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權應銖將軍遺物-權應銖肖像)은 조선시대 무신 권응수(1546~1608) 장군의 초상화와 유물을 말합니다. 1980년 8월 2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668-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권응수 초상화


  • 제작 시기: 권응수 장군이 선무공신 2등에 봉해질 때(1604년)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나, 후대에 다시 그린 이모본(원본을 보고 베껴 그린 그림)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2021-08-27)
  • 형태: 좌안칠분면(왼쪽 얼굴이 70% 정도 보이는 각도)의 전신교의좌상(의자에 앉은 전신상)입니다. 권응수는 의자에 앉아 두 손을 모은 공수 자세를 하고 있으며, 돗자리가 깔린 족좌대 위에 두 발을 팔자형으로 올려놓았습니다. 가슴에는 호랑이 흉배가 있는 단령을 입고 있습니다.
  • 특징: 17세기 초 공신 도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세부 묘사가 안정적입니다.
  • 소장처: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권응수 장군 유물 (보물 제668호)권응수 장군 유물은 초상화 외에도 다양한 유품들을 포함합니다.

  • 선무공신녹권 (宣武功臣錄券): 1604년(선조 37년)에 권응수가 선무공신 2등에 책록될 때 받은 문서입니다.
  • 태평회맹도병풍 (太平會盟圖屛風): 임진왜란 때의 공신들을 그린 4폭 병풍입니다.
  • 장검: 권응수 장군이 왜군에게서 빼앗은 일본검입니다.
  • 유지(有旨), 장군간찰(將軍簡札), 교지(敎旨), 유서(諭書): 선조의 작전 명령서, 편지, 벼슬 임명장 등입니다.
  • 각대(角帶): 금속으로 된 허리띠입니다.
  • 가전보첩(家傳寶帖): 시가 수록된 책으로, 당시의 서체와 시문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 유물들은 권응수 장군이 생전에 사용했던 물건, 임금에게 하사받은 물건, 전리품, 그리고 후손들에게 전해 내려오는 유품들입니다. 임진왜란사 및 조선시대 복식,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권응수 초상 정보
권응수 초상
권응수 초상
이름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영문 이름(Gwon Eungsu Janggun Yumul-Gwon Eungsu Chosang)
유형보물
지정 번호668-1
지정 연월일1980년 8월 23일
소재지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진주성)
소유자권경민
수량1폭
제작 시기조선시대
비고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초상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