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군인권센터(軍人權센터, Center for Military Human Rights Korea)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민간 인권 운동 단체이다.
설립 및 목적2009년 9월 23일, 군대 내 인권 침해와 차별로부터 군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군대 내 복지 증진, 군대 내 부정부패 감시 및 개선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군인권센터는 세계인권선언과 헌법적 가치를 군대 내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주요 활동
- 군 인권 침해 상담: 인터넷 및 전화 상담을 통해 군대 내 인권 침해 사례를 접수하고 지원한다. 아미콜 상담 전화(02-7337-119)를 운영하고 있다.
- 피해자 지원: 인권 침해 피해자와 유가족의 트라우마 치유 및 회복을 지원한다.
- 정책 모니터링: 국방 정책 및 예산 모니터링, 연구 개발을 통해 군 관련 인권 정책 개선을 위해 활동한다.
- 인권 연대 활동: 국내외 인권 단체와 연대하여 군 인권 개선을 위한 활동을 한다.
- 캠페인: 아미콜 캠페인 등 군인권 홍보 활동을 전개한다.
- 군 성폭력 상담: 부설 군성폭력상담소를 통해 군인 및 민간인 성폭력 피해자에게 전문 상담을 지원한다.
- 심리 상담 프로그램: 군 복무 트라우마 피해자를 위한 '마음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심리 상담 및 치유를 지원한다.
조직
- 유형: 비정부기구(NGO), 인권단체
- 소장: 임태훈 (2023년 말 기준)
- 산하단체: 군성폭력상담소 (2023년 3월 분리)
- 회원: 1,400명 (2022년 기준)
- 예산: 612,336,648원 (2022년 기준)
- 위치: 서울시 마포구
특징
- 군대 내 동성애 처벌의 근거가 된 군형법 92조의 계간 조항에 저항하는 운동을 시작으로 군 인권 운동을 시작하였다.
- 군대 내 가혹행위 문제뿐만 아니라 군인 복지 전반, 군사법제도 개혁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한다.
- 유엔 등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군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 군 내부 고발 및 제보자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한다.
- 군 관련 다양한 사건에 대해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한다.
- 군인뿐만 아니라 군무원, 군 관련 민간인 등 군 관련자들의 인권 문제도 다룬다.
주요 활동 연혁
- 2009년: 군인권센터 설립
- 2012년: 서울특별시 등록 비영리민간단체 지정
- 2013년: 군 인권 상담 전화 '아미콜' 운영 시작
- 2019년: 부설 군성폭력상담소 설립
- 2020년: '나눔과 꿈' 사업 선정, 군대 내 인권침해 피해자 치유 및 회복 지원 사업 진행
- 2022년: 군성폭력상담소 업무 분리
- 2023년: 군성폭력상담소 군인권센터로부터 분리
최근 활동
- 2024년: '12·3 내란사태' 관련자 고발, 계엄군 투입 병력 입막음 의혹 폭로, 훈련병 사망 사건 관련 의무기록 공개
- 2024년 8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법률 자문 논란 관련 검사 국민감사 청구
- 2024년 12월: 계엄군 병력 입막음 의혹 관련 긴급 기자회견
군인권센터는 군대 내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군 인권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군인권센터 | |
---|---|
기본 정보 | |
설립 | 2009년 9월 23일 |
유형 | NGO |
형태 | 인권단체 |
위치 | 서울시 마포구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회원 | 1,400 |
언어 | 한국어 |
수장 명칭 | 소장 |
현재 수장 | 임태훈 |
예산 | 612,336,648원 (2022년) |
웹사이트 | 군인권센터 웹사이트 |
산하 단체 | 군성폭력상담소 |
국가 | 대한민국 |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9. 2. 오후 3:28:07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9. 2. 오후 2:06:44
군인권센터 “윤석열 체포방해·평양 무인기 작전 담당도 중령 진급 예정”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9. 1. 오후 12:01:00
군인권센터 "내란 가담 장교 진급"…국방부 인사 규탄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9. 1. 오후 1:27:33
군인권센터 “내란 가담자도 중령 진급 대상 포함”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8. 10. 오후 11:57:02
이숙진·원민경·소라미, 간리에 추가 의견 제출…“모욕적 발언에도 제지 없어”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8. 8. 오전 11:35:00
내란특검, 박현수 서울청장 직무대리 압수수색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9. 오후 5:46:16
“짱×” “짭코리아” 괴롭힘까지…군·직장·길거리서 노골화하는 이주민 혐오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9. 오전 11:46:26
탈북민 자녀라는 이유…혐오·괴롭힘 겪던 병사, 생활관서 투신해 부상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5. 오후 3:56:52
군인권센터 “‘두릅 갑질’ 사단장, 부대 안 성폭력 사건 2차 가해도 했다”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4. 오후 3:54:22
군인권센터 “‘두릅따기 갑질’ 사단장, 여전히 공관 머물며 탄원서 강요”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4. 오후 2:18:00
"'두릅따기 갑질' 사단장, 공관 머물며 부하들에 탄원서 강요"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1. 오후 6:30:11
때리고, 두릅 따게 하고, 교회 출석 강요한 사단장...육군 “조사 착수”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1. 오후 5:04:00
병사들 닭장 만들고 두릅따게 한 육군사단장...갑질 의혹 조사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1. 오후 4:05:00
요즘도 이런 사단장이 있나···“군장 가득 두릅 따와라” “닭장 지어라” 갑질 의혹
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7. 21. 오후 4:21:00
"부대원 시켜 두릅 따고 닭장 설치"…육군 사단장 '갑질' 의혹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0. 오전 11:35:16
채상병 2주기 곳곳서 추모…“지휘관들 책임 똑바로 물어야”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18. 오후 4:08:53
군인권센터 “지작사, 계엄 전 ‘진압용 최루탄’ 현황 파악…내란 가담 의혹”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18. 오후 2:48:59
군인권센터 "지작사, 계엄 전 폭동진압용 최루탄 현황 파악"…육군은 "지시한 적 없어"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18. 오전 6:25:00
채상병 닮은 죽음들 절망 속에서…외압 이긴 희망을 건졌다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17. 오전 7:19:00
그날에 갇힌 유족…채상병 순직 2주기, 책임자 없는 비극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