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조형예술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1954년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설립된 조형예술가들의 국제적인 단체이다. 유네스코의 제안에 따라 예술가들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을 개선하고 예술적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총회와 집행위원회, 국가위원회로 구성된다. IAA는 조형예술가들의 자격 연구, 예술가와 건축가 간의 협업 장려, 세계 미술의 날 제정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유네스코와의 협력을 통해 예술가들의 권익 보호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국제조형예술협회 | |
---|---|
국제조형예술협회 | |
![]() | |
설립 | 1954년 |
유형 | 비정부 기구 |
본부 | 프랑스, 파리 |
사용 언어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
회원 | 96개국 |
웹사이트 | 국제조형예술협회 공식 웹사이트 |
2. 설립 배경
1948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예술가들의 사회 공헌 방안을 모색하자는 제안이 나온 후, 유네스코는 예술가들의 작업 환경 개선과 예술적 자유 보장을 위한 조치를 찾기 시작했다.[2] 1951년 제6차 총회에서 유네스코 총장은 시각예술 분야의 예술가들을 국제적으로 대변하고 유네스코 업무와 관련하여 긴밀하게 협조할 국제예술가협회 설립 가능성에 대한 예비 조사를 발표했다.[3][4] 1952년 제1회 국제예술가회의가 개최되었고,[5][6] 이후 준비위원회를 거쳐 1954년 1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국제조형예술협회(IAA)의 첫 집회가 열렸으며,[8] 같은 해 유네스코 총회에서 협회 설립이 정식 승인되고 지원금도 결정되었다.[9]
2. 1. 유네스코의 제안
1948년 제3회 유네스코 총회에서 "예술가들이 유네스코의 목적에 따라 사회에 공헌하게 할 방안"을 찾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다. 유네스코 총장은 예술가로서 걸어가는 길에 어떤 종류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장애가 있는지 찾아내서 예술가들의 작업 조건을 개선하고 예술적 자유를 보장할 수 있게 할 조치를 찾기 시작했다.[2]2. 2. 국제예술가회의 개최
1948년 제3회 유네스코 총회에서 "예술가들이 유네스코의 목적에 따라 사회에 공헌하게 할 방안"을 강구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다. 유네스코 총장은 예술가로서 걸어가는 길에 어떤 종류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장애가 있는지 찾아내서 예술가들의 작업 조건을 개선시키고 그들의 예술적 자유를 보장할 수 있게 할 조치를 찾기 시작했다.[2] 1951년 제6차 총회 때 유네스코 총장은 시각예술분야의 예술가들을 국제적으로 대변하고 유네스코 업무와 관련해서 긴밀하게 협조할 국제예술가협회의 설립 가능성에 대해 예비 조사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 결과는 제7회 총회 때 발표되었고,[3][4] 1952년 제1회 국제예술가회의가 개최되었다.[5][6] 1952년 국제예술가회의 이후 준비위원회가 구성되었다.[7]2. 3. 협회 창립
1948년 제3회 유네스코 총회에서 "예술가들이 유네스코의 목적에 따라 사회에 공헌하게 할 방안"을 강구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다. 유네스코 총장은 예술가로서 걸어가는 길에 어떤 종류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장애가 있는지 찾아내서 예술가들의 작업 조건을 개선하고 예술적 자유를 보장할 수 있게 할 조치를 찾기 시작했다.[2] 1951년 제6차 총회 때 유네스코 총장은 시각예술 분야의 예술가들을 국제적으로 대변하고 유네스코 업무와 관련하여 긴밀하게 협조할 국제예술가협회 설립 가능성에 대해 예비 조사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 결과는 제7회 총회 때 발표되었고,[3][4] 1952년 제1회 국제예술가회의가 개최되었다.[5][6] 1952년 국제예술가회의 이후 준비위원회가 구성되었고,[7] 1954년 18개 회원 국가들로 구성된 국제조형예술협회의 첫 집회가 열렸다.[8] 같은 해 제8회 유네스코 총회에서 국제조형예술협회 설립이 정식으로 승인되고 지원금도 결정되었다.[9]3. 운영 방식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회원국들의 연회비를 기반으로 운영되지만, 일부 국가들의 연회비 미납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IAA 카드가 도용되는 등 관리 문제도 발생했다.[10] 2011년 제17차 총회 이후,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위원회 중심의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모든 예술가들을 포괄하기로 결정하고,[1] 공식 웹페이지 정비, 뉴스레터 발간, 유네스코와의 협력 강화, 아카이브 정리 등 다양한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
3. 1. 조직 구조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총회(General Assembly),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ttee)로 구성되어 있다. 집행위원회는 지역별 코디네이터로 구성되며, 국가위원회는 회원국 각 나라의 미술가들을 대표한다. 지역은 유럽과 북미,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아시아와 태평양 연안, 아프리카, 아랍의 다섯 개로 분류 및 관리된다. 협회는 기본적으로 국가위원회에서 지불하는 연회비로 운영된다. 총회는 최소한 4년에 한 번씩 협회장의 소집으로 열리며, 집행위원회는 매년 한 번씩 혹은 총회 사이에 최소한 2번은 모여 회의를 진행한다. 총회의 공식 언어는 영어와 프랑스어이다.[10]유럽 국가들을 제외한 타 국가들이 연회비를 내지 않아 재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협회가 발간하는 IAA 카드도 도용되는 등 관리 문제가 있었다.[10] 2011년 제17차 국제조형예술협회 총회를 기점으로 모든 것이 재정비에 들어갔다. 국가위원회를 통해서만 각국의 예술가들을 대변하는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미학적, 정치적 혹은 그 어떤 편견도 없이 모든 나라, 국가 혹은 국민의 예술가들"을 위해 일할 것을 결정했고,[1] 공식 웹페이지도 정비되기 시작했다. 뉴스레터는 2012년부터 유럽지역 뉴스레터와 전체 뉴스레터 두 가지로 발간되기 시작했고, 유네스코와의 협력관계를 다지며 적극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아카이브도 처음으로 정리되기 시작했다.
3. 2. 운영 및 재정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기본적으로 국가위원회에서 지불하는 연회비로 운영된다. 총회는 최소한 4년에 한 번씩 협회장의 소집으로 열리며, 집행위원회는 매년 한 번씩 혹은 총회 사이에 최소한 2번은 모여 회의를 진행한다. 총회의 공식 언어는 영어와 불어로 정해져 있다.[10]유럽 국가들을 제외한 타 국가들이 연회비를 내지 않아 재정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협회가 발간하는 IAA 카드도 도용되는 등 관리 문제가 많았다.[10] 2011년 제17차 국제조형예술협회 총회를 기점으로 모든 것이 재정비에 들어갔다. 우선 국가위원회를 통해서만 각국의 예술가들을 대변하는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미학적, 정치적 혹은 그 어떤 편견도 없이 모든 나라, 국가 혹은 국민의 예술가들"을 위해 일할 것을 결정했고,[1] 공식 웹페이지도 정비되기 시작했다. 뉴스레터는 2012년부터 유럽지역 뉴스레터와 전체 뉴스레터 두 가지로 발간되기 시작했고, 유네스코와의 협력관계를 다지며 적극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아카이브도 처음으로 정리되기 시작했다.
4. 주요 업무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설립 이후 조형예술가들의 자격에 대한 조사 및 연구, 조형예술가와 건축가 간의 협업 도모, 주형 및 판화 작품의 복제 가능 수에 대한 법적 제한 마련, 국제 미술 경연대회를 위한 규칙 제정 등에 힘써 왔다. 또한 각 나라에서 서양과 동양의 미술, 직업으로서의 미술, 미술가의 직업 훈련, 미술가와 환경, 건설적 사회 참여로서의 미술, 예술과 대중을 주제로 다양한 회의와 포럼을 개최했다.
2011년 제17차 총회에서 당시 터키 국가위원회장이었던 베드리 베이캄(Bedri Baykam)이 세계 미술의 날 제정을 제안하여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4. 1. 세계 미술의 날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기려 그의 생일인 4월 15일을 세계 미술의 날로 정했고, 2012년부터 공식 제정되었다.[11]현재는 각 국가위원회에서 세계미술의날(World Art Day) 행사를 자체적으로 개최하게 격려하고 있다. 협회에서는 구체적인 행사 계획은 각국 위원회의 재량에 맡기고 있지만, 상금이 없는 명예상(올해의 예술가, 올해의 신인작가, 아마추어 후보들 중에서 선정한 올해의 직업예술가, 올해의 미술언론인, 올해의 미술협회/미술재단/문화센터/미술관)을 수여하거나, 기회가 많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전시회(만 35세 이하 청년작가전, 미술대학 학도와 교사들을 위한 전시, 미술고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을 위한 전시, 아동전, 미술운동 차원에서 개념적으로 기획된 다양한 전시 등)를 개최하거나, 거리에서 미술 관련 도서를 판매하거나, 각종 거리 행사나 미술 관련 학교나 기관들에서 특강과 세미나를 개최하는 것 등을 제안하고 있다.
4. 2. IAA 카드
협력 미술관에 무료 혹은 특별 혜택 입장이 가능한 협회원 카드를 발급한다.4. 3. 뉴스레터
2017년부터 연간 2회 국제조형예술협회 뉴스레터가 발행되고 있다. 유럽 지역 뉴스레터는 따로 있으며 2012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했다.[11] 2016년부터는 각국 위원회로부터 받은 소식들을 뉴스 아카이브로 정리해 웹페이지에 올리고 있다.4. 4. 유네스코 협력
유네스코 총회에서 작성된 선언문이나 제안서들에 적극적으로 반응해 왔고, 유네스코 포럼이나 회의에 참석할 뿐 아니라 유네스코 협력기관인 다른 NGO들과도 교류 및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애쓰고 있다.- 1995년 유네스코의 "예술가들의 사회적 조건에 대한 제안서(Recommendation on the Social Condition of the Artist)"에 발맞춰 자체 통계 조사를 실시했고, 1997년 유네스코의 "예술가들의 조건에 대한 선언문( Declaration on the Condition of the Artist)"을 확인했다.[12]
유네스코국제미술교육주간을 위해 2012년부터 협력하고 있다.[11]
2013년부터 유네스코에 IAA 활동에 대한 평가보고서를 제출하고 있다.[12]
5. 관심 사항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예술가들의 권익 보호와 관련된 여러 വിഷയ에 관심을 두고 있다. 2012년부터 예술 작품 재판매권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12] 2015년부터는 미술치료를 예술가들의 새로운 직업적 활로로 주목한다.[13] 2016년부터는 유럽 예술가들의 사회안전보장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4]
5. 1. 예술가 재판매권
국제조형예술협회는 2012년부터 예술가들의 작품 재판매권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입장을 표명하려고 노력하고 있다.[12]5. 2. 미술치료
2015년부터 예술가들의 새로운 직업적 활로로 미술치료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13]5. 3. 사회안전보장 및 이동권
2016년부터 유럽 예술가들의 사회안전보장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4]6. 한국위원회
한국은 1962년 8월 회원국으로 가입했으나 활동이 유명무실했다가 2014년 IAA 국가위원회로 재가입했다.[15]
참조
[1]
간행물
Statutes for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rt: As adopted at the 17th General Assembly in Guadalajara, Mexico, 2011
http://www.aiap-iaa.[...]
[2]
간행물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thired session, Beirut, 1948, v.2; Resolutions
UNESCO Document
1949
[3]
간행물
Report on the preliminary inquiry in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rtist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UNESCO Document
1952
[4]
서적
The Artist in Modern Society: Essays and Statements Collected by UNESCO
UNESCO
1954
[5]
간행물
Report on the preliminary inquiry in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rtists in the field of the visual arts
UNESCO Document
1952
[6]
간행물
Report on the preliminary inquiry in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rtists in the field of the visual arts
UNESCO Document
1952
[7]
웹사이트
About IAA/AIAP
[8]
간행물
Resolutions and decisions adopted by the Executive Board at its thirty-eighth session, Venice, 14-28 July 1954
UNESCO Document
1954
[9]
간행물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eighth session, Montevideo, 1954: Resolutions
UNESCO Document
1955
[10]
뉴스
LETTER FROM THE PRESIDENT NUMBER 8
http://www.aiap-iaa.[...]
[11]
뉴스레터
The IAA Newletter No.1
http://www.aiap-iaa.[...]
[12]
뉴스레터
The IAA Newletter No.2
http://www.aiap-iaa.[...]
[13]
뉴스레터
The IAA Newletter No.7
http://www.aiap-iaa.[...]
[14]
뉴스레터
The IAA Newletter No.9
http://www.aiap-iaa.[...]
[15]
뉴스레터
The IAA Newletter No.5
http://www.aiap-ia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