]
[4]
간행물
Twentieth Century Religious and Political Divisions Among the Kikuyu of Kenya
[5]
간행물
The Transition from the Africa Inland Mission to the Africa Inland Church in Kenya, 1939-1975
https://dspace.st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